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새 울산 제조업은?…근로자 15% 감소
입력 2025.06.10 (07:38)
수정 2025.06.10 (13: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업수도 울산에서 최근 10년간 제조업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근로자가 3만 명 넘게 줄고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많이 낮아졌는데요,
청년층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기준 울산의 임금근로자는 46만 9천 명.
이 가운데 제조업 임금근로자는 17만 2천 명으로, 2015년에 비해 3만 천 명, 15%나 줄었습니다.
공장 자동화와 세계 경기 불황에 따른 조선업 인력 구조조정의 영향이 큽니다.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10년 사이 약 7%P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산업수도란 이름에 맞게 제조업 비중은 전국 평균보다 두 배가량 높을 정도로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층의 제조업 기피 현상은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40세 미만 제조업 근로자는 10년 사이 34%, 2만 9천 명 줄어든 반면, 60세 이상 근로자는 배 이상 늘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400만 원 이상이 52%로 가장 많았고, 이들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박준오/통계청 울산사무소장 : "울산 제조업 종사자 중 대규모 사업체에 근무하는 종사자 비중이 60%로 전국 평균 30%의 두 배 수준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제조업에서 상용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사이 10%P 낮아졌지만, 임시·일용 근로자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그래픽:박서은
산업수도 울산에서 최근 10년간 제조업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근로자가 3만 명 넘게 줄고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많이 낮아졌는데요,
청년층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기준 울산의 임금근로자는 46만 9천 명.
이 가운데 제조업 임금근로자는 17만 2천 명으로, 2015년에 비해 3만 천 명, 15%나 줄었습니다.
공장 자동화와 세계 경기 불황에 따른 조선업 인력 구조조정의 영향이 큽니다.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10년 사이 약 7%P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산업수도란 이름에 맞게 제조업 비중은 전국 평균보다 두 배가량 높을 정도로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층의 제조업 기피 현상은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40세 미만 제조업 근로자는 10년 사이 34%, 2만 9천 명 줄어든 반면, 60세 이상 근로자는 배 이상 늘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400만 원 이상이 52%로 가장 많았고, 이들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박준오/통계청 울산사무소장 : "울산 제조업 종사자 중 대규모 사업체에 근무하는 종사자 비중이 60%로 전국 평균 30%의 두 배 수준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제조업에서 상용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사이 10%P 낮아졌지만, 임시·일용 근로자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그래픽:박서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년 새 울산 제조업은?…근로자 15% 감소
-
- 입력 2025-06-10 07:38:30
- 수정2025-06-10 13:35:42

[앵커]
산업수도 울산에서 최근 10년간 제조업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근로자가 3만 명 넘게 줄고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많이 낮아졌는데요,
청년층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기준 울산의 임금근로자는 46만 9천 명.
이 가운데 제조업 임금근로자는 17만 2천 명으로, 2015년에 비해 3만 천 명, 15%나 줄었습니다.
공장 자동화와 세계 경기 불황에 따른 조선업 인력 구조조정의 영향이 큽니다.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10년 사이 약 7%P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산업수도란 이름에 맞게 제조업 비중은 전국 평균보다 두 배가량 높을 정도로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층의 제조업 기피 현상은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40세 미만 제조업 근로자는 10년 사이 34%, 2만 9천 명 줄어든 반면, 60세 이상 근로자는 배 이상 늘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400만 원 이상이 52%로 가장 많았고, 이들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박준오/통계청 울산사무소장 : "울산 제조업 종사자 중 대규모 사업체에 근무하는 종사자 비중이 60%로 전국 평균 30%의 두 배 수준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제조업에서 상용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사이 10%P 낮아졌지만, 임시·일용 근로자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그래픽:박서은
산업수도 울산에서 최근 10년간 제조업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근로자가 3만 명 넘게 줄고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많이 낮아졌는데요,
청년층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기준 울산의 임금근로자는 46만 9천 명.
이 가운데 제조업 임금근로자는 17만 2천 명으로, 2015년에 비해 3만 천 명, 15%나 줄었습니다.
공장 자동화와 세계 경기 불황에 따른 조선업 인력 구조조정의 영향이 큽니다.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10년 사이 약 7%P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산업수도란 이름에 맞게 제조업 비중은 전국 평균보다 두 배가량 높을 정도로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층의 제조업 기피 현상은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40세 미만 제조업 근로자는 10년 사이 34%, 2만 9천 명 줄어든 반면, 60세 이상 근로자는 배 이상 늘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400만 원 이상이 52%로 가장 많았고, 이들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박준오/통계청 울산사무소장 : "울산 제조업 종사자 중 대규모 사업체에 근무하는 종사자 비중이 60%로 전국 평균 30%의 두 배 수준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제조업에서 상용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사이 10%P 낮아졌지만, 임시·일용 근로자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그래픽:박서은
-
-
박중관 기자 jkp@kbs.co.kr
박중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