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PICK] 산불 키우는 온난화…산불 공식도 깨졌다

입력 2025.03.27 (19:10) 수정 2025.03.27 (1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앵커가 주목한 뉴스, '앵커픽' 순서입니다.

최근 며칠 동안 산불의 기세가 얼마나 무서운지 목격했죠.

그런데, 메마른 계절에만 일어나는 재난이라기에는 강도와 빈도가 너무나도 강해지고, 세계 곳곳에서도 산불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산불 역시 기후 변화 때문에 더 위험해진다는 건데요.

'이번에도 온난화가?' 오늘의 앵커픽으로 준비했습니다.

[리포트]

메마른 땅에서 솟아오르는 시뻘건 불길.

40년 만에 캘리포니아에 최악의 피해를 준 지난 1월 LA 산불입니다.

초대형 산불의 배경은 3개월 동안 강수량이 불과 2.4밀리미터에 그친 역대급 가뭄.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하며 수분이 더 많이 증발한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번 영남 지역 산불 역시 바싹 마른 날씨에 때아닌 더위가 큰 영향을 줬습니다.

경북 의성의 경우 지난달 강수량은 4.8밀리미터로 평년의 20% 수준에 불과했고, 지난 주말 낮 기온은 26도를 넘겼습니다.

이런 기후변화는 기존 대형 산불의 공식도 깨고 있습니다.

보통 피해 면적 100헥타르 이상의 대형 산불은 '4월, 강원도 발생'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온 상승으로 발생 시기가 2월로 앞당겨지는가 하면, 발생지도 전국으로 확장하는 겁니다.

그간 대형 산불이 많지 않았던 전남도 2023년 2건이 발생하는 등 위험 징후가 보이고 있습니다.

[윤진호/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기후 변화 때문에 기온 자체가 올라가면서 전반적으로 건조하게 만들고 그러면 산불이 크게 자랄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는거죠."]

차원이 달라지고 있는 산불의 규모와 피해에 맞춰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25일 : "기후 위기로 산불은 갈수록 대형화·장기화되고 또 때와 장소도 가리지 않습니다. 추가 경정 예산안 편성에도 산불 예방 또는 대책 예산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입니다."]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할 경우를 가정할 때, 21세기 말에는 산불 위험도가 158%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오늘의 앵커픽이었습니다.

영상편집:이두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PICK] 산불 키우는 온난화…산불 공식도 깨졌다
    • 입력 2025-03-27 19:10:46
    • 수정2025-03-27 19:50:47
    뉴스7(광주)
[앵커]

앵커가 주목한 뉴스, '앵커픽' 순서입니다.

최근 며칠 동안 산불의 기세가 얼마나 무서운지 목격했죠.

그런데, 메마른 계절에만 일어나는 재난이라기에는 강도와 빈도가 너무나도 강해지고, 세계 곳곳에서도 산불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산불 역시 기후 변화 때문에 더 위험해진다는 건데요.

'이번에도 온난화가?' 오늘의 앵커픽으로 준비했습니다.

[리포트]

메마른 땅에서 솟아오르는 시뻘건 불길.

40년 만에 캘리포니아에 최악의 피해를 준 지난 1월 LA 산불입니다.

초대형 산불의 배경은 3개월 동안 강수량이 불과 2.4밀리미터에 그친 역대급 가뭄.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하며 수분이 더 많이 증발한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번 영남 지역 산불 역시 바싹 마른 날씨에 때아닌 더위가 큰 영향을 줬습니다.

경북 의성의 경우 지난달 강수량은 4.8밀리미터로 평년의 20% 수준에 불과했고, 지난 주말 낮 기온은 26도를 넘겼습니다.

이런 기후변화는 기존 대형 산불의 공식도 깨고 있습니다.

보통 피해 면적 100헥타르 이상의 대형 산불은 '4월, 강원도 발생'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온 상승으로 발생 시기가 2월로 앞당겨지는가 하면, 발생지도 전국으로 확장하는 겁니다.

그간 대형 산불이 많지 않았던 전남도 2023년 2건이 발생하는 등 위험 징후가 보이고 있습니다.

[윤진호/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기후 변화 때문에 기온 자체가 올라가면서 전반적으로 건조하게 만들고 그러면 산불이 크게 자랄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는거죠."]

차원이 달라지고 있는 산불의 규모와 피해에 맞춰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25일 : "기후 위기로 산불은 갈수록 대형화·장기화되고 또 때와 장소도 가리지 않습니다. 추가 경정 예산안 편성에도 산불 예방 또는 대책 예산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입니다."]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할 경우를 가정할 때, 21세기 말에는 산불 위험도가 158%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오늘의 앵커픽이었습니다.

영상편집:이두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