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쏘임 ‘빈번’…차단망 설치는 ‘제각각’

입력 2025.08.14 (21:40) 수정 2025.08.14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폭염이 이어지면 해파리가 기승을 부리고 해수욕장 쏘임 사고가 빈번합니다.

이렇다 보니 기초단체가 물놀이객 안전을 위해 해파리 차단망을 설치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그렇지 못한 곳도 있습니다.

김아르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 평균 천만 명이 찾는 해운대해수욕장.

어민들이 노란 부표 아래에 그물을 칩니다.

해파리 차단망입니다.

이 차단망이 해수욕장 앞바다 1.2km 구간에서 맹독성 해파리 유입을 막아줍니다.

[이동훈/해운대구 해수욕장 시설팀장 : "(해파리) 퇴치가 우선이기 때문에 퇴치 용선을 먼저 긴급 투입을 했고, 늦었지만 차단망을 늦게라도 설치하기로 결정해서…."]

하지만 당국의 대처는 미흡했습니다.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어민들과 갈등이 빚어져 해파리 차단망 설치가 미뤄졌습니다.

최근 해파리 쏘임사고가 증가하자 해운대구는 개장 한 달 반 만에 차단망을 설치했습니다.

송정해수욕장은 사정이 더 심각합니다.

서핑 구역이 있다는 이유로 차단망을 설치하지 못했습니다.

해파리를 건져내는 퇴치선만 운영 중입니다.

[해운대구 관계자/음성변조 : "서핑 구역이 중간에 있으니까 이게 전체적으로 막을 수가 없으니까 이렇게 효과가 조금 미미한 것도 있고요."]

이처럼 기초단체별로 차단망 설치는 제각각.

송도해수욕장의 경우 예산이 없어서 차단망 설치를 못 했고, 임랑해수욕장은 설치 계획조차 짜지 않았습니다.

차단망 효과는 어느 정도 검증됐습니다.

부산 주요 해수욕장 중 올해 해파리 쏘임 사고는 광안리 6건, 일광 3건에 불과합니다.

두 곳 모두 차단망이 설치된 곳입니다.

차단망이 없었던 곳의 쏘임 사고는 해운대 35건, 송정 91건, 송도 35건에 달했습니다.

기초단체의 안일한 대응이, 물놀이객들의 해파리 쏘임 사고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파리 쏘임 ‘빈번’…차단망 설치는 ‘제각각’
    • 입력 2025-08-14 21:40:36
    • 수정2025-08-14 21:55:34
    뉴스9(부산)
[앵커]

폭염이 이어지면 해파리가 기승을 부리고 해수욕장 쏘임 사고가 빈번합니다.

이렇다 보니 기초단체가 물놀이객 안전을 위해 해파리 차단망을 설치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그렇지 못한 곳도 있습니다.

김아르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 평균 천만 명이 찾는 해운대해수욕장.

어민들이 노란 부표 아래에 그물을 칩니다.

해파리 차단망입니다.

이 차단망이 해수욕장 앞바다 1.2km 구간에서 맹독성 해파리 유입을 막아줍니다.

[이동훈/해운대구 해수욕장 시설팀장 : "(해파리) 퇴치가 우선이기 때문에 퇴치 용선을 먼저 긴급 투입을 했고, 늦었지만 차단망을 늦게라도 설치하기로 결정해서…."]

하지만 당국의 대처는 미흡했습니다.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어민들과 갈등이 빚어져 해파리 차단망 설치가 미뤄졌습니다.

최근 해파리 쏘임사고가 증가하자 해운대구는 개장 한 달 반 만에 차단망을 설치했습니다.

송정해수욕장은 사정이 더 심각합니다.

서핑 구역이 있다는 이유로 차단망을 설치하지 못했습니다.

해파리를 건져내는 퇴치선만 운영 중입니다.

[해운대구 관계자/음성변조 : "서핑 구역이 중간에 있으니까 이게 전체적으로 막을 수가 없으니까 이렇게 효과가 조금 미미한 것도 있고요."]

이처럼 기초단체별로 차단망 설치는 제각각.

송도해수욕장의 경우 예산이 없어서 차단망 설치를 못 했고, 임랑해수욕장은 설치 계획조차 짜지 않았습니다.

차단망 효과는 어느 정도 검증됐습니다.

부산 주요 해수욕장 중 올해 해파리 쏘임 사고는 광안리 6건, 일광 3건에 불과합니다.

두 곳 모두 차단망이 설치된 곳입니다.

차단망이 없었던 곳의 쏘임 사고는 해운대 35건, 송정 91건, 송도 35건에 달했습니다.

기초단체의 안일한 대응이, 물놀이객들의 해파리 쏘임 사고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조양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