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못생겨도 맛은 좋아”…채솟값 폭등이 못난이 상품 ‘효자’
입력 2025.02.20 (18:22)
수정 2025.02.20 (1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존득하고 달달한 맛 약과입니다.
그런데 어째 모양이 헝클어져 있습니다.
깨진 조각들로 만든 파지 약과입니다.
맛은 똑같은데 가격은 정상 제품의 3분의 1. 품절 대란을 거듭하는 대세 간식입니다.
깨지면 좀 어떻습니까. 싸면 그만입니다.
[KBS '신상출시 편스토랑' : "저게 파지 명란이에요. 조금 터졌는데 맛은 똑같아요. 저게 좀 가격이 저렴합니다. 1kg에 한 만 원."]
평소 명란 요리를 즐긴다는 가수 간미연 씨는 파지 명란에 빠졌다네요.
막은 터졌지만 특유의 풍미는 그대롭니다.
일반 명란과 비교해 약 삼사십프로 저렴하니 뛰어난 가성비가 장점입니다.
[윤종신/'내 사랑 못난이' : "누가 예쁜 여자를 마다해. 남자라면 누구나 바라지."]
못난이라 서럽다고요? 요즘엔 못생겨야 더 잘 팔립니다.
온라인 장터만 해도 각종 못난이들 판매 게시물이 즐비합니다.
대체 어떻게 생겼길래 못난이인걸까요?
통통한 보랏빛 가지.
그런데 다리가 세 개네요.
일자로 곧게 뻗은 오이.
요건 허리가 굽었습니다.
매끈한 타원형의 참외.
여긴 보조개가 폭 패였습니다.
그래도 상관없습니다.
왜? 정상품보다 30% 가량 싸니까요.
과일과 채소는 예뻐야 가격을 높게 받죠.
그래서 농가와 유통업체는 모양이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이른바 '못난이 농산물'을 솎아냅니다.
이렇게 버려지는 농산물.
연간 최대 5조 원에 달합니다.
너무 아깝지 않나요?
고물가 시대.
그 가치가 드디어 빛을 발합니다.
맛과 영양은 그대로지만, 못생겼다고 버려졌던 못난이 농산물에 소비자들이 눈을 뜨고 있습니다.
못 생겨도 맛은 좋다는 '맛난이', 흠집 대신 '보조개' 같이 재치있는 이름까지 붙여 소비자들을 유혹합니다.
만족도가 높다보니 정기 구독 서비스도 인기입니다.
양배추, 버섯, 상추 등 한 두 끼 분량으로 포장한 제철 채소와 과일 꾸러미를 집앞까지 보내주는데요.
[KBS '뉴스광장'/업체 관계자 : "13(브릭스). 오 높네요. 다른 것도 하나 까봅시다."]
충청북도는 못난이 배추를 '못난이 김치'로 재탄생 시켰습니다.
해외 수출도 한다는 군요.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
이제 옛말이 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
그런데 어째 모양이 헝클어져 있습니다.
깨진 조각들로 만든 파지 약과입니다.
맛은 똑같은데 가격은 정상 제품의 3분의 1. 품절 대란을 거듭하는 대세 간식입니다.
깨지면 좀 어떻습니까. 싸면 그만입니다.
[KBS '신상출시 편스토랑' : "저게 파지 명란이에요. 조금 터졌는데 맛은 똑같아요. 저게 좀 가격이 저렴합니다. 1kg에 한 만 원."]
평소 명란 요리를 즐긴다는 가수 간미연 씨는 파지 명란에 빠졌다네요.
막은 터졌지만 특유의 풍미는 그대롭니다.
일반 명란과 비교해 약 삼사십프로 저렴하니 뛰어난 가성비가 장점입니다.
[윤종신/'내 사랑 못난이' : "누가 예쁜 여자를 마다해. 남자라면 누구나 바라지."]
못난이라 서럽다고요? 요즘엔 못생겨야 더 잘 팔립니다.
온라인 장터만 해도 각종 못난이들 판매 게시물이 즐비합니다.
대체 어떻게 생겼길래 못난이인걸까요?
통통한 보랏빛 가지.
그런데 다리가 세 개네요.
일자로 곧게 뻗은 오이.
요건 허리가 굽었습니다.
매끈한 타원형의 참외.
여긴 보조개가 폭 패였습니다.
그래도 상관없습니다.
왜? 정상품보다 30% 가량 싸니까요.
과일과 채소는 예뻐야 가격을 높게 받죠.
그래서 농가와 유통업체는 모양이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이른바 '못난이 농산물'을 솎아냅니다.
이렇게 버려지는 농산물.
연간 최대 5조 원에 달합니다.
너무 아깝지 않나요?
고물가 시대.
그 가치가 드디어 빛을 발합니다.
맛과 영양은 그대로지만, 못생겼다고 버려졌던 못난이 농산물에 소비자들이 눈을 뜨고 있습니다.
못 생겨도 맛은 좋다는 '맛난이', 흠집 대신 '보조개' 같이 재치있는 이름까지 붙여 소비자들을 유혹합니다.
만족도가 높다보니 정기 구독 서비스도 인기입니다.
양배추, 버섯, 상추 등 한 두 끼 분량으로 포장한 제철 채소와 과일 꾸러미를 집앞까지 보내주는데요.
[KBS '뉴스광장'/업체 관계자 : "13(브릭스). 오 높네요. 다른 것도 하나 까봅시다."]
충청북도는 못난이 배추를 '못난이 김치'로 재탄생 시켰습니다.
해외 수출도 한다는 군요.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
이제 옛말이 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못생겨도 맛은 좋아”…채솟값 폭등이 못난이 상품 ‘효자’
-
- 입력 2025-02-20 18:22:09
- 수정2025-02-20 18:29:42

존득하고 달달한 맛 약과입니다.
그런데 어째 모양이 헝클어져 있습니다.
깨진 조각들로 만든 파지 약과입니다.
맛은 똑같은데 가격은 정상 제품의 3분의 1. 품절 대란을 거듭하는 대세 간식입니다.
깨지면 좀 어떻습니까. 싸면 그만입니다.
[KBS '신상출시 편스토랑' : "저게 파지 명란이에요. 조금 터졌는데 맛은 똑같아요. 저게 좀 가격이 저렴합니다. 1kg에 한 만 원."]
평소 명란 요리를 즐긴다는 가수 간미연 씨는 파지 명란에 빠졌다네요.
막은 터졌지만 특유의 풍미는 그대롭니다.
일반 명란과 비교해 약 삼사십프로 저렴하니 뛰어난 가성비가 장점입니다.
[윤종신/'내 사랑 못난이' : "누가 예쁜 여자를 마다해. 남자라면 누구나 바라지."]
못난이라 서럽다고요? 요즘엔 못생겨야 더 잘 팔립니다.
온라인 장터만 해도 각종 못난이들 판매 게시물이 즐비합니다.
대체 어떻게 생겼길래 못난이인걸까요?
통통한 보랏빛 가지.
그런데 다리가 세 개네요.
일자로 곧게 뻗은 오이.
요건 허리가 굽었습니다.
매끈한 타원형의 참외.
여긴 보조개가 폭 패였습니다.
그래도 상관없습니다.
왜? 정상품보다 30% 가량 싸니까요.
과일과 채소는 예뻐야 가격을 높게 받죠.
그래서 농가와 유통업체는 모양이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이른바 '못난이 농산물'을 솎아냅니다.
이렇게 버려지는 농산물.
연간 최대 5조 원에 달합니다.
너무 아깝지 않나요?
고물가 시대.
그 가치가 드디어 빛을 발합니다.
맛과 영양은 그대로지만, 못생겼다고 버려졌던 못난이 농산물에 소비자들이 눈을 뜨고 있습니다.
못 생겨도 맛은 좋다는 '맛난이', 흠집 대신 '보조개' 같이 재치있는 이름까지 붙여 소비자들을 유혹합니다.
만족도가 높다보니 정기 구독 서비스도 인기입니다.
양배추, 버섯, 상추 등 한 두 끼 분량으로 포장한 제철 채소와 과일 꾸러미를 집앞까지 보내주는데요.
[KBS '뉴스광장'/업체 관계자 : "13(브릭스). 오 높네요. 다른 것도 하나 까봅시다."]
충청북도는 못난이 배추를 '못난이 김치'로 재탄생 시켰습니다.
해외 수출도 한다는 군요.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
이제 옛말이 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
그런데 어째 모양이 헝클어져 있습니다.
깨진 조각들로 만든 파지 약과입니다.
맛은 똑같은데 가격은 정상 제품의 3분의 1. 품절 대란을 거듭하는 대세 간식입니다.
깨지면 좀 어떻습니까. 싸면 그만입니다.
[KBS '신상출시 편스토랑' : "저게 파지 명란이에요. 조금 터졌는데 맛은 똑같아요. 저게 좀 가격이 저렴합니다. 1kg에 한 만 원."]
평소 명란 요리를 즐긴다는 가수 간미연 씨는 파지 명란에 빠졌다네요.
막은 터졌지만 특유의 풍미는 그대롭니다.
일반 명란과 비교해 약 삼사십프로 저렴하니 뛰어난 가성비가 장점입니다.
[윤종신/'내 사랑 못난이' : "누가 예쁜 여자를 마다해. 남자라면 누구나 바라지."]
못난이라 서럽다고요? 요즘엔 못생겨야 더 잘 팔립니다.
온라인 장터만 해도 각종 못난이들 판매 게시물이 즐비합니다.
대체 어떻게 생겼길래 못난이인걸까요?
통통한 보랏빛 가지.
그런데 다리가 세 개네요.
일자로 곧게 뻗은 오이.
요건 허리가 굽었습니다.
매끈한 타원형의 참외.
여긴 보조개가 폭 패였습니다.
그래도 상관없습니다.
왜? 정상품보다 30% 가량 싸니까요.
과일과 채소는 예뻐야 가격을 높게 받죠.
그래서 농가와 유통업체는 모양이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이른바 '못난이 농산물'을 솎아냅니다.
이렇게 버려지는 농산물.
연간 최대 5조 원에 달합니다.
너무 아깝지 않나요?
고물가 시대.
그 가치가 드디어 빛을 발합니다.
맛과 영양은 그대로지만, 못생겼다고 버려졌던 못난이 농산물에 소비자들이 눈을 뜨고 있습니다.
못 생겨도 맛은 좋다는 '맛난이', 흠집 대신 '보조개' 같이 재치있는 이름까지 붙여 소비자들을 유혹합니다.
만족도가 높다보니 정기 구독 서비스도 인기입니다.
양배추, 버섯, 상추 등 한 두 끼 분량으로 포장한 제철 채소와 과일 꾸러미를 집앞까지 보내주는데요.
[KBS '뉴스광장'/업체 관계자 : "13(브릭스). 오 높네요. 다른 것도 하나 까봅시다."]
충청북도는 못난이 배추를 '못난이 김치'로 재탄생 시켰습니다.
해외 수출도 한다는 군요.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
이제 옛말이 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