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지원 예산 급감…인식 개선도 필요

입력 2025.07.30 (07:41) 수정 2025.07.30 (0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이 시간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지난 정부에서 사회적 기업 관련 예산을 대폭 줄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산 자리돔으로 만든 젓갈 제품의 포장이 한창인 공장.

제주로 이주한 여성들이 힘을 모아 만든 사회적경제 기업입니다.

제주의 좋은 재료로 건강한 먹거리를 만든다는 원칙으로 곡물 과자나 멸치 액젓 등 50여 개에 달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김선희/제주마미 이사 : "이제 농가의 소득도 더 돌아가게 될 것이고, 저희도 제주를 좀 더 알리고, 또 제주의 가치를 담는 정성스러운 제품을."]

고용 의무는 없지만 직원 절반은 취약계층으로 채웠는데 몇 년 전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던 월 8백만 원 수준의 사회보험료가 하루아침에 끊겨버린 겁니다.

그럼에도 취약계층 고용이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근근이 어려움을 버텨내고 있습니다.

[김정옥/제주마미 대표 : "고용을 유지 못함으로써 없어지는 게 되게 안 좋은 일이잖아요. 그래서 버틸 수 있는 만큼 저희가 그래도 함께 가는 게 우리 회사의 미션이기도 해서."]

지난 정부에서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생을 내걸면서 제주의 국비 지원 규모도 2023년 53억 원에서 올해 1억 2천만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사회적경제 기업에 절실한 인건비나 사업개발비 지원 같은 항목이 직격탄을 맞게 된 겁니다.

새 정부가 사회적경제 육성 방침을 밝힌 만큼 사정은 나아질 전망이지만 예산 지원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여전히 넘어야 할 벽입니다.

[임현정/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 "정부가 직접 다 해결할 수 없잖아요, 사각지대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방식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들을 길러내는 것이 앞으로 정부가 계속 부담해야 할 부분을 (줄여준다고 이해해야.)"]

지역사회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사회적경제.

적정 수준의 지원 예산 회복과 함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과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부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회적경제 지원 예산 급감…인식 개선도 필요
    • 입력 2025-07-30 07:41:14
    • 수정2025-07-30 09:26:46
    뉴스광장(제주)
[앵커]

지난 이 시간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지난 정부에서 사회적 기업 관련 예산을 대폭 줄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산 자리돔으로 만든 젓갈 제품의 포장이 한창인 공장.

제주로 이주한 여성들이 힘을 모아 만든 사회적경제 기업입니다.

제주의 좋은 재료로 건강한 먹거리를 만든다는 원칙으로 곡물 과자나 멸치 액젓 등 50여 개에 달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김선희/제주마미 이사 : "이제 농가의 소득도 더 돌아가게 될 것이고, 저희도 제주를 좀 더 알리고, 또 제주의 가치를 담는 정성스러운 제품을."]

고용 의무는 없지만 직원 절반은 취약계층으로 채웠는데 몇 년 전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던 월 8백만 원 수준의 사회보험료가 하루아침에 끊겨버린 겁니다.

그럼에도 취약계층 고용이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근근이 어려움을 버텨내고 있습니다.

[김정옥/제주마미 대표 : "고용을 유지 못함으로써 없어지는 게 되게 안 좋은 일이잖아요. 그래서 버틸 수 있는 만큼 저희가 그래도 함께 가는 게 우리 회사의 미션이기도 해서."]

지난 정부에서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생을 내걸면서 제주의 국비 지원 규모도 2023년 53억 원에서 올해 1억 2천만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사회적경제 기업에 절실한 인건비나 사업개발비 지원 같은 항목이 직격탄을 맞게 된 겁니다.

새 정부가 사회적경제 육성 방침을 밝힌 만큼 사정은 나아질 전망이지만 예산 지원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여전히 넘어야 할 벽입니다.

[임현정/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 "정부가 직접 다 해결할 수 없잖아요, 사각지대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방식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들을 길러내는 것이 앞으로 정부가 계속 부담해야 할 부분을 (줄여준다고 이해해야.)"]

지역사회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사회적경제.

적정 수준의 지원 예산 회복과 함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과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부수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