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려 쓰는 닥터헬기…“충북 이착륙장 9곳뿐”
입력 2025.05.13 (21:40)
수정 2025.05.13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응급 환자를 신속하게 옮기면서 치료하는 '닥터헬기'가 충북에는 없습니다.
주변 지역에서 빌려 쓰고 있는데요.
닥터헬기가 안전하게 내리고 뜰 수 있는 이착륙장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진희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슴 통증으로 단양군보건의료원을 찾았던 63살 김종덕 씨.
급성 심근경색을 확인한 의료진이 강원도 원주의 상급병원으로 신속하게 옮겨 일주일도 안 돼 크게 회복됐습니다.
[김종덕/급성 심근경색 환자 : "'골든타임 확보 안 됐으면 죽었을 거다'라고 그러더라고요. 그래서 너무 감사하더라고요. 한 생명을 살려주셔서 감사해요."]
김 씨를 차로 한 시간 거리의 병원에 십여 분 만에 옮긴 건 닥터헬기였습니다.
[심정민/단양군보건의료원 의료진 : "쇼크 상태 전 단계까지 (몸이) 축축하고, 피부가 차갑게 되고, 통증을 계속 호소하셨고요."]
충북엔 닥터헬기가 없어 강원도나 충남에서 급파하는데 때마침 이용할 수 있었고, 단양군보건의료원 근처에 전용 이착륙장이 있어 골든타임 안에 응급 처치를 받았습니다.
[구도은/단양군 보건의료과장 : "환자가 꼭 보건의료원 근처에만 있는 게 아니잖아요. 헬기가 뜰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해 놓는 게 좋겠다고 해서 (지정했습니다)."]
닥터헬기는 환자 이송과 응급 처치가 함께 이뤄져 안전하게 내리고 뜨기 위한 이착륙장, 환자 인계점 확보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충북의 닥터헬기 이착륙장은 9곳이 전부입니다.
주변 민원이나 야간 조명시설 확보 등 까다로운 지정 여건 속에서도, 강원도나 충남이 각각 100곳 안팎을 확보해 둔 것과 대조적입니다.
[정기우/강원응급의료센터 닥터헬기 기장 : "한 곳이 다른 이유로 운용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바로 예비지가 나와야 하거든요. 여러 군데를 해놔야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해결할 수 있고, 환자를 원하는 시간대에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요."]
의정 갈등 여파로 혼선을 빚기 전, 전국의 닥터헬기 8대가 이송한 환자는 한 해 천5백 명 안팎.
아직 자체 닥터헬기는 없지만 중증 응급 환자 치료에 지역 경계가 없는 만큼, 헬기 이착륙장부터라도 적극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응급 환자를 신속하게 옮기면서 치료하는 '닥터헬기'가 충북에는 없습니다.
주변 지역에서 빌려 쓰고 있는데요.
닥터헬기가 안전하게 내리고 뜰 수 있는 이착륙장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진희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슴 통증으로 단양군보건의료원을 찾았던 63살 김종덕 씨.
급성 심근경색을 확인한 의료진이 강원도 원주의 상급병원으로 신속하게 옮겨 일주일도 안 돼 크게 회복됐습니다.
[김종덕/급성 심근경색 환자 : "'골든타임 확보 안 됐으면 죽었을 거다'라고 그러더라고요. 그래서 너무 감사하더라고요. 한 생명을 살려주셔서 감사해요."]
김 씨를 차로 한 시간 거리의 병원에 십여 분 만에 옮긴 건 닥터헬기였습니다.
[심정민/단양군보건의료원 의료진 : "쇼크 상태 전 단계까지 (몸이) 축축하고, 피부가 차갑게 되고, 통증을 계속 호소하셨고요."]
충북엔 닥터헬기가 없어 강원도나 충남에서 급파하는데 때마침 이용할 수 있었고, 단양군보건의료원 근처에 전용 이착륙장이 있어 골든타임 안에 응급 처치를 받았습니다.
[구도은/단양군 보건의료과장 : "환자가 꼭 보건의료원 근처에만 있는 게 아니잖아요. 헬기가 뜰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해 놓는 게 좋겠다고 해서 (지정했습니다)."]
닥터헬기는 환자 이송과 응급 처치가 함께 이뤄져 안전하게 내리고 뜨기 위한 이착륙장, 환자 인계점 확보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충북의 닥터헬기 이착륙장은 9곳이 전부입니다.
주변 민원이나 야간 조명시설 확보 등 까다로운 지정 여건 속에서도, 강원도나 충남이 각각 100곳 안팎을 확보해 둔 것과 대조적입니다.
[정기우/강원응급의료센터 닥터헬기 기장 : "한 곳이 다른 이유로 운용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바로 예비지가 나와야 하거든요. 여러 군데를 해놔야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해결할 수 있고, 환자를 원하는 시간대에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요."]
의정 갈등 여파로 혼선을 빚기 전, 전국의 닥터헬기 8대가 이송한 환자는 한 해 천5백 명 안팎.
아직 자체 닥터헬기는 없지만 중증 응급 환자 치료에 지역 경계가 없는 만큼, 헬기 이착륙장부터라도 적극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빌려 쓰는 닥터헬기…“충북 이착륙장 9곳뿐”
-
- 입력 2025-05-13 21:40:54
- 수정2025-05-13 22:07:09

[앵커]
응급 환자를 신속하게 옮기면서 치료하는 '닥터헬기'가 충북에는 없습니다.
주변 지역에서 빌려 쓰고 있는데요.
닥터헬기가 안전하게 내리고 뜰 수 있는 이착륙장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진희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슴 통증으로 단양군보건의료원을 찾았던 63살 김종덕 씨.
급성 심근경색을 확인한 의료진이 강원도 원주의 상급병원으로 신속하게 옮겨 일주일도 안 돼 크게 회복됐습니다.
[김종덕/급성 심근경색 환자 : "'골든타임 확보 안 됐으면 죽었을 거다'라고 그러더라고요. 그래서 너무 감사하더라고요. 한 생명을 살려주셔서 감사해요."]
김 씨를 차로 한 시간 거리의 병원에 십여 분 만에 옮긴 건 닥터헬기였습니다.
[심정민/단양군보건의료원 의료진 : "쇼크 상태 전 단계까지 (몸이) 축축하고, 피부가 차갑게 되고, 통증을 계속 호소하셨고요."]
충북엔 닥터헬기가 없어 강원도나 충남에서 급파하는데 때마침 이용할 수 있었고, 단양군보건의료원 근처에 전용 이착륙장이 있어 골든타임 안에 응급 처치를 받았습니다.
[구도은/단양군 보건의료과장 : "환자가 꼭 보건의료원 근처에만 있는 게 아니잖아요. 헬기가 뜰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해 놓는 게 좋겠다고 해서 (지정했습니다)."]
닥터헬기는 환자 이송과 응급 처치가 함께 이뤄져 안전하게 내리고 뜨기 위한 이착륙장, 환자 인계점 확보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충북의 닥터헬기 이착륙장은 9곳이 전부입니다.
주변 민원이나 야간 조명시설 확보 등 까다로운 지정 여건 속에서도, 강원도나 충남이 각각 100곳 안팎을 확보해 둔 것과 대조적입니다.
[정기우/강원응급의료센터 닥터헬기 기장 : "한 곳이 다른 이유로 운용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바로 예비지가 나와야 하거든요. 여러 군데를 해놔야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해결할 수 있고, 환자를 원하는 시간대에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요."]
의정 갈등 여파로 혼선을 빚기 전, 전국의 닥터헬기 8대가 이송한 환자는 한 해 천5백 명 안팎.
아직 자체 닥터헬기는 없지만 중증 응급 환자 치료에 지역 경계가 없는 만큼, 헬기 이착륙장부터라도 적극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응급 환자를 신속하게 옮기면서 치료하는 '닥터헬기'가 충북에는 없습니다.
주변 지역에서 빌려 쓰고 있는데요.
닥터헬기가 안전하게 내리고 뜰 수 있는 이착륙장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진희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슴 통증으로 단양군보건의료원을 찾았던 63살 김종덕 씨.
급성 심근경색을 확인한 의료진이 강원도 원주의 상급병원으로 신속하게 옮겨 일주일도 안 돼 크게 회복됐습니다.
[김종덕/급성 심근경색 환자 : "'골든타임 확보 안 됐으면 죽었을 거다'라고 그러더라고요. 그래서 너무 감사하더라고요. 한 생명을 살려주셔서 감사해요."]
김 씨를 차로 한 시간 거리의 병원에 십여 분 만에 옮긴 건 닥터헬기였습니다.
[심정민/단양군보건의료원 의료진 : "쇼크 상태 전 단계까지 (몸이) 축축하고, 피부가 차갑게 되고, 통증을 계속 호소하셨고요."]
충북엔 닥터헬기가 없어 강원도나 충남에서 급파하는데 때마침 이용할 수 있었고, 단양군보건의료원 근처에 전용 이착륙장이 있어 골든타임 안에 응급 처치를 받았습니다.
[구도은/단양군 보건의료과장 : "환자가 꼭 보건의료원 근처에만 있는 게 아니잖아요. 헬기가 뜰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해 놓는 게 좋겠다고 해서 (지정했습니다)."]
닥터헬기는 환자 이송과 응급 처치가 함께 이뤄져 안전하게 내리고 뜨기 위한 이착륙장, 환자 인계점 확보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충북의 닥터헬기 이착륙장은 9곳이 전부입니다.
주변 민원이나 야간 조명시설 확보 등 까다로운 지정 여건 속에서도, 강원도나 충남이 각각 100곳 안팎을 확보해 둔 것과 대조적입니다.
[정기우/강원응급의료센터 닥터헬기 기장 : "한 곳이 다른 이유로 운용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바로 예비지가 나와야 하거든요. 여러 군데를 해놔야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해결할 수 있고, 환자를 원하는 시간대에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요."]
의정 갈등 여파로 혼선을 빚기 전, 전국의 닥터헬기 8대가 이송한 환자는 한 해 천5백 명 안팎.
아직 자체 닥터헬기는 없지만 중증 응급 환자 치료에 지역 경계가 없는 만큼, 헬기 이착륙장부터라도 적극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
-
진희정 기자 5w1h@kbs.co.kr
진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