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숙박시설 갈등…이유는?

입력 2025.08.18 (19:13) 수정 2025.08.18 (1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관광산업 활성화를 명분으로 호텔과 오피스텔을 결합한 '생활형 숙박시설'은 소유자가 거주할 수는 없는데요.

분양자들이 오피스텔로 용도변경을 2년째 요구하고 있지만, 창원시는 형평성에 위배되고, 특혜 소지도 있어 조심스러운 입장입니다.

보도에 최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는 조속한 오피스텔 승인 절차 이행하라! 이행하라! 이행하라!"]

오는 10월 준공을 앞둔 290여 세대 규모 생활형 숙박시설 분양자들이 거리에 나섰습니다.

7억 4,000만 원에서 8억 8,000만 원을 주고 분양을 받았지만, 실거주를 할 수 없기 때문.

지난해 시행사를 상대로 계약 해지 소송을 낸 데 이어, 창원시에 오피스텔로 변경 승인을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차면수가 문제입니다.

생활형 숙박시설에 설치된 주차면은 509대에 불과해 창원시 지침 658대보다 약 150대가 부족한 겁니다.

주차장을 추가 설치할 수 없어, 창원시에 내야 하는 기부채납금은 120억 원 가량.

창원시에 이 기준을 완화해 달라는 겁니다.

[박미준/창원센트럴 입주예정자협의회 회장 : "9월 말까지 그것(용도 변경)이 안 되면 그냥 생활 숙박시설로 준공해야 하고. 그러면 저희는 대출이 안 나오고, 잔금을 갚을 수가 없고. 그러면 그냥 파산이죠."]

창원시는 2002년 수립된 기준을 특정 단지를 위해 바꾸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날 뿐더러, 자칫 특혜 소지도 있다는 입장.

지역 주차난을 고려해 기부채납금 규모는 적정하게 부담했다고 밝혔습니다.

[창원시 관계자/음성변조 : "인근에 있는 오피스텔과 형평성이라든지, 원칙을 지키고 있던 것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유지하면서도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는, 이제 출구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고민을 한 것이거든요."]

창원시에 허가된 생활형 숙박시설은 모두 110곳.

오피스텔 전환 요구는 처음이어서 창원시의 명확하고 투명한 절차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최진석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이하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활숙박시설 갈등…이유는?
    • 입력 2025-08-18 19:13:09
    • 수정2025-08-18 19:19:01
    뉴스7(창원)
[앵커]

관광산업 활성화를 명분으로 호텔과 오피스텔을 결합한 '생활형 숙박시설'은 소유자가 거주할 수는 없는데요.

분양자들이 오피스텔로 용도변경을 2년째 요구하고 있지만, 창원시는 형평성에 위배되고, 특혜 소지도 있어 조심스러운 입장입니다.

보도에 최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는 조속한 오피스텔 승인 절차 이행하라! 이행하라! 이행하라!"]

오는 10월 준공을 앞둔 290여 세대 규모 생활형 숙박시설 분양자들이 거리에 나섰습니다.

7억 4,000만 원에서 8억 8,000만 원을 주고 분양을 받았지만, 실거주를 할 수 없기 때문.

지난해 시행사를 상대로 계약 해지 소송을 낸 데 이어, 창원시에 오피스텔로 변경 승인을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차면수가 문제입니다.

생활형 숙박시설에 설치된 주차면은 509대에 불과해 창원시 지침 658대보다 약 150대가 부족한 겁니다.

주차장을 추가 설치할 수 없어, 창원시에 내야 하는 기부채납금은 120억 원 가량.

창원시에 이 기준을 완화해 달라는 겁니다.

[박미준/창원센트럴 입주예정자협의회 회장 : "9월 말까지 그것(용도 변경)이 안 되면 그냥 생활 숙박시설로 준공해야 하고. 그러면 저희는 대출이 안 나오고, 잔금을 갚을 수가 없고. 그러면 그냥 파산이죠."]

창원시는 2002년 수립된 기준을 특정 단지를 위해 바꾸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날 뿐더러, 자칫 특혜 소지도 있다는 입장.

지역 주차난을 고려해 기부채납금 규모는 적정하게 부담했다고 밝혔습니다.

[창원시 관계자/음성변조 : "인근에 있는 오피스텔과 형평성이라든지, 원칙을 지키고 있던 것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유지하면서도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는, 이제 출구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고민을 한 것이거든요."]

창원시에 허가된 생활형 숙박시설은 모두 110곳.

오피스텔 전환 요구는 처음이어서 창원시의 명확하고 투명한 절차가 요구됩니다.

KBS 뉴스 최진석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이하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