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 협상 교착 속 이스라엘 지상전 확대…배급소 사망자 속출

입력 2025.07.21 (06:25) 수정 2025.07.21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휴전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이스라엘이 지상전 확대에 나섰습니다.

하마스에 대한 보다 강력한 무력 압박에 나선 겁니다.

지난 주말 사이 구호품 배급 현장에선 총격이 발생해 가자 주민 100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자지구 북부 알시파 병원에 부상자들이 쉴 새 없이 이송됩니다.

흰천에 덮힌 채 차가운 바닥 위에 눕혀진 희생자 곁에서 사람들은 오열합니다.

현지 시각 20일 가자 곳곳에서 구호품 배급 현장에서 이스라엘군이 탱크를 동원한 공격을 벌였다고 알자지라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에하브 알제인/목격자 : "(구호품을 받으려는데) 갑자기 탱크가 나타나 우리를 포위하고 총격을 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움직일 수조차 없었습니다."]

팔레스타인 보건부는 구호품을 구하려다 사망한 가자 주민이 하루 동안 80명에 육박한다고 밝혔습니다.

가자지구 내에서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가운데 이스라엘군은 지상전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가자 중부 데이르알발라 일대 주민들에게 즉각 대피하라고 경고했습니다.

이 지역에 대피 경보를 발령한 것은 전쟁 발발 이후 처음입니다.

데이르알발라는 인질 억류 지역으로 판단돼 하마스의 처형 우려로 이스라엘은 그 동안 공격을 피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휴전 논의가 또다시 교착되며 이스라엘군은 지상전 확대를 통해 하마스에 대한 고강도 무력 압박에 나선 걸로 보입니다.

에얄 자미르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은 지상전 확대로 하마스는 더 심각한 고통에 빠질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휴전 협상 교착 속 이스라엘 지상전 확대…배급소 사망자 속출
    • 입력 2025-07-21 06:25:26
    • 수정2025-07-21 19:46:58
    뉴스광장 1부
[앵커]

휴전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이스라엘이 지상전 확대에 나섰습니다.

하마스에 대한 보다 강력한 무력 압박에 나선 겁니다.

지난 주말 사이 구호품 배급 현장에선 총격이 발생해 가자 주민 100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자지구 북부 알시파 병원에 부상자들이 쉴 새 없이 이송됩니다.

흰천에 덮힌 채 차가운 바닥 위에 눕혀진 희생자 곁에서 사람들은 오열합니다.

현지 시각 20일 가자 곳곳에서 구호품 배급 현장에서 이스라엘군이 탱크를 동원한 공격을 벌였다고 알자지라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에하브 알제인/목격자 : "(구호품을 받으려는데) 갑자기 탱크가 나타나 우리를 포위하고 총격을 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움직일 수조차 없었습니다."]

팔레스타인 보건부는 구호품을 구하려다 사망한 가자 주민이 하루 동안 80명에 육박한다고 밝혔습니다.

가자지구 내에서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가운데 이스라엘군은 지상전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가자 중부 데이르알발라 일대 주민들에게 즉각 대피하라고 경고했습니다.

이 지역에 대피 경보를 발령한 것은 전쟁 발발 이후 처음입니다.

데이르알발라는 인질 억류 지역으로 판단돼 하마스의 처형 우려로 이스라엘은 그 동안 공격을 피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휴전 논의가 또다시 교착되며 이스라엘군은 지상전 확대를 통해 하마스에 대한 고강도 무력 압박에 나선 걸로 보입니다.

에얄 자미르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은 지상전 확대로 하마스는 더 심각한 고통에 빠질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