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 이제 동해에서 활개…전통 어업 위기

입력 2025.03.19 (19:24) 수정 2025.03.19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난류성 어류인 참다랑어가 이제 동해에서도 심심찮게 잡히는 반면, 식탁의 단골 메뉴였던 오징어는 어느새 자취를 감췄습니다.

고수온에 따른 어종 변화로 우리 전통 어업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길이 1.6m, 무게가 314㎏에 이르는 초대형 참다랑어입니다.

한 달 전, 경북 영덕 앞바다에서 잡혔습니다.

주로 타이완과 일본 남쪽에서 잡히던 초대형 참다랑어가 고수온의 영향으로 동해까지 올라온 겁니다.

실제, 어획량도 폭증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 한 해 평균 3톤가량에 불과했던 동해 참다랑어 어획량은 2018년부터 2023년 사이에는 126톤에 달했습니다.

무려 40배 넘게 증가한 겁니다.

특히 지난해는 304톤이나 잡혔습니다.

심지어 독도 부근까지 참다랑어의 알이 확인됐습니다.

[지환성/국립수산과학원 박사 : "해양 환경 고수온이 계속 이어진다면 대표적인 난대성 어종인 참다랑어의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반면 한류성 어류는 우리 연안에서 사라지는 추셉니다.

특히 오징어 어획량은 지난해 만 3천 톤으로, 전년보다 42% 감소했습니다.

역대 최저치입니다.

오징어잡이 채낚기 어선들은 성어기인 지난 겨울, 출항을 접었습니다.

손해가 쌓이는데 정부 지원 예산 부족으로 감척조차 쉽지 않습니다.

[김월광/전국오징어채낚기 선주실무자 연합회장 : "금년에 13척 감척하는데 우리 채낚기가 한 90여 척 신청했습니다. 그런데 이 배를 가지고 있으면 있을수록 적자고 부도가 나고 하니까 하루라도 빨리 감척을…."]

지난해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84만 톤, 전년보다 11% 넘게 감소한 상황.

고수온에 따른 어종 변화로 인해 연근해 전통 어업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김명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참치 이제 동해에서 활개…전통 어업 위기
    • 입력 2025-03-19 19:24:02
    • 수정2025-03-19 20:02:11
    뉴스7(부산)
[앵커]

난류성 어류인 참다랑어가 이제 동해에서도 심심찮게 잡히는 반면, 식탁의 단골 메뉴였던 오징어는 어느새 자취를 감췄습니다.

고수온에 따른 어종 변화로 우리 전통 어업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길이 1.6m, 무게가 314㎏에 이르는 초대형 참다랑어입니다.

한 달 전, 경북 영덕 앞바다에서 잡혔습니다.

주로 타이완과 일본 남쪽에서 잡히던 초대형 참다랑어가 고수온의 영향으로 동해까지 올라온 겁니다.

실제, 어획량도 폭증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 한 해 평균 3톤가량에 불과했던 동해 참다랑어 어획량은 2018년부터 2023년 사이에는 126톤에 달했습니다.

무려 40배 넘게 증가한 겁니다.

특히 지난해는 304톤이나 잡혔습니다.

심지어 독도 부근까지 참다랑어의 알이 확인됐습니다.

[지환성/국립수산과학원 박사 : "해양 환경 고수온이 계속 이어진다면 대표적인 난대성 어종인 참다랑어의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반면 한류성 어류는 우리 연안에서 사라지는 추셉니다.

특히 오징어 어획량은 지난해 만 3천 톤으로, 전년보다 42% 감소했습니다.

역대 최저치입니다.

오징어잡이 채낚기 어선들은 성어기인 지난 겨울, 출항을 접었습니다.

손해가 쌓이는데 정부 지원 예산 부족으로 감척조차 쉽지 않습니다.

[김월광/전국오징어채낚기 선주실무자 연합회장 : "금년에 13척 감척하는데 우리 채낚기가 한 90여 척 신청했습니다. 그런데 이 배를 가지고 있으면 있을수록 적자고 부도가 나고 하니까 하루라도 빨리 감척을…."]

지난해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84만 톤, 전년보다 11% 넘게 감소한 상황.

고수온에 따른 어종 변화로 인해 연근해 전통 어업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김명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