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협회 “대통령 인식에 공감, 의료 사태 해결 장 열리길”

입력 2025.07.03 (15:52) 수정 2025.07.03 (15: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해 신뢰를 강조한 것에 공감한다며,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의 조속한 임명 결정을 통해 의료 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 회장은 오늘(3일) 서울 용산구 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께서 기자회견에서 하셨던 말씀을 진심으로 받아들였고, 저희도 진심으로 국민 건강과 의료시스템 재건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의 화답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회장은 “대통령께서는 결국 신뢰와 소통이 문제 해결의 중심임을 이야기하셨다”며 “대한의사협회는 대통령께서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의대생들이 돌아와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한 학년에 2개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너무 크겠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 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를 향해서도 “의대생 복귀를 위한 대책을 같이 준비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김 회장은 “의사 배출 등 의료시스템의 재건을 위한 대승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투자가 동반돼야 하고, 교육부에서 진행한 의대 시설 예산 1342억 삭감은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김 회장이 언급한 의과대학의 결단과 관련해 “복귀하는 의대생은 같은 학년에서 1학기 수업을 못 들었고 2학기에 1학기 수업을 들어야 한다”며, “학교 입장에선 한 학년을 두 개 과정으로 나눠 진행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한 질문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습니다.

또 “(의대생이)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 많이 만들어내야 하겠다”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하고, 이것도 역시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사협회 “대통령 인식에 공감, 의료 사태 해결 장 열리길”
    • 입력 2025-07-03 15:52:42
    • 수정2025-07-03 15:53:37
    사회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해 신뢰를 강조한 것에 공감한다며,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의 조속한 임명 결정을 통해 의료 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 회장은 오늘(3일) 서울 용산구 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께서 기자회견에서 하셨던 말씀을 진심으로 받아들였고, 저희도 진심으로 국민 건강과 의료시스템 재건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의 화답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회장은 “대통령께서는 결국 신뢰와 소통이 문제 해결의 중심임을 이야기하셨다”며 “대한의사협회는 대통령께서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의대생들이 돌아와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한 학년에 2개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너무 크겠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 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를 향해서도 “의대생 복귀를 위한 대책을 같이 준비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김 회장은 “의사 배출 등 의료시스템의 재건을 위한 대승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투자가 동반돼야 하고, 교육부에서 진행한 의대 시설 예산 1342억 삭감은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김 회장이 언급한 의과대학의 결단과 관련해 “복귀하는 의대생은 같은 학년에서 1학기 수업을 못 들었고 2학기에 1학기 수업을 들어야 한다”며, “학교 입장에선 한 학년을 두 개 과정으로 나눠 진행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한 질문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습니다.

또 “(의대생이)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 많이 만들어내야 하겠다”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하고, 이것도 역시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