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해평 동시 검토”…대구 취수원 원점으로?

입력 2025.06.25 (19:04) 수정 2025.06.25 (19: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 정부 기조에 따라 정책 수정이 일어나는 건 행정통합만이 아닙니다.

대구시가 취수원 이전지로 구미 해평을 재검토한다고 밝힌 건데, 구미시와 안동시는 모두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재노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시가 취수원 이전지로 구미 해평을 동시에 검토하겠다고 한 건 불가피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민주당이 줄곧 안동댐 이전에 강하게 반대해 온 데다, 새 정부 역시 문재인 정권 성과였던 구미 해평 안으로 돌아가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해당 지자체가 대구시 검토를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안동시는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은 국가 물관리위원회에 상정돼 공식 추진 중인 사안이라며 해평 재검토는 들은 바 없다는 입장, 구미 역시 논의한 바가 전혀 없고, 당시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협정을 파기한 만큼 이와 관련한 대구시의 입장 표명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구미시 관계자/음성변조 : "대구시에서 협정 폐지 통보를 일방적으로 하셨거든요. 이 부분에 있어 가지고는 저희 입장보다는 우선 대구시에서 일방적으로 파기를 하신 부분이다 보니까…."]

한편, 경상북도는 취수원 이전은 대구시와 자치단체 간의 문제라며, 인근 주민 피해가 없어야 한다는 원론적인 주장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에, 경북도가 적극적인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도의회에서 나오기도 했습니다.

[김홍구/경상북도의회 의원/상주 : "경북도는 환경부와 함께 낙동강 유역 지자체간 협의 테이블을 즉시 구성하고 보다 주도적으로 공론화를 이끌어야 합니다."]

타결을 눈앞에 뒀던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 달라진 정부 기조 속에 30년 숙원 사업이 다시 안개 속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영상편집:이병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미 해평 동시 검토”…대구 취수원 원점으로?
    • 입력 2025-06-25 19:04:47
    • 수정2025-06-25 19:13:52
    뉴스7(대구)
[앵커]

새 정부 기조에 따라 정책 수정이 일어나는 건 행정통합만이 아닙니다.

대구시가 취수원 이전지로 구미 해평을 재검토한다고 밝힌 건데, 구미시와 안동시는 모두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재노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시가 취수원 이전지로 구미 해평을 동시에 검토하겠다고 한 건 불가피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민주당이 줄곧 안동댐 이전에 강하게 반대해 온 데다, 새 정부 역시 문재인 정권 성과였던 구미 해평 안으로 돌아가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해당 지자체가 대구시 검토를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안동시는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은 국가 물관리위원회에 상정돼 공식 추진 중인 사안이라며 해평 재검토는 들은 바 없다는 입장, 구미 역시 논의한 바가 전혀 없고, 당시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협정을 파기한 만큼 이와 관련한 대구시의 입장 표명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구미시 관계자/음성변조 : "대구시에서 협정 폐지 통보를 일방적으로 하셨거든요. 이 부분에 있어 가지고는 저희 입장보다는 우선 대구시에서 일방적으로 파기를 하신 부분이다 보니까…."]

한편, 경상북도는 취수원 이전은 대구시와 자치단체 간의 문제라며, 인근 주민 피해가 없어야 한다는 원론적인 주장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에, 경북도가 적극적인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도의회에서 나오기도 했습니다.

[김홍구/경상북도의회 의원/상주 : "경북도는 환경부와 함께 낙동강 유역 지자체간 협의 테이블을 즉시 구성하고 보다 주도적으로 공론화를 이끌어야 합니다."]

타결을 눈앞에 뒀던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 달라진 정부 기조 속에 30년 숙원 사업이 다시 안개 속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영상편집:이병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