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왜, 전북에 ‘피지컬 AI’인가?

입력 2025.08.18 (21:43) 수정 2025.08.18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주 이재명 정부는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로 '인공지능, AI 3대 강국'을 제시했습니다.

때마침 전북은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을 위한 예산을 확보해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데요.

KBS 전주방송총국은 오늘부터 3차례에 걸쳐 기획보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지금, 왜 전북에 피지컬 AI 산업이 필요한지, 한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25 CES 기조연설에서 '피지컬 AI'를 언급한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젠슨 황/엔비디아 CEO : "(AI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지 말해볼까요? 다음 세대 AI는 피지컬 AI입니다."]

업계에선 이미 피지컬 AI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합니다.

카이스트의 스마트 팩토리.

알고리즘에 따라 천정의 레일을 타고 기계가 스스로 움직입니다.

기존 '자동화'를 넘어서, 변화하는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해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화' 개념이 피지컬 AI의 핵심.

전문가들은 자동차를 비롯해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기존의 모든 제조 공정에 피지컬 AI를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기존 AI와는 다른 생태계를 조성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장영재/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 : "피지컬 AI는 기존의 AI와 다르게 생태계를 만들고 전체가 하나의 부를 나눠 가지면서 대한민국의 제조 강점과 결합한다면 글로벌 리딩(선도)하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가 이번 추경 예산에 포함한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 사업은 국책사업의 첫 단추가 될 수 있습니다.

산·학·연 협력이 사업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류덕산/전북대 소프트웨어공학과 교수 : "단순한 테스팅 베드(시험장)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피지컬 AI의 생태계가 구축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인공지능으로 세계가 주목하는 피지컬 AI, 업계에선 본 게임으로도 불리는 이 분야에서 전북이, 나아가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금, 왜, 전북에 ‘피지컬 AI’인가?
    • 입력 2025-08-18 21:43:37
    • 수정2025-08-18 22:06:05
    뉴스9(전주)
[앵커]

지난주 이재명 정부는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로 '인공지능, AI 3대 강국'을 제시했습니다.

때마침 전북은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을 위한 예산을 확보해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데요.

KBS 전주방송총국은 오늘부터 3차례에 걸쳐 기획보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지금, 왜 전북에 피지컬 AI 산업이 필요한지, 한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25 CES 기조연설에서 '피지컬 AI'를 언급한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젠슨 황/엔비디아 CEO : "(AI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지 말해볼까요? 다음 세대 AI는 피지컬 AI입니다."]

업계에선 이미 피지컬 AI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합니다.

카이스트의 스마트 팩토리.

알고리즘에 따라 천정의 레일을 타고 기계가 스스로 움직입니다.

기존 '자동화'를 넘어서, 변화하는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해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화' 개념이 피지컬 AI의 핵심.

전문가들은 자동차를 비롯해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기존의 모든 제조 공정에 피지컬 AI를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기존 AI와는 다른 생태계를 조성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장영재/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 : "피지컬 AI는 기존의 AI와 다르게 생태계를 만들고 전체가 하나의 부를 나눠 가지면서 대한민국의 제조 강점과 결합한다면 글로벌 리딩(선도)하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가 이번 추경 예산에 포함한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 사업은 국책사업의 첫 단추가 될 수 있습니다.

산·학·연 협력이 사업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류덕산/전북대 소프트웨어공학과 교수 : "단순한 테스팅 베드(시험장)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피지컬 AI의 생태계가 구축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인공지능으로 세계가 주목하는 피지컬 AI, 업계에선 본 게임으로도 불리는 이 분야에서 전북이, 나아가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