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에서도 통화…수난 사고 대응 ‘신속’
입력 2025.07.16 (21:46)
수정 2025.07.16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수난 사고 때 물속에 들어가 구조 작업을 하는 소방대원들은 시야가 제한돼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울산소방본부가 수중에서도 통화를 할 수 있는 장비를 도입했는데요,
어떤 효과가 있을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해수욕장.
수중 드론이 바닷속으로 들어갑니다.
수난 사고를 가정한 훈련으로, 물에 빠진 마네킹을 찾는 겁니다.
드론에서 전송한 화면에 구조 대상자가 보이고,
["구조 대상자 발견했습니다. 보트 팀으로 연락해 주십시오."]
소방대원이 수중 구조 작업을 준비합니다.
잠수하기 위해 대원이 얼굴에 착용한 장비는 통화 기능을 갖춘 이른바 '풀 페이스 마스크'.
한 치 앞도 보기 힘든 바닷속이지만, 이 마스크를 끼면 지상 구조대원들과 전화하듯 소통할 수 있습니다.
["여기는 구조대, 구조대. 지상, 감도 체크 바람. (여기는 보트, 감도 양호.)"]
실시간으로 대화하며 구조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수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잠수사가 실제로 사용하는 풀 페이스 마스크입니다.
이렇게 좌우로 소리를 듣는 곳이 있어 지상과 교신이 가능합니다.
수중 수색 작업 중 지상에 말을 걸 수도 있어 흙탕물 등 악조건 때 활용도가 높습니다.
[박용한/울산소방본부 특수대응단 소방교 : "제 손이 안 보일 정도의 제한적인 시야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지상과의 통신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현재 울산소방본부에서 사용 중인 수중 통화식 마스크는 2개.
소방 당국은 대원들의 안전은 물론 수난 사고 대응에도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장비 도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수난 사고 때 물속에 들어가 구조 작업을 하는 소방대원들은 시야가 제한돼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울산소방본부가 수중에서도 통화를 할 수 있는 장비를 도입했는데요,
어떤 효과가 있을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해수욕장.
수중 드론이 바닷속으로 들어갑니다.
수난 사고를 가정한 훈련으로, 물에 빠진 마네킹을 찾는 겁니다.
드론에서 전송한 화면에 구조 대상자가 보이고,
["구조 대상자 발견했습니다. 보트 팀으로 연락해 주십시오."]
소방대원이 수중 구조 작업을 준비합니다.
잠수하기 위해 대원이 얼굴에 착용한 장비는 통화 기능을 갖춘 이른바 '풀 페이스 마스크'.
한 치 앞도 보기 힘든 바닷속이지만, 이 마스크를 끼면 지상 구조대원들과 전화하듯 소통할 수 있습니다.
["여기는 구조대, 구조대. 지상, 감도 체크 바람. (여기는 보트, 감도 양호.)"]
실시간으로 대화하며 구조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수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잠수사가 실제로 사용하는 풀 페이스 마스크입니다.
이렇게 좌우로 소리를 듣는 곳이 있어 지상과 교신이 가능합니다.
수중 수색 작업 중 지상에 말을 걸 수도 있어 흙탕물 등 악조건 때 활용도가 높습니다.
[박용한/울산소방본부 특수대응단 소방교 : "제 손이 안 보일 정도의 제한적인 시야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지상과의 통신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현재 울산소방본부에서 사용 중인 수중 통화식 마스크는 2개.
소방 당국은 대원들의 안전은 물론 수난 사고 대응에도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장비 도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속에서도 통화…수난 사고 대응 ‘신속’
-
- 입력 2025-07-16 21:46:45
- 수정2025-07-16 21:51:39

[앵커]
수난 사고 때 물속에 들어가 구조 작업을 하는 소방대원들은 시야가 제한돼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울산소방본부가 수중에서도 통화를 할 수 있는 장비를 도입했는데요,
어떤 효과가 있을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해수욕장.
수중 드론이 바닷속으로 들어갑니다.
수난 사고를 가정한 훈련으로, 물에 빠진 마네킹을 찾는 겁니다.
드론에서 전송한 화면에 구조 대상자가 보이고,
["구조 대상자 발견했습니다. 보트 팀으로 연락해 주십시오."]
소방대원이 수중 구조 작업을 준비합니다.
잠수하기 위해 대원이 얼굴에 착용한 장비는 통화 기능을 갖춘 이른바 '풀 페이스 마스크'.
한 치 앞도 보기 힘든 바닷속이지만, 이 마스크를 끼면 지상 구조대원들과 전화하듯 소통할 수 있습니다.
["여기는 구조대, 구조대. 지상, 감도 체크 바람. (여기는 보트, 감도 양호.)"]
실시간으로 대화하며 구조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수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잠수사가 실제로 사용하는 풀 페이스 마스크입니다.
이렇게 좌우로 소리를 듣는 곳이 있어 지상과 교신이 가능합니다.
수중 수색 작업 중 지상에 말을 걸 수도 있어 흙탕물 등 악조건 때 활용도가 높습니다.
[박용한/울산소방본부 특수대응단 소방교 : "제 손이 안 보일 정도의 제한적인 시야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지상과의 통신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현재 울산소방본부에서 사용 중인 수중 통화식 마스크는 2개.
소방 당국은 대원들의 안전은 물론 수난 사고 대응에도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장비 도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수난 사고 때 물속에 들어가 구조 작업을 하는 소방대원들은 시야가 제한돼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울산소방본부가 수중에서도 통화를 할 수 있는 장비를 도입했는데요,
어떤 효과가 있을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해수욕장.
수중 드론이 바닷속으로 들어갑니다.
수난 사고를 가정한 훈련으로, 물에 빠진 마네킹을 찾는 겁니다.
드론에서 전송한 화면에 구조 대상자가 보이고,
["구조 대상자 발견했습니다. 보트 팀으로 연락해 주십시오."]
소방대원이 수중 구조 작업을 준비합니다.
잠수하기 위해 대원이 얼굴에 착용한 장비는 통화 기능을 갖춘 이른바 '풀 페이스 마스크'.
한 치 앞도 보기 힘든 바닷속이지만, 이 마스크를 끼면 지상 구조대원들과 전화하듯 소통할 수 있습니다.
["여기는 구조대, 구조대. 지상, 감도 체크 바람. (여기는 보트, 감도 양호.)"]
실시간으로 대화하며 구조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수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잠수사가 실제로 사용하는 풀 페이스 마스크입니다.
이렇게 좌우로 소리를 듣는 곳이 있어 지상과 교신이 가능합니다.
수중 수색 작업 중 지상에 말을 걸 수도 있어 흙탕물 등 악조건 때 활용도가 높습니다.
[박용한/울산소방본부 특수대응단 소방교 : "제 손이 안 보일 정도의 제한적인 시야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지상과의 통신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현재 울산소방본부에서 사용 중인 수중 통화식 마스크는 2개.
소방 당국은 대원들의 안전은 물론 수난 사고 대응에도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장비 도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
김옥천 기자 hub@kbs.co.kr
김옥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