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핑] 산불 진화 헬기 잇단 추락…원인과 대책은? 외
입력 2025.04.14 (19:23)
수정 2025.04.14 (20: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 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지난 6일 대구에서 산불 진화 작업 중 헬기가 추락해 70대 조종사 한 명이 숨졌습니다.
지난달 26일 의성 산불 현장에서 헬기가 추락한 뒤 두 번째인데요.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세계일보는 지자체 임차 헬기의 노후화 문제를 짚었습니다.
대구와 의성 사고 헬기 기체 나이는 각각 44년과 30년이었는데요.
2013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 진화 중 헬기추락 사고 10건 중 7건이 지자체 임차 헬기였습니다.
예산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선 연한이 오래된 헬기를 조달청을 통해 최저가로 입찰하다 보니 안전 관리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는데요.
국가 차원에서 예산을 확보해 강풍에 강하고 담수량이 많은 날개가 동체에 고정된 '고정익 수송기'를 도입해야 한다는 공하성 우석대 교수의 의견도 함께 실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지자체가 헬기의 고장, 정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지자체와 헬기 업체가 계약할 때 헬기 규격서와 과업지시서 등은 주고받지만 여기에 안전 정보는 담겨 있지 않는데요.
윤대식 구미대 항공헬기정비학과장은 "항공안전법을 개정해 최소 정비사 요건을 법제화하거나 민간 헬기의 연령 상한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영남일보는 사설에서 뒤떨어지는 산불 대응력을 지적했습니다.
2023년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 48대 중 31대는 20년을 초과했고 가동률은 67% 수준인데요.
사망한 조종사들도 70대 고령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며 큰불이 날 때마다 헬기 노후화와 조종사 고령화 문제가 불거졌지만 대책은 흐지부지됐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지자체 차원에선 한계가 있다며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사진입니다.
인공호흡기를 단 신생아에게 '성질 더럽다'고 썼습니다.
양팔을 싸맨 사진에는 '열 받아서 억제시켰다'고 적었습니다.
대구가톨릭대병원 간호사가 신생아를 비하한 사진을 올려 학대 논란이 나오자, 추가로 제보된 사진들입니다.
최근 대구가톨릭대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SNS에 학대가 의심되는 게시글을 올려 논란입니다.
병원 측은 교직원윤리위 등을 거쳐 지난 4일 해당 간호사를 파면했는데요.
영남일보는 관련 대응에 나선 지역 의료계를 취재했습니다.
지역 대다수 병원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 안에서의 사진, 영상 촬영 금지 지침을 재차 공지했습니다.
소아병동이나 정신과 병동 등 취약 환자를 다루는 부서는 보호자와 접촉할 때 팀장을 동행하거나, 대화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도록 내부 방침을 바꾼 병원도 있는데요.
위기관리 전담팀을 신설하거나 간호사 대상 윤리·인권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동아일보는 CCTV 설치 등 예방 시스템의 필요성을 취재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아동학대 사례는 처음이 아닌데요.
2019년 부산의 한 산부인과 간호사가 신생아를 바닥에 떨어뜨려 의식불명 상태에 빠뜨렸고, 지난해에도 부산에서 간호조무사 등이 생후 19일 된 아기의 귀를 비트는 등 학대 행위를 벌인 것이 드러나 관계자 12명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신생아실 사고나 범죄는 의료진이 인정하지 않으면 입증하기 만큼 CCTV 설치가 필요하다"는 이종수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실효성을 짚었습니다.
의료법에 따라 간호사는 매년 8시간 이상씩 '보수교육'을 수료해야 하는데요.
온라인 교육인 데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은 필수가 아닙니다.
신생아실 CCTV 의무화에 대해서는 '정황을 밝히는 데 역할을 할 수는 있어도 사후 조치에 불과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는데요.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간호사 양성 과정부터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경찰이 논란이 된 간호사의 집과 휴대전화를 압수수색 한 데 이어 가해 정황이 확인된 다른 간호사들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은애
지난 6일 대구에서 산불 진화 작업 중 헬기가 추락해 70대 조종사 한 명이 숨졌습니다.
지난달 26일 의성 산불 현장에서 헬기가 추락한 뒤 두 번째인데요.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세계일보는 지자체 임차 헬기의 노후화 문제를 짚었습니다.
대구와 의성 사고 헬기 기체 나이는 각각 44년과 30년이었는데요.
2013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 진화 중 헬기추락 사고 10건 중 7건이 지자체 임차 헬기였습니다.
예산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선 연한이 오래된 헬기를 조달청을 통해 최저가로 입찰하다 보니 안전 관리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는데요.
국가 차원에서 예산을 확보해 강풍에 강하고 담수량이 많은 날개가 동체에 고정된 '고정익 수송기'를 도입해야 한다는 공하성 우석대 교수의 의견도 함께 실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지자체가 헬기의 고장, 정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지자체와 헬기 업체가 계약할 때 헬기 규격서와 과업지시서 등은 주고받지만 여기에 안전 정보는 담겨 있지 않는데요.
윤대식 구미대 항공헬기정비학과장은 "항공안전법을 개정해 최소 정비사 요건을 법제화하거나 민간 헬기의 연령 상한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영남일보는 사설에서 뒤떨어지는 산불 대응력을 지적했습니다.
2023년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 48대 중 31대는 20년을 초과했고 가동률은 67% 수준인데요.
사망한 조종사들도 70대 고령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며 큰불이 날 때마다 헬기 노후화와 조종사 고령화 문제가 불거졌지만 대책은 흐지부지됐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지자체 차원에선 한계가 있다며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사진입니다.
인공호흡기를 단 신생아에게 '성질 더럽다'고 썼습니다.
양팔을 싸맨 사진에는 '열 받아서 억제시켰다'고 적었습니다.
대구가톨릭대병원 간호사가 신생아를 비하한 사진을 올려 학대 논란이 나오자, 추가로 제보된 사진들입니다.
최근 대구가톨릭대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SNS에 학대가 의심되는 게시글을 올려 논란입니다.
병원 측은 교직원윤리위 등을 거쳐 지난 4일 해당 간호사를 파면했는데요.
영남일보는 관련 대응에 나선 지역 의료계를 취재했습니다.
지역 대다수 병원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 안에서의 사진, 영상 촬영 금지 지침을 재차 공지했습니다.
소아병동이나 정신과 병동 등 취약 환자를 다루는 부서는 보호자와 접촉할 때 팀장을 동행하거나, 대화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도록 내부 방침을 바꾼 병원도 있는데요.
위기관리 전담팀을 신설하거나 간호사 대상 윤리·인권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동아일보는 CCTV 설치 등 예방 시스템의 필요성을 취재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아동학대 사례는 처음이 아닌데요.
2019년 부산의 한 산부인과 간호사가 신생아를 바닥에 떨어뜨려 의식불명 상태에 빠뜨렸고, 지난해에도 부산에서 간호조무사 등이 생후 19일 된 아기의 귀를 비트는 등 학대 행위를 벌인 것이 드러나 관계자 12명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신생아실 사고나 범죄는 의료진이 인정하지 않으면 입증하기 만큼 CCTV 설치가 필요하다"는 이종수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실효성을 짚었습니다.
의료법에 따라 간호사는 매년 8시간 이상씩 '보수교육'을 수료해야 하는데요.
온라인 교육인 데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은 필수가 아닙니다.
신생아실 CCTV 의무화에 대해서는 '정황을 밝히는 데 역할을 할 수는 있어도 사후 조치에 불과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는데요.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간호사 양성 과정부터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경찰이 논란이 된 간호사의 집과 휴대전화를 압수수색 한 데 이어 가해 정황이 확인된 다른 간호사들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은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브리핑] 산불 진화 헬기 잇단 추락…원인과 대책은? 외
-
- 입력 2025-04-14 19:23:40
- 수정2025-04-14 20:36:27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 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지난 6일 대구에서 산불 진화 작업 중 헬기가 추락해 70대 조종사 한 명이 숨졌습니다.
지난달 26일 의성 산불 현장에서 헬기가 추락한 뒤 두 번째인데요.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세계일보는 지자체 임차 헬기의 노후화 문제를 짚었습니다.
대구와 의성 사고 헬기 기체 나이는 각각 44년과 30년이었는데요.
2013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 진화 중 헬기추락 사고 10건 중 7건이 지자체 임차 헬기였습니다.
예산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선 연한이 오래된 헬기를 조달청을 통해 최저가로 입찰하다 보니 안전 관리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는데요.
국가 차원에서 예산을 확보해 강풍에 강하고 담수량이 많은 날개가 동체에 고정된 '고정익 수송기'를 도입해야 한다는 공하성 우석대 교수의 의견도 함께 실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지자체가 헬기의 고장, 정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지자체와 헬기 업체가 계약할 때 헬기 규격서와 과업지시서 등은 주고받지만 여기에 안전 정보는 담겨 있지 않는데요.
윤대식 구미대 항공헬기정비학과장은 "항공안전법을 개정해 최소 정비사 요건을 법제화하거나 민간 헬기의 연령 상한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영남일보는 사설에서 뒤떨어지는 산불 대응력을 지적했습니다.
2023년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 48대 중 31대는 20년을 초과했고 가동률은 67% 수준인데요.
사망한 조종사들도 70대 고령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며 큰불이 날 때마다 헬기 노후화와 조종사 고령화 문제가 불거졌지만 대책은 흐지부지됐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지자체 차원에선 한계가 있다며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사진입니다.
인공호흡기를 단 신생아에게 '성질 더럽다'고 썼습니다.
양팔을 싸맨 사진에는 '열 받아서 억제시켰다'고 적었습니다.
대구가톨릭대병원 간호사가 신생아를 비하한 사진을 올려 학대 논란이 나오자, 추가로 제보된 사진들입니다.
최근 대구가톨릭대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SNS에 학대가 의심되는 게시글을 올려 논란입니다.
병원 측은 교직원윤리위 등을 거쳐 지난 4일 해당 간호사를 파면했는데요.
영남일보는 관련 대응에 나선 지역 의료계를 취재했습니다.
지역 대다수 병원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 안에서의 사진, 영상 촬영 금지 지침을 재차 공지했습니다.
소아병동이나 정신과 병동 등 취약 환자를 다루는 부서는 보호자와 접촉할 때 팀장을 동행하거나, 대화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도록 내부 방침을 바꾼 병원도 있는데요.
위기관리 전담팀을 신설하거나 간호사 대상 윤리·인권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동아일보는 CCTV 설치 등 예방 시스템의 필요성을 취재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아동학대 사례는 처음이 아닌데요.
2019년 부산의 한 산부인과 간호사가 신생아를 바닥에 떨어뜨려 의식불명 상태에 빠뜨렸고, 지난해에도 부산에서 간호조무사 등이 생후 19일 된 아기의 귀를 비트는 등 학대 행위를 벌인 것이 드러나 관계자 12명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신생아실 사고나 범죄는 의료진이 인정하지 않으면 입증하기 만큼 CCTV 설치가 필요하다"는 이종수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실효성을 짚었습니다.
의료법에 따라 간호사는 매년 8시간 이상씩 '보수교육'을 수료해야 하는데요.
온라인 교육인 데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은 필수가 아닙니다.
신생아실 CCTV 의무화에 대해서는 '정황을 밝히는 데 역할을 할 수는 있어도 사후 조치에 불과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는데요.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간호사 양성 과정부터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경찰이 논란이 된 간호사의 집과 휴대전화를 압수수색 한 데 이어 가해 정황이 확인된 다른 간호사들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은애
지난 6일 대구에서 산불 진화 작업 중 헬기가 추락해 70대 조종사 한 명이 숨졌습니다.
지난달 26일 의성 산불 현장에서 헬기가 추락한 뒤 두 번째인데요.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세계일보는 지자체 임차 헬기의 노후화 문제를 짚었습니다.
대구와 의성 사고 헬기 기체 나이는 각각 44년과 30년이었는데요.
2013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 진화 중 헬기추락 사고 10건 중 7건이 지자체 임차 헬기였습니다.
예산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선 연한이 오래된 헬기를 조달청을 통해 최저가로 입찰하다 보니 안전 관리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는데요.
국가 차원에서 예산을 확보해 강풍에 강하고 담수량이 많은 날개가 동체에 고정된 '고정익 수송기'를 도입해야 한다는 공하성 우석대 교수의 의견도 함께 실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지자체가 헬기의 고장, 정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지자체와 헬기 업체가 계약할 때 헬기 규격서와 과업지시서 등은 주고받지만 여기에 안전 정보는 담겨 있지 않는데요.
윤대식 구미대 항공헬기정비학과장은 "항공안전법을 개정해 최소 정비사 요건을 법제화하거나 민간 헬기의 연령 상한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영남일보는 사설에서 뒤떨어지는 산불 대응력을 지적했습니다.
2023년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 48대 중 31대는 20년을 초과했고 가동률은 67% 수준인데요.
사망한 조종사들도 70대 고령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며 큰불이 날 때마다 헬기 노후화와 조종사 고령화 문제가 불거졌지만 대책은 흐지부지됐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지자체 차원에선 한계가 있다며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사진입니다.
인공호흡기를 단 신생아에게 '성질 더럽다'고 썼습니다.
양팔을 싸맨 사진에는 '열 받아서 억제시켰다'고 적었습니다.
대구가톨릭대병원 간호사가 신생아를 비하한 사진을 올려 학대 논란이 나오자, 추가로 제보된 사진들입니다.
최근 대구가톨릭대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SNS에 학대가 의심되는 게시글을 올려 논란입니다.
병원 측은 교직원윤리위 등을 거쳐 지난 4일 해당 간호사를 파면했는데요.
영남일보는 관련 대응에 나선 지역 의료계를 취재했습니다.
지역 대다수 병원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 안에서의 사진, 영상 촬영 금지 지침을 재차 공지했습니다.
소아병동이나 정신과 병동 등 취약 환자를 다루는 부서는 보호자와 접촉할 때 팀장을 동행하거나, 대화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도록 내부 방침을 바꾼 병원도 있는데요.
위기관리 전담팀을 신설하거나 간호사 대상 윤리·인권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동아일보는 CCTV 설치 등 예방 시스템의 필요성을 취재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아동학대 사례는 처음이 아닌데요.
2019년 부산의 한 산부인과 간호사가 신생아를 바닥에 떨어뜨려 의식불명 상태에 빠뜨렸고, 지난해에도 부산에서 간호조무사 등이 생후 19일 된 아기의 귀를 비트는 등 학대 행위를 벌인 것이 드러나 관계자 12명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신생아실 사고나 범죄는 의료진이 인정하지 않으면 입증하기 만큼 CCTV 설치가 필요하다"는 이종수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실효성을 짚었습니다.
의료법에 따라 간호사는 매년 8시간 이상씩 '보수교육'을 수료해야 하는데요.
온라인 교육인 데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은 필수가 아닙니다.
신생아실 CCTV 의무화에 대해서는 '정황을 밝히는 데 역할을 할 수는 있어도 사후 조치에 불과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는데요.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간호사 양성 과정부터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경찰이 논란이 된 간호사의 집과 휴대전화를 압수수색 한 데 이어 가해 정황이 확인된 다른 간호사들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은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