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못 줄이면 2~3년마다 ‘극한 열대야’
입력 2025.05.22 (19:21)
수정 2025.05.22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직 5월인데, 후덥지근한 밤공기에 냉방기기 켜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올해도 지난해 같은 극한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 아닌지 우려가 큰 데요.
탄소 배출을 못 줄이면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닥칠 거란 경고가 나왔습니다.
신방실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가 거의 떨어졌는데도 한강변 공기는 후덥지근합니다.
본격적인 여름은 한참 남았는데 벌써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지 시민들은 걱정합니다.
[진하랑/광주광역시 북구 : "이번 주부터는 너무 더워져서 여름 이불도 꺼내고 곧 열대야가 찾아올까 봐 너무 두려워요."]
지난해 열대야는 6월 강릉 지역에서 처음 관측돼, 9월까지 이어졌습니다.
특히 9월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는 4.3일로, 평년 수준의 40배를 넘었습니다.
가을에 접어든 9월이면 밤 기온이 떨어져야 하는데, 열 고기압의 이례적인 확장이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을 막았던 겁니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 바다가 평년보다 3~4도 달아오르며 많은 수증기가 밀려든 것도 원인이었습니다.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이런 극한 열대야는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온난화 폭이 1.5도 수준일 경우 51년에 한 번 수준이지만, '2도 온난화'에선 10년에 한 번으로 잦아집니다.
'2.5도 온난화'에선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0.5도, 1도 이 정도 차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겪게 되는 입장에서는 전례 없었던 그런 더위가, 늦더위가 찾아와서 큰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재앙적인 수준으로 치닫기 전에 보다 적극적인 탄소 감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조용호 서원철/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여현수
아직 5월인데, 후덥지근한 밤공기에 냉방기기 켜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올해도 지난해 같은 극한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 아닌지 우려가 큰 데요.
탄소 배출을 못 줄이면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닥칠 거란 경고가 나왔습니다.
신방실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가 거의 떨어졌는데도 한강변 공기는 후덥지근합니다.
본격적인 여름은 한참 남았는데 벌써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지 시민들은 걱정합니다.
[진하랑/광주광역시 북구 : "이번 주부터는 너무 더워져서 여름 이불도 꺼내고 곧 열대야가 찾아올까 봐 너무 두려워요."]
지난해 열대야는 6월 강릉 지역에서 처음 관측돼, 9월까지 이어졌습니다.
특히 9월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는 4.3일로, 평년 수준의 40배를 넘었습니다.
가을에 접어든 9월이면 밤 기온이 떨어져야 하는데, 열 고기압의 이례적인 확장이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을 막았던 겁니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 바다가 평년보다 3~4도 달아오르며 많은 수증기가 밀려든 것도 원인이었습니다.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이런 극한 열대야는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온난화 폭이 1.5도 수준일 경우 51년에 한 번 수준이지만, '2도 온난화'에선 10년에 한 번으로 잦아집니다.
'2.5도 온난화'에선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0.5도, 1도 이 정도 차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겪게 되는 입장에서는 전례 없었던 그런 더위가, 늦더위가 찾아와서 큰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재앙적인 수준으로 치닫기 전에 보다 적극적인 탄소 감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조용호 서원철/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소 못 줄이면 2~3년마다 ‘극한 열대야’
-
- 입력 2025-05-22 19:21:57
- 수정2025-05-22 22:07:47

[앵커]
아직 5월인데, 후덥지근한 밤공기에 냉방기기 켜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올해도 지난해 같은 극한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 아닌지 우려가 큰 데요.
탄소 배출을 못 줄이면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닥칠 거란 경고가 나왔습니다.
신방실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가 거의 떨어졌는데도 한강변 공기는 후덥지근합니다.
본격적인 여름은 한참 남았는데 벌써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지 시민들은 걱정합니다.
[진하랑/광주광역시 북구 : "이번 주부터는 너무 더워져서 여름 이불도 꺼내고 곧 열대야가 찾아올까 봐 너무 두려워요."]
지난해 열대야는 6월 강릉 지역에서 처음 관측돼, 9월까지 이어졌습니다.
특히 9월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는 4.3일로, 평년 수준의 40배를 넘었습니다.
가을에 접어든 9월이면 밤 기온이 떨어져야 하는데, 열 고기압의 이례적인 확장이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을 막았던 겁니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 바다가 평년보다 3~4도 달아오르며 많은 수증기가 밀려든 것도 원인이었습니다.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이런 극한 열대야는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온난화 폭이 1.5도 수준일 경우 51년에 한 번 수준이지만, '2도 온난화'에선 10년에 한 번으로 잦아집니다.
'2.5도 온난화'에선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0.5도, 1도 이 정도 차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겪게 되는 입장에서는 전례 없었던 그런 더위가, 늦더위가 찾아와서 큰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재앙적인 수준으로 치닫기 전에 보다 적극적인 탄소 감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조용호 서원철/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여현수
아직 5월인데, 후덥지근한 밤공기에 냉방기기 켜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올해도 지난해 같은 극한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 아닌지 우려가 큰 데요.
탄소 배출을 못 줄이면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닥칠 거란 경고가 나왔습니다.
신방실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가 거의 떨어졌는데도 한강변 공기는 후덥지근합니다.
본격적인 여름은 한참 남았는데 벌써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지 시민들은 걱정합니다.
[진하랑/광주광역시 북구 : "이번 주부터는 너무 더워져서 여름 이불도 꺼내고 곧 열대야가 찾아올까 봐 너무 두려워요."]
지난해 열대야는 6월 강릉 지역에서 처음 관측돼, 9월까지 이어졌습니다.
특히 9월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는 4.3일로, 평년 수준의 40배를 넘었습니다.
가을에 접어든 9월이면 밤 기온이 떨어져야 하는데, 열 고기압의 이례적인 확장이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을 막았던 겁니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 바다가 평년보다 3~4도 달아오르며 많은 수증기가 밀려든 것도 원인이었습니다.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이런 극한 열대야는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온난화 폭이 1.5도 수준일 경우 51년에 한 번 수준이지만, '2도 온난화'에선 10년에 한 번으로 잦아집니다.
'2.5도 온난화'에선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0.5도, 1도 이 정도 차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겪게 되는 입장에서는 전례 없었던 그런 더위가, 늦더위가 찾아와서 큰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재앙적인 수준으로 치닫기 전에 보다 적극적인 탄소 감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조용호 서원철/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여현수
-
-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신방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