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포항] 포항시, ‘인구정책 심포지엄’ 30일 개최 외
입력 2025.06.25 (19:35)
수정 2025.06.25 (19: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시가 오는 30일 포스코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인구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인구감소 시대, 20년 후 포항시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인구학·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시민 대표들이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을 이어갑니다.
김한곤 영남대 교수와 김태훈 경희대 교수가 각각 인구감소의 원인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다둥이 부모와 청년 학생, 다문화 가정 등 다양한 시민 패널들이 결혼과 육아, 청년 인구유출 문제에 대해 토론할 예정입니다.
울진군, 7월부터 다자녀 유공 수당 지원
울진군이 다음 달 1일부터 연말까지 두 자녀 이상 다자녀 가정에 다자녀 유공 수당을 지원합니다.
대상은 2자녀 이상을 둔 가정의 만 1에서 12세 자녀로 첫째는 월 5만 원, 둘째 이상은 각각 월 10만 원씩 매달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신청은 7월 1일부터 받으며, 부모 중 1명이 관할 읍면 사무소를 방문해 신청서를 작성하면 지원 요건을 검증한 뒤 수당을 지급합니다.
포항 북구보건소, ‘장애인 건강관리’ 우수
포항 북구보건소가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북구보건소는 장애인을 위한 재활 필라테스와 탁구 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높인 점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2019년 우수기관에 선정된 이후 올해까지 세 번 수상하며 지속적인 노력과 성과를 입증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포스텍, 14배 밝은 차세대 발광소재 개발
포스텍 연구팀이 기존보다 14배나 더 밝은 차세대 발광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포스텍 화학과 박선아, 서종철 교수 연구팀은 금 나노클러스터를 분해한 뒤 다시 조립하는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한계를 넘은 소재를 개발했으며, 암세포나 병원균을 더 정밀하게 찾아내는 바이오센서나 고성능 LED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나노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에 게재됐습니다.
'인구감소 시대, 20년 후 포항시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인구학·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시민 대표들이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을 이어갑니다.
김한곤 영남대 교수와 김태훈 경희대 교수가 각각 인구감소의 원인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다둥이 부모와 청년 학생, 다문화 가정 등 다양한 시민 패널들이 결혼과 육아, 청년 인구유출 문제에 대해 토론할 예정입니다.
울진군, 7월부터 다자녀 유공 수당 지원
울진군이 다음 달 1일부터 연말까지 두 자녀 이상 다자녀 가정에 다자녀 유공 수당을 지원합니다.
대상은 2자녀 이상을 둔 가정의 만 1에서 12세 자녀로 첫째는 월 5만 원, 둘째 이상은 각각 월 10만 원씩 매달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신청은 7월 1일부터 받으며, 부모 중 1명이 관할 읍면 사무소를 방문해 신청서를 작성하면 지원 요건을 검증한 뒤 수당을 지급합니다.
포항 북구보건소, ‘장애인 건강관리’ 우수
포항 북구보건소가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북구보건소는 장애인을 위한 재활 필라테스와 탁구 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높인 점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2019년 우수기관에 선정된 이후 올해까지 세 번 수상하며 지속적인 노력과 성과를 입증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포스텍, 14배 밝은 차세대 발광소재 개발
포스텍 연구팀이 기존보다 14배나 더 밝은 차세대 발광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포스텍 화학과 박선아, 서종철 교수 연구팀은 금 나노클러스터를 분해한 뒤 다시 조립하는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한계를 넘은 소재를 개발했으며, 암세포나 병원균을 더 정밀하게 찾아내는 바이오센서나 고성능 LED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나노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에 게재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포항] 포항시, ‘인구정책 심포지엄’ 30일 개최 외
-
- 입력 2025-06-25 19:35:30
- 수정2025-06-25 19:40:15

포항시가 오는 30일 포스코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인구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인구감소 시대, 20년 후 포항시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인구학·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시민 대표들이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을 이어갑니다.
김한곤 영남대 교수와 김태훈 경희대 교수가 각각 인구감소의 원인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다둥이 부모와 청년 학생, 다문화 가정 등 다양한 시민 패널들이 결혼과 육아, 청년 인구유출 문제에 대해 토론할 예정입니다.
울진군, 7월부터 다자녀 유공 수당 지원
울진군이 다음 달 1일부터 연말까지 두 자녀 이상 다자녀 가정에 다자녀 유공 수당을 지원합니다.
대상은 2자녀 이상을 둔 가정의 만 1에서 12세 자녀로 첫째는 월 5만 원, 둘째 이상은 각각 월 10만 원씩 매달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신청은 7월 1일부터 받으며, 부모 중 1명이 관할 읍면 사무소를 방문해 신청서를 작성하면 지원 요건을 검증한 뒤 수당을 지급합니다.
포항 북구보건소, ‘장애인 건강관리’ 우수
포항 북구보건소가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북구보건소는 장애인을 위한 재활 필라테스와 탁구 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높인 점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2019년 우수기관에 선정된 이후 올해까지 세 번 수상하며 지속적인 노력과 성과를 입증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포스텍, 14배 밝은 차세대 발광소재 개발
포스텍 연구팀이 기존보다 14배나 더 밝은 차세대 발광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포스텍 화학과 박선아, 서종철 교수 연구팀은 금 나노클러스터를 분해한 뒤 다시 조립하는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한계를 넘은 소재를 개발했으며, 암세포나 병원균을 더 정밀하게 찾아내는 바이오센서나 고성능 LED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나노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에 게재됐습니다.
'인구감소 시대, 20년 후 포항시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인구학·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시민 대표들이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을 이어갑니다.
김한곤 영남대 교수와 김태훈 경희대 교수가 각각 인구감소의 원인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다둥이 부모와 청년 학생, 다문화 가정 등 다양한 시민 패널들이 결혼과 육아, 청년 인구유출 문제에 대해 토론할 예정입니다.
울진군, 7월부터 다자녀 유공 수당 지원
울진군이 다음 달 1일부터 연말까지 두 자녀 이상 다자녀 가정에 다자녀 유공 수당을 지원합니다.
대상은 2자녀 이상을 둔 가정의 만 1에서 12세 자녀로 첫째는 월 5만 원, 둘째 이상은 각각 월 10만 원씩 매달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신청은 7월 1일부터 받으며, 부모 중 1명이 관할 읍면 사무소를 방문해 신청서를 작성하면 지원 요건을 검증한 뒤 수당을 지급합니다.
포항 북구보건소, ‘장애인 건강관리’ 우수
포항 북구보건소가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북구보건소는 장애인을 위한 재활 필라테스와 탁구 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높인 점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2019년 우수기관에 선정된 이후 올해까지 세 번 수상하며 지속적인 노력과 성과를 입증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포스텍, 14배 밝은 차세대 발광소재 개발
포스텍 연구팀이 기존보다 14배나 더 밝은 차세대 발광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포스텍 화학과 박선아, 서종철 교수 연구팀은 금 나노클러스터를 분해한 뒤 다시 조립하는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한계를 넘은 소재를 개발했으며, 암세포나 병원균을 더 정밀하게 찾아내는 바이오센서나 고성능 LED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나노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에 게재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