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스웨덴 시장 만나 친환경 정책 논의…“도시 산업구조 전환 필요”
입력 2025.04.17 (15:45)
수정 2025.04.17 (15: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대선 경선 후보가 친환경 도시 전환을 이끌어낸 카트린 스테른펠트 잠메 스웨덴 말뫼 시 시장을 만나 산업 전환 성공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김 후보는 오늘(17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청에서 진행한 간담회에서 잠메 시장과 탄소 저감과 지방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김 후보는 “제가 (도지사로) 있던 경남을 비롯해서 남부 지역이 제조업이 강한 도시였는데, 이런 도시들이 산업구조 전환을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스웨덴 말뫼 시는 주력 산업이던 조선소가 무너진 뒤 교육 혁신, 연구 혁신 등을 통해 청년 인재 양성, 혁신 창업 생태계와 친환경 도시 조성을 통해 성공적으로 산업 전환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김 후보는 잠메 시장에 “지방정부와 함께 중앙정부가 어떤 전략과 어떤 방향으로 어떤 정책을 가지고 산업전환을 이뤘는지 조언해달라”고 했고, 잠메 시장은 “정립하고자 했던 도시 정체성은 지속가능성”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잠메 시장은 “(중앙정부가) 녹색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대출 등 규정을 잘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광범위한 차원의 인프라 논의, 폐기물 관리, 수질관리, 또 도시계획에 녹색 전환을 포함하는 등 넓은 범위에서 논의해 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도시 인프라 구축, 에너지 효율성 논의 등을 계속해서 노력한 결과 인구의 40% 이상이 29세 미만인 인구구조를 갖게 됐다”며 “조선소 부지를 말뫼 대학교로 조성하고 주변에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과정을 거쳐 청년들이 다시 돌아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야심 찬 목표를 설정하고, 도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는 게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신속한 기후변화 대응 필요…정부 출범 직후 세종 집무실 만들어야
김 지사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 기후변화 대응이 제대로 대응이 안 되는 상황”이라며 “문재인 정부 당시 세웠던 계획이 다 백지화되고 오히려 재생에너지 전환에 대해선 거꾸로 가는 정책도 꽤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기후 경제라고 하는 게 단지 환경의 문제가 아니라 이젠 산업의 문제, 경제의 문제가 됐다”며 “특히나 우리처럼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가에선 수출 장벽으로도 작용하게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가 강조한 AI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선 대규모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선 “원전을 포함해 기존 에너지와의 조화를 어떻게 이뤄 AI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 수요를 댈 것인가는 함께 풀어야 하는 과제 중 하나”라며 “원전의 축소 속도를 조절할 필요는 있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AI 시대가 되면 전력 수요를 적절하게 AI가 조절해서 지금보다 훨씬 적은 용량만으로도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망 공급 체계가 가능하다”며 “전력이나 에너지가 많이 들 거라 생각하고 원전을 무조건 키워야 한다는 건 한쪽 측면만 바라보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민주당의 첫 순회 경선이 시작된 충청권 대상 공약에 대해 김 전 지사는 “출마 선언 때 충청권 공약을 1차 발표했다”면서 “세종 집무실을 다음 정부 출범 직후부터 함께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서울과 세종에 동시에 집무실을 마련하고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된 법적 정비를 통해서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행정수도를 이전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속도를 강조했습니다.
이어 “충청권이란 권역 단위로 광역 교통망과 대학 연구소 기업 중심의 인재 양성체계, 첨단 산업 분야 육성이 메가시티 계획 안에 포함돼 있다”며 “메가시티별 공약은 따로 발표할 기회를 갖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후보는 오늘(17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청에서 진행한 간담회에서 잠메 시장과 탄소 저감과 지방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김 후보는 “제가 (도지사로) 있던 경남을 비롯해서 남부 지역이 제조업이 강한 도시였는데, 이런 도시들이 산업구조 전환을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스웨덴 말뫼 시는 주력 산업이던 조선소가 무너진 뒤 교육 혁신, 연구 혁신 등을 통해 청년 인재 양성, 혁신 창업 생태계와 친환경 도시 조성을 통해 성공적으로 산업 전환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김 후보는 잠메 시장에 “지방정부와 함께 중앙정부가 어떤 전략과 어떤 방향으로 어떤 정책을 가지고 산업전환을 이뤘는지 조언해달라”고 했고, 잠메 시장은 “정립하고자 했던 도시 정체성은 지속가능성”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잠메 시장은 “(중앙정부가) 녹색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대출 등 규정을 잘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광범위한 차원의 인프라 논의, 폐기물 관리, 수질관리, 또 도시계획에 녹색 전환을 포함하는 등 넓은 범위에서 논의해 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도시 인프라 구축, 에너지 효율성 논의 등을 계속해서 노력한 결과 인구의 40% 이상이 29세 미만인 인구구조를 갖게 됐다”며 “조선소 부지를 말뫼 대학교로 조성하고 주변에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과정을 거쳐 청년들이 다시 돌아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야심 찬 목표를 설정하고, 도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는 게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신속한 기후변화 대응 필요…정부 출범 직후 세종 집무실 만들어야
김 지사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 기후변화 대응이 제대로 대응이 안 되는 상황”이라며 “문재인 정부 당시 세웠던 계획이 다 백지화되고 오히려 재생에너지 전환에 대해선 거꾸로 가는 정책도 꽤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기후 경제라고 하는 게 단지 환경의 문제가 아니라 이젠 산업의 문제, 경제의 문제가 됐다”며 “특히나 우리처럼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가에선 수출 장벽으로도 작용하게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가 강조한 AI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선 대규모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선 “원전을 포함해 기존 에너지와의 조화를 어떻게 이뤄 AI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 수요를 댈 것인가는 함께 풀어야 하는 과제 중 하나”라며 “원전의 축소 속도를 조절할 필요는 있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AI 시대가 되면 전력 수요를 적절하게 AI가 조절해서 지금보다 훨씬 적은 용량만으로도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망 공급 체계가 가능하다”며 “전력이나 에너지가 많이 들 거라 생각하고 원전을 무조건 키워야 한다는 건 한쪽 측면만 바라보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민주당의 첫 순회 경선이 시작된 충청권 대상 공약에 대해 김 전 지사는 “출마 선언 때 충청권 공약을 1차 발표했다”면서 “세종 집무실을 다음 정부 출범 직후부터 함께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서울과 세종에 동시에 집무실을 마련하고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된 법적 정비를 통해서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행정수도를 이전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속도를 강조했습니다.
이어 “충청권이란 권역 단위로 광역 교통망과 대학 연구소 기업 중심의 인재 양성체계, 첨단 산업 분야 육성이 메가시티 계획 안에 포함돼 있다”며 “메가시티별 공약은 따로 발표할 기회를 갖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경수, 스웨덴 시장 만나 친환경 정책 논의…“도시 산업구조 전환 필요”
-
- 입력 2025-04-17 15:45:47
- 수정2025-04-17 15:48:50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대선 경선 후보가 친환경 도시 전환을 이끌어낸 카트린 스테른펠트 잠메 스웨덴 말뫼 시 시장을 만나 산업 전환 성공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김 후보는 오늘(17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청에서 진행한 간담회에서 잠메 시장과 탄소 저감과 지방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김 후보는 “제가 (도지사로) 있던 경남을 비롯해서 남부 지역이 제조업이 강한 도시였는데, 이런 도시들이 산업구조 전환을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스웨덴 말뫼 시는 주력 산업이던 조선소가 무너진 뒤 교육 혁신, 연구 혁신 등을 통해 청년 인재 양성, 혁신 창업 생태계와 친환경 도시 조성을 통해 성공적으로 산업 전환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김 후보는 잠메 시장에 “지방정부와 함께 중앙정부가 어떤 전략과 어떤 방향으로 어떤 정책을 가지고 산업전환을 이뤘는지 조언해달라”고 했고, 잠메 시장은 “정립하고자 했던 도시 정체성은 지속가능성”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잠메 시장은 “(중앙정부가) 녹색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대출 등 규정을 잘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광범위한 차원의 인프라 논의, 폐기물 관리, 수질관리, 또 도시계획에 녹색 전환을 포함하는 등 넓은 범위에서 논의해 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도시 인프라 구축, 에너지 효율성 논의 등을 계속해서 노력한 결과 인구의 40% 이상이 29세 미만인 인구구조를 갖게 됐다”며 “조선소 부지를 말뫼 대학교로 조성하고 주변에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과정을 거쳐 청년들이 다시 돌아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야심 찬 목표를 설정하고, 도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는 게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신속한 기후변화 대응 필요…정부 출범 직후 세종 집무실 만들어야
김 지사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 기후변화 대응이 제대로 대응이 안 되는 상황”이라며 “문재인 정부 당시 세웠던 계획이 다 백지화되고 오히려 재생에너지 전환에 대해선 거꾸로 가는 정책도 꽤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기후 경제라고 하는 게 단지 환경의 문제가 아니라 이젠 산업의 문제, 경제의 문제가 됐다”며 “특히나 우리처럼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가에선 수출 장벽으로도 작용하게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가 강조한 AI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선 대규모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선 “원전을 포함해 기존 에너지와의 조화를 어떻게 이뤄 AI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 수요를 댈 것인가는 함께 풀어야 하는 과제 중 하나”라며 “원전의 축소 속도를 조절할 필요는 있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AI 시대가 되면 전력 수요를 적절하게 AI가 조절해서 지금보다 훨씬 적은 용량만으로도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망 공급 체계가 가능하다”며 “전력이나 에너지가 많이 들 거라 생각하고 원전을 무조건 키워야 한다는 건 한쪽 측면만 바라보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민주당의 첫 순회 경선이 시작된 충청권 대상 공약에 대해 김 전 지사는 “출마 선언 때 충청권 공약을 1차 발표했다”면서 “세종 집무실을 다음 정부 출범 직후부터 함께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서울과 세종에 동시에 집무실을 마련하고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된 법적 정비를 통해서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행정수도를 이전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속도를 강조했습니다.
이어 “충청권이란 권역 단위로 광역 교통망과 대학 연구소 기업 중심의 인재 양성체계, 첨단 산업 분야 육성이 메가시티 계획 안에 포함돼 있다”며 “메가시티별 공약은 따로 발표할 기회를 갖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후보는 오늘(17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청에서 진행한 간담회에서 잠메 시장과 탄소 저감과 지방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김 후보는 “제가 (도지사로) 있던 경남을 비롯해서 남부 지역이 제조업이 강한 도시였는데, 이런 도시들이 산업구조 전환을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스웨덴 말뫼 시는 주력 산업이던 조선소가 무너진 뒤 교육 혁신, 연구 혁신 등을 통해 청년 인재 양성, 혁신 창업 생태계와 친환경 도시 조성을 통해 성공적으로 산업 전환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김 후보는 잠메 시장에 “지방정부와 함께 중앙정부가 어떤 전략과 어떤 방향으로 어떤 정책을 가지고 산업전환을 이뤘는지 조언해달라”고 했고, 잠메 시장은 “정립하고자 했던 도시 정체성은 지속가능성”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잠메 시장은 “(중앙정부가) 녹색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대출 등 규정을 잘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광범위한 차원의 인프라 논의, 폐기물 관리, 수질관리, 또 도시계획에 녹색 전환을 포함하는 등 넓은 범위에서 논의해 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도시 인프라 구축, 에너지 효율성 논의 등을 계속해서 노력한 결과 인구의 40% 이상이 29세 미만인 인구구조를 갖게 됐다”며 “조선소 부지를 말뫼 대학교로 조성하고 주변에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과정을 거쳐 청년들이 다시 돌아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선 야심 찬 목표를 설정하고, 도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는 게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신속한 기후변화 대응 필요…정부 출범 직후 세종 집무실 만들어야
김 지사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 기후변화 대응이 제대로 대응이 안 되는 상황”이라며 “문재인 정부 당시 세웠던 계획이 다 백지화되고 오히려 재생에너지 전환에 대해선 거꾸로 가는 정책도 꽤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기후 경제라고 하는 게 단지 환경의 문제가 아니라 이젠 산업의 문제, 경제의 문제가 됐다”며 “특히나 우리처럼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가에선 수출 장벽으로도 작용하게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가 강조한 AI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선 대규모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선 “원전을 포함해 기존 에너지와의 조화를 어떻게 이뤄 AI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 수요를 댈 것인가는 함께 풀어야 하는 과제 중 하나”라며 “원전의 축소 속도를 조절할 필요는 있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AI 시대가 되면 전력 수요를 적절하게 AI가 조절해서 지금보다 훨씬 적은 용량만으로도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망 공급 체계가 가능하다”며 “전력이나 에너지가 많이 들 거라 생각하고 원전을 무조건 키워야 한다는 건 한쪽 측면만 바라보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민주당의 첫 순회 경선이 시작된 충청권 대상 공약에 대해 김 전 지사는 “출마 선언 때 충청권 공약을 1차 발표했다”면서 “세종 집무실을 다음 정부 출범 직후부터 함께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서울과 세종에 동시에 집무실을 마련하고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된 법적 정비를 통해서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행정수도를 이전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속도를 강조했습니다.
이어 “충청권이란 권역 단위로 광역 교통망과 대학 연구소 기업 중심의 인재 양성체계, 첨단 산업 분야 육성이 메가시티 계획 안에 포함돼 있다”며 “메가시티별 공약은 따로 발표할 기회를 갖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원동희 기자 eastshine@kbs.co.kr
원동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6월 3일 21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