[박대기의 핫클립] 샤넬백에 골드바까지 드려요…난리 난 미분양 결국 LH가

입력 2025.02.20 (18:12) 수정 2025.02.20 (1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요즘 그 뜨겁다는 골드바 눈을 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 골드바가 경품으로 내걸렸습니다.

다름 아닌 부동산 시장에섭니다.

미분양 된 아파트를 사면 이걸 준다.

3년째 미분양에 시달리던 대구의 한 회사가 내놓은 궁여지책이었습니다.

이 광고도 한 번 보시죠.

심지어 서울입니다.

아파트 분양을 계약하면 추첨을 통해 샤넬백을 준다고 했습니다.

건설업계를 덮친 악성 미분양 얼마나 심하길래 이러는 걸까요?

[신동아건설 관계자/지난달/음성변조 : "미분양 현장들이 몇 개 있어요. 공사는 끝났는데 아직 분양이 거의 안 돼서 거기에 대한 미수금이 있고..."]

신동아건설이 경기도 의정부시에 건설 중인 아파트입니다.

아시겠습니다만 신동아건설 63빌딩을 시공했을 정도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업체입니다.

하지만 지난달 법정관리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도급순위 58위 중견건설사 발목을 잡은 것 역시 미분양 사태였습니다.

최근 울산에서 분양한 또 다른 아파트 견본주택입니다.

300여 가구를 분양했지만 청약자는 고작 15명.

울산에서는 최근 넉달간 분양한 4개 단지 중 3개 단지가 경쟁률 1:1이 안됐습니다.

사실상 미달입니다.

미분양 중에서도 건설업계 가장 부담이 되는 건 준공 후 미분양입니다.

다 지었는데도 안 팔리니 고스란히 부담이 되는 것입니다.

1년만에 두 배로 늘어서 2만 천여 가구가 됐습니다.

11년 만에 최대치로 쌓였습니다.

이 가운데 80%가 지방에 쏠려있습니다.

정부가 내놓은 고육지책 LH가 지방 미분양 아파트 를 사주기로 한 것입니다.

3천가구를 사겠다고 했는데, 분양가보다 싸게 매입할 걸로 보입니다.

사들인 아파트는 '든든전세주택'이라는 이름으로 나올 예정인데 세입자가 시세 90% 수준 전세금으로 최소 6년간 살다가 분양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시장 반응은 회의적입니다.

[김인만/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 : "요즘 지방 투자자들도 다 서울로 들어오거든요. 지방 미분양 안사요. 올라가지도 않는 미분양을 이 정도 혜택 가지고 살 리도 없고요..."]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호가가 억 단위로 뛴다는 강남의 아파트들, 온갖 경품으로 입주자 모시기에 나선 지방의 아파트들 극과 극을 달리는 한국 부동산 시장의 현주솝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최근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박대기의 핫클립] 샤넬백에 골드바까지 드려요…난리 난 미분양 결국 LH가
    • 입력 2025-02-20 18:12:41
    • 수정2025-02-20 18:16:47
    경제콘서트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요즘 그 뜨겁다는 골드바 눈을 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 골드바가 경품으로 내걸렸습니다.

다름 아닌 부동산 시장에섭니다.

미분양 된 아파트를 사면 이걸 준다.

3년째 미분양에 시달리던 대구의 한 회사가 내놓은 궁여지책이었습니다.

이 광고도 한 번 보시죠.

심지어 서울입니다.

아파트 분양을 계약하면 추첨을 통해 샤넬백을 준다고 했습니다.

건설업계를 덮친 악성 미분양 얼마나 심하길래 이러는 걸까요?

[신동아건설 관계자/지난달/음성변조 : "미분양 현장들이 몇 개 있어요. 공사는 끝났는데 아직 분양이 거의 안 돼서 거기에 대한 미수금이 있고..."]

신동아건설이 경기도 의정부시에 건설 중인 아파트입니다.

아시겠습니다만 신동아건설 63빌딩을 시공했을 정도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업체입니다.

하지만 지난달 법정관리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도급순위 58위 중견건설사 발목을 잡은 것 역시 미분양 사태였습니다.

최근 울산에서 분양한 또 다른 아파트 견본주택입니다.

300여 가구를 분양했지만 청약자는 고작 15명.

울산에서는 최근 넉달간 분양한 4개 단지 중 3개 단지가 경쟁률 1:1이 안됐습니다.

사실상 미달입니다.

미분양 중에서도 건설업계 가장 부담이 되는 건 준공 후 미분양입니다.

다 지었는데도 안 팔리니 고스란히 부담이 되는 것입니다.

1년만에 두 배로 늘어서 2만 천여 가구가 됐습니다.

11년 만에 최대치로 쌓였습니다.

이 가운데 80%가 지방에 쏠려있습니다.

정부가 내놓은 고육지책 LH가 지방 미분양 아파트 를 사주기로 한 것입니다.

3천가구를 사겠다고 했는데, 분양가보다 싸게 매입할 걸로 보입니다.

사들인 아파트는 '든든전세주택'이라는 이름으로 나올 예정인데 세입자가 시세 90% 수준 전세금으로 최소 6년간 살다가 분양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시장 반응은 회의적입니다.

[김인만/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 : "요즘 지방 투자자들도 다 서울로 들어오거든요. 지방 미분양 안사요. 올라가지도 않는 미분양을 이 정도 혜택 가지고 살 리도 없고요..."]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호가가 억 단위로 뛴다는 강남의 아파트들, 온갖 경품으로 입주자 모시기에 나선 지방의 아파트들 극과 극을 달리는 한국 부동산 시장의 현주솝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최근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