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톡] 남방큰돌고래 구조 자체 대응…전담팀 구성 과제는?
입력 2025.06.23 (19:29)
수정 2025.06.23 (19: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폐어구에 걸려 여러 차례 구조 시도가 이뤄졌던 새끼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으면서 제주도가 직접 전담 구조팀을 만들기로 했죠.
오영훈 지사는 "해수부의 소극적 입장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라고까지 밝히며 자체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 과제는 무엇일까요?
제주대 김병엽 교수 전화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남방큰돌고래를 구조할 수 있는 전담팀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앵커]
교수님께선 남방큰돌고래 구조전담팀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고 보세요?
[앵커]
구조전담팀 구성에서 나아가,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해 제주도 차원 대책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어떻습니까?
[앵커]
최근, 폐어구에 걸려 고통받는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구조 지연 등 가장 큰 원인을 무엇으로 보시나요?
종달이와 유사한 상황을 막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끝으로 도민께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구조전담팀을 시작으로,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한 제주도 차원의 대책이 제대로 갖춰졌으면 합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폐어구에 걸려 여러 차례 구조 시도가 이뤄졌던 새끼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으면서 제주도가 직접 전담 구조팀을 만들기로 했죠.
오영훈 지사는 "해수부의 소극적 입장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라고까지 밝히며 자체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 과제는 무엇일까요?
제주대 김병엽 교수 전화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남방큰돌고래를 구조할 수 있는 전담팀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앵커]
교수님께선 남방큰돌고래 구조전담팀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고 보세요?
[앵커]
구조전담팀 구성에서 나아가,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해 제주도 차원 대책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어떻습니까?
[앵커]
최근, 폐어구에 걸려 고통받는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구조 지연 등 가장 큰 원인을 무엇으로 보시나요?
종달이와 유사한 상황을 막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끝으로 도민께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구조전담팀을 시작으로,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한 제주도 차원의 대책이 제대로 갖춰졌으면 합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톡] 남방큰돌고래 구조 자체 대응…전담팀 구성 과제는?
-
- 입력 2025-06-23 19:29:58
- 수정2025-06-23 19:37:11

[앵커]
폐어구에 걸려 여러 차례 구조 시도가 이뤄졌던 새끼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으면서 제주도가 직접 전담 구조팀을 만들기로 했죠.
오영훈 지사는 "해수부의 소극적 입장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라고까지 밝히며 자체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 과제는 무엇일까요?
제주대 김병엽 교수 전화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남방큰돌고래를 구조할 수 있는 전담팀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앵커]
교수님께선 남방큰돌고래 구조전담팀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고 보세요?
[앵커]
구조전담팀 구성에서 나아가,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해 제주도 차원 대책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어떻습니까?
[앵커]
최근, 폐어구에 걸려 고통받는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구조 지연 등 가장 큰 원인을 무엇으로 보시나요?
종달이와 유사한 상황을 막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끝으로 도민께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구조전담팀을 시작으로,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한 제주도 차원의 대책이 제대로 갖춰졌으면 합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폐어구에 걸려 여러 차례 구조 시도가 이뤄졌던 새끼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으면서 제주도가 직접 전담 구조팀을 만들기로 했죠.
오영훈 지사는 "해수부의 소극적 입장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라고까지 밝히며 자체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 과제는 무엇일까요?
제주대 김병엽 교수 전화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남방큰돌고래를 구조할 수 있는 전담팀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앵커]
교수님께선 남방큰돌고래 구조전담팀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고 보세요?
[앵커]
구조전담팀 구성에서 나아가,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해 제주도 차원 대책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어떻습니까?
[앵커]
최근, 폐어구에 걸려 고통받는 '종달'이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구조 지연 등 가장 큰 원인을 무엇으로 보시나요?
종달이와 유사한 상황을 막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끝으로 도민께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구조전담팀을 시작으로, 남방큰돌고래 보호를 위한 제주도 차원의 대책이 제대로 갖춰졌으면 합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