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대상’ 스마트 마을 방송, 산사태 때 못썼다

입력 2025.07.24 (07:40) 수정 2025.07.24 (08: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산청 산사태로 고립된 주민 대부분은 고령층입니다.

산청군은 고령층에게 재난 경보가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수억 원을 들여 마을 방송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정작 이번 산사태에서는 써보지도 못했습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산사태로 24가구 전체가 피해를 본 산청의 한 마을.

비탈면에 집들이 아슬아슬하게 걸려있고, 일부는 파묻혀 지붕만 덩그러니 남았습니다.

도로는 칼로 자른 듯 뚝 끊겼습니다.

이 마을은 출입로가 완전히 막힐 정도로 산사태 피해가 컸지만,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빠른 경보 방송과 대피 덕분입니다.

당시, 산사태 징후를 감지한 이장 김광연 씨는 마을 스피커 방송으로 위험 사실을 알렸습니다.

[김광연/마을 이장 : "스마트폰을 꺼내서 방송했습니다. 방송하고 급히 빨리 탈출하시라. 되도록 주차장 쪽으로…."]

이후 집집마다 돌며 대피를 도왔고, 몇 분 뒤 비탈면은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대피방송 방식은 집 안의 고령자들에게는 전달되지 못합니다.

[김광연/마을 이장 : "(주민) 70~80%가 70세가 넘는데. 정말 이런 방송 시스템으로는 전혀 못 듣는 분이 대다수라고 보거든요."]

이 때문에, 산청군은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마을 주민 전체에게 전화로 내용이 전달되도록 개선했습니다.

마을 스피커 방송을 못 들어도 집 안에서 전화로 들을 수 있어, 고령층 대피에 도움이 되기 때문.

["호우로 대피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이번 집중호우 때는 아예 써보지도 못했습니다.

시스템 개발은 끝냈지만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받지 않았고, 이장들에게 제대로 사용법을 알리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새 방송 시스템을 운영한다며 산사태 이틀 전 산청군이 낸 보도자료는 사실 거짓이었던 셈입니다.

[산청군 관계자/음성변조 : "민원 사항이 많다 보니 동의를 얻어야 해요. 동의를 구하고 있던 상황이었고."]

제때 대피방송이 없었다는 게 생존 주민들의 한결같은 원망입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영상편집:김진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령층 대상’ 스마트 마을 방송, 산사태 때 못썼다
    • 입력 2025-07-24 07:40:55
    • 수정2025-07-24 08:32:39
    뉴스광장(창원)
[앵커]

이번 산청 산사태로 고립된 주민 대부분은 고령층입니다.

산청군은 고령층에게 재난 경보가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수억 원을 들여 마을 방송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정작 이번 산사태에서는 써보지도 못했습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산사태로 24가구 전체가 피해를 본 산청의 한 마을.

비탈면에 집들이 아슬아슬하게 걸려있고, 일부는 파묻혀 지붕만 덩그러니 남았습니다.

도로는 칼로 자른 듯 뚝 끊겼습니다.

이 마을은 출입로가 완전히 막힐 정도로 산사태 피해가 컸지만,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빠른 경보 방송과 대피 덕분입니다.

당시, 산사태 징후를 감지한 이장 김광연 씨는 마을 스피커 방송으로 위험 사실을 알렸습니다.

[김광연/마을 이장 : "스마트폰을 꺼내서 방송했습니다. 방송하고 급히 빨리 탈출하시라. 되도록 주차장 쪽으로…."]

이후 집집마다 돌며 대피를 도왔고, 몇 분 뒤 비탈면은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대피방송 방식은 집 안의 고령자들에게는 전달되지 못합니다.

[김광연/마을 이장 : "(주민) 70~80%가 70세가 넘는데. 정말 이런 방송 시스템으로는 전혀 못 듣는 분이 대다수라고 보거든요."]

이 때문에, 산청군은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마을 주민 전체에게 전화로 내용이 전달되도록 개선했습니다.

마을 스피커 방송을 못 들어도 집 안에서 전화로 들을 수 있어, 고령층 대피에 도움이 되기 때문.

["호우로 대피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이번 집중호우 때는 아예 써보지도 못했습니다.

시스템 개발은 끝냈지만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받지 않았고, 이장들에게 제대로 사용법을 알리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새 방송 시스템을 운영한다며 산사태 이틀 전 산청군이 낸 보도자료는 사실 거짓이었던 셈입니다.

[산청군 관계자/음성변조 : "민원 사항이 많다 보니 동의를 얻어야 해요. 동의를 구하고 있던 상황이었고."]

제때 대피방송이 없었다는 게 생존 주민들의 한결같은 원망입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영상편집:김진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