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2면] 지구 뒤덮은 플라스틱 쓰레기…건강 피해 ‘연간 2,000조 원’
입력 2025.08.05 (15:31)
수정 2025.08.05 (15: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가디언 소식입니다.
세계가 전 생애에 걸쳐 건강을 위협하는, 1조 5천억 달러 규모의 '플라스틱 위기'에 직면했다는 제목입니다.
국제의학저널, 랜싯에 실린 논문을 보면, 1950년 이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0배 이상 늘어났고, 2060년까지는 해마다 10억 톤 넘게 생산돼 세 배 가까이로 늘어날 거로 보입니다.
그 결과 플라스틱 오염도 급증했는데요.
에베레스트 정상부터 심해 해구까지, 지구 곳곳이 80억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뒤덮였지만,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도 되지 않습니다.
플라스틱에는 또 충전제, 염료, 난연제 등 만 6천 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사용되는데요.
해당 논문은, 플라스틱이 인간의 생애 전 단계에 걸쳐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어떤 화학물질이 플라스틱에 들어 있는지의 정보는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플라스틱은 흔히 값싼 소재로 여겨지죠.
과학자들은 그러나 건강 피해로 인한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하면 결코 싸지 않다고 주장하는데요.
폴리 브롬화 디페닐에테르, 비스페놀 A, 디에틸 헥실 프탈레이트 등 대표적인 3가지 플라스틱 화학물질로 인한 건강 피해 비용만 추산해도, 세계 38개 나라에서 연간 1조 5천억 달러, 우리 돈 약 2천 76조 원에 달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의 2면이었습니다.
그래픽:안재우/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추예빈
세계가 전 생애에 걸쳐 건강을 위협하는, 1조 5천억 달러 규모의 '플라스틱 위기'에 직면했다는 제목입니다.
국제의학저널, 랜싯에 실린 논문을 보면, 1950년 이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0배 이상 늘어났고, 2060년까지는 해마다 10억 톤 넘게 생산돼 세 배 가까이로 늘어날 거로 보입니다.
그 결과 플라스틱 오염도 급증했는데요.
에베레스트 정상부터 심해 해구까지, 지구 곳곳이 80억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뒤덮였지만,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도 되지 않습니다.
플라스틱에는 또 충전제, 염료, 난연제 등 만 6천 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사용되는데요.
해당 논문은, 플라스틱이 인간의 생애 전 단계에 걸쳐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어떤 화학물질이 플라스틱에 들어 있는지의 정보는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플라스틱은 흔히 값싼 소재로 여겨지죠.
과학자들은 그러나 건강 피해로 인한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하면 결코 싸지 않다고 주장하는데요.
폴리 브롬화 디페닐에테르, 비스페놀 A, 디에틸 헥실 프탈레이트 등 대표적인 3가지 플라스틱 화학물질로 인한 건강 피해 비용만 추산해도, 세계 38개 나라에서 연간 1조 5천억 달러, 우리 돈 약 2천 76조 원에 달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의 2면이었습니다.
그래픽:안재우/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추예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의 2면] 지구 뒤덮은 플라스틱 쓰레기…건강 피해 ‘연간 2,000조 원’
-
- 입력 2025-08-05 15:31:42
- 수정2025-08-05 15:37:46

다음은 가디언 소식입니다.
세계가 전 생애에 걸쳐 건강을 위협하는, 1조 5천억 달러 규모의 '플라스틱 위기'에 직면했다는 제목입니다.
국제의학저널, 랜싯에 실린 논문을 보면, 1950년 이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0배 이상 늘어났고, 2060년까지는 해마다 10억 톤 넘게 생산돼 세 배 가까이로 늘어날 거로 보입니다.
그 결과 플라스틱 오염도 급증했는데요.
에베레스트 정상부터 심해 해구까지, 지구 곳곳이 80억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뒤덮였지만,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도 되지 않습니다.
플라스틱에는 또 충전제, 염료, 난연제 등 만 6천 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사용되는데요.
해당 논문은, 플라스틱이 인간의 생애 전 단계에 걸쳐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어떤 화학물질이 플라스틱에 들어 있는지의 정보는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플라스틱은 흔히 값싼 소재로 여겨지죠.
과학자들은 그러나 건강 피해로 인한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하면 결코 싸지 않다고 주장하는데요.
폴리 브롬화 디페닐에테르, 비스페놀 A, 디에틸 헥실 프탈레이트 등 대표적인 3가지 플라스틱 화학물질로 인한 건강 피해 비용만 추산해도, 세계 38개 나라에서 연간 1조 5천억 달러, 우리 돈 약 2천 76조 원에 달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의 2면이었습니다.
그래픽:안재우/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추예빈
세계가 전 생애에 걸쳐 건강을 위협하는, 1조 5천억 달러 규모의 '플라스틱 위기'에 직면했다는 제목입니다.
국제의학저널, 랜싯에 실린 논문을 보면, 1950년 이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0배 이상 늘어났고, 2060년까지는 해마다 10억 톤 넘게 생산돼 세 배 가까이로 늘어날 거로 보입니다.
그 결과 플라스틱 오염도 급증했는데요.
에베레스트 정상부터 심해 해구까지, 지구 곳곳이 80억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뒤덮였지만,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10%도 되지 않습니다.
플라스틱에는 또 충전제, 염료, 난연제 등 만 6천 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사용되는데요.
해당 논문은, 플라스틱이 인간의 생애 전 단계에 걸쳐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어떤 화학물질이 플라스틱에 들어 있는지의 정보는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플라스틱은 흔히 값싼 소재로 여겨지죠.
과학자들은 그러나 건강 피해로 인한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하면 결코 싸지 않다고 주장하는데요.
폴리 브롬화 디페닐에테르, 비스페놀 A, 디에틸 헥실 프탈레이트 등 대표적인 3가지 플라스틱 화학물질로 인한 건강 피해 비용만 추산해도, 세계 38개 나라에서 연간 1조 5천억 달러, 우리 돈 약 2천 76조 원에 달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의 2면이었습니다.
그래픽:안재우/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추예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