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지원 예산 급감…인식 개선도 필요
입력 2025.07.30 (07:41)
수정 2025.07.30 (0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이 시간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지난 정부에서 사회적 기업 관련 예산을 대폭 줄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산 자리돔으로 만든 젓갈 제품의 포장이 한창인 공장.
제주로 이주한 여성들이 힘을 모아 만든 사회적경제 기업입니다.
제주의 좋은 재료로 건강한 먹거리를 만든다는 원칙으로 곡물 과자나 멸치 액젓 등 50여 개에 달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김선희/제주마미 이사 : "이제 농가의 소득도 더 돌아가게 될 것이고, 저희도 제주를 좀 더 알리고, 또 제주의 가치를 담는 정성스러운 제품을."]
고용 의무는 없지만 직원 절반은 취약계층으로 채웠는데 몇 년 전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던 월 8백만 원 수준의 사회보험료가 하루아침에 끊겨버린 겁니다.
그럼에도 취약계층 고용이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근근이 어려움을 버텨내고 있습니다.
[김정옥/제주마미 대표 : "고용을 유지 못함으로써 없어지는 게 되게 안 좋은 일이잖아요. 그래서 버틸 수 있는 만큼 저희가 그래도 함께 가는 게 우리 회사의 미션이기도 해서."]
지난 정부에서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생을 내걸면서 제주의 국비 지원 규모도 2023년 53억 원에서 올해 1억 2천만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사회적경제 기업에 절실한 인건비나 사업개발비 지원 같은 항목이 직격탄을 맞게 된 겁니다.
새 정부가 사회적경제 육성 방침을 밝힌 만큼 사정은 나아질 전망이지만 예산 지원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여전히 넘어야 할 벽입니다.
[임현정/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 "정부가 직접 다 해결할 수 없잖아요, 사각지대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방식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들을 길러내는 것이 앞으로 정부가 계속 부담해야 할 부분을 (줄여준다고 이해해야.)"]
지역사회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사회적경제.
적정 수준의 지원 예산 회복과 함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과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부수홍
지난 이 시간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지난 정부에서 사회적 기업 관련 예산을 대폭 줄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산 자리돔으로 만든 젓갈 제품의 포장이 한창인 공장.
제주로 이주한 여성들이 힘을 모아 만든 사회적경제 기업입니다.
제주의 좋은 재료로 건강한 먹거리를 만든다는 원칙으로 곡물 과자나 멸치 액젓 등 50여 개에 달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김선희/제주마미 이사 : "이제 농가의 소득도 더 돌아가게 될 것이고, 저희도 제주를 좀 더 알리고, 또 제주의 가치를 담는 정성스러운 제품을."]
고용 의무는 없지만 직원 절반은 취약계층으로 채웠는데 몇 년 전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던 월 8백만 원 수준의 사회보험료가 하루아침에 끊겨버린 겁니다.
그럼에도 취약계층 고용이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근근이 어려움을 버텨내고 있습니다.
[김정옥/제주마미 대표 : "고용을 유지 못함으로써 없어지는 게 되게 안 좋은 일이잖아요. 그래서 버틸 수 있는 만큼 저희가 그래도 함께 가는 게 우리 회사의 미션이기도 해서."]
지난 정부에서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생을 내걸면서 제주의 국비 지원 규모도 2023년 53억 원에서 올해 1억 2천만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사회적경제 기업에 절실한 인건비나 사업개발비 지원 같은 항목이 직격탄을 맞게 된 겁니다.
새 정부가 사회적경제 육성 방침을 밝힌 만큼 사정은 나아질 전망이지만 예산 지원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여전히 넘어야 할 벽입니다.
[임현정/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 "정부가 직접 다 해결할 수 없잖아요, 사각지대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방식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들을 길러내는 것이 앞으로 정부가 계속 부담해야 할 부분을 (줄여준다고 이해해야.)"]
지역사회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사회적경제.
적정 수준의 지원 예산 회복과 함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과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부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회적경제 지원 예산 급감…인식 개선도 필요
-
- 입력 2025-07-30 07:41:14
- 수정2025-07-30 09:26:46

[앵커]
지난 이 시간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지난 정부에서 사회적 기업 관련 예산을 대폭 줄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산 자리돔으로 만든 젓갈 제품의 포장이 한창인 공장.
제주로 이주한 여성들이 힘을 모아 만든 사회적경제 기업입니다.
제주의 좋은 재료로 건강한 먹거리를 만든다는 원칙으로 곡물 과자나 멸치 액젓 등 50여 개에 달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김선희/제주마미 이사 : "이제 농가의 소득도 더 돌아가게 될 것이고, 저희도 제주를 좀 더 알리고, 또 제주의 가치를 담는 정성스러운 제품을."]
고용 의무는 없지만 직원 절반은 취약계층으로 채웠는데 몇 년 전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던 월 8백만 원 수준의 사회보험료가 하루아침에 끊겨버린 겁니다.
그럼에도 취약계층 고용이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근근이 어려움을 버텨내고 있습니다.
[김정옥/제주마미 대표 : "고용을 유지 못함으로써 없어지는 게 되게 안 좋은 일이잖아요. 그래서 버틸 수 있는 만큼 저희가 그래도 함께 가는 게 우리 회사의 미션이기도 해서."]
지난 정부에서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생을 내걸면서 제주의 국비 지원 규모도 2023년 53억 원에서 올해 1억 2천만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사회적경제 기업에 절실한 인건비나 사업개발비 지원 같은 항목이 직격탄을 맞게 된 겁니다.
새 정부가 사회적경제 육성 방침을 밝힌 만큼 사정은 나아질 전망이지만 예산 지원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여전히 넘어야 할 벽입니다.
[임현정/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 "정부가 직접 다 해결할 수 없잖아요, 사각지대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방식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들을 길러내는 것이 앞으로 정부가 계속 부담해야 할 부분을 (줄여준다고 이해해야.)"]
지역사회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사회적경제.
적정 수준의 지원 예산 회복과 함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과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부수홍
지난 이 시간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경제 기업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지난 정부에서 사회적 기업 관련 예산을 대폭 줄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산 자리돔으로 만든 젓갈 제품의 포장이 한창인 공장.
제주로 이주한 여성들이 힘을 모아 만든 사회적경제 기업입니다.
제주의 좋은 재료로 건강한 먹거리를 만든다는 원칙으로 곡물 과자나 멸치 액젓 등 50여 개에 달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김선희/제주마미 이사 : "이제 농가의 소득도 더 돌아가게 될 것이고, 저희도 제주를 좀 더 알리고, 또 제주의 가치를 담는 정성스러운 제품을."]
고용 의무는 없지만 직원 절반은 취약계층으로 채웠는데 몇 년 전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던 월 8백만 원 수준의 사회보험료가 하루아침에 끊겨버린 겁니다.
그럼에도 취약계층 고용이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근근이 어려움을 버텨내고 있습니다.
[김정옥/제주마미 대표 : "고용을 유지 못함으로써 없어지는 게 되게 안 좋은 일이잖아요. 그래서 버틸 수 있는 만큼 저희가 그래도 함께 가는 게 우리 회사의 미션이기도 해서."]
지난 정부에서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생을 내걸면서 제주의 국비 지원 규모도 2023년 53억 원에서 올해 1억 2천만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사회적경제 기업에 절실한 인건비나 사업개발비 지원 같은 항목이 직격탄을 맞게 된 겁니다.
새 정부가 사회적경제 육성 방침을 밝힌 만큼 사정은 나아질 전망이지만 예산 지원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여전히 넘어야 할 벽입니다.
[임현정/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 "정부가 직접 다 해결할 수 없잖아요, 사각지대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방식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들을 길러내는 것이 앞으로 정부가 계속 부담해야 할 부분을 (줄여준다고 이해해야.)"]
지역사회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사회적경제.
적정 수준의 지원 예산 회복과 함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과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부수홍
-
-
김가람 기자 garam@kbs.co.kr
김가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