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정책 속도전…“부산 역량 결집해야”
입력 2025.08.18 (21:44)
수정 2025.08.18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해양수산부 이전을 위한 예산을 심의 의결하는 등 해수부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HMM 본사 유치 등 부산 관련 해양 정책들도 추진 속도가 빨라지면서 부산 역량을 결집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성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연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위해 예비비 867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해수부도 청사 이전 준비 TF를 준비단으로 격상하는 등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수부 이전의 핵심은 단순히 청사 이전에 그칠 것이 아니라 조선·국제물류 등 각 부처에 분산된 기능을 가져와 더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해수부와 부산시도 차관과 부시장이 참여하는 고위급 정책 협의체를 꾸렸지만 아직은 논의가 정주 여건 마련 등에 국한돼 있습니다.
[도한영/부산경실련 사무처장 : "해양 수도 부산이라는 K 해양 강국 건설을 위한다면은 기본적으로 해수부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이런 논의를 같이하는 것까지…."]
해사법원의 경우, 정부가 부산과 인천 두 곳에 설립하겠다고 밝혔지만, 항소심 재판부 설치나 관할구역 등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부산을 북극항로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는 정부의 구상도 결국 법안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또 해양 공공기관 이전이나 HMM 등 100대 기업 유치 등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부산 해양 관련 주요 정책도 정부 의지가 강해 추진이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이들 정책과제에 대응할 부산의 컨트롤 타워와 시민 동력을 모을 구심점이 요구됩니다.
[박재율/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공동대표 : "모든 것이 연계된 과제들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것이며 부산시 차원에서 대정부 대국회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이며 시민적 동력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총괄하는 그런 단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부터 지역 차원에서도 치열한 고민과 설득, 요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부산시를 넘어 지역 정치권과 상공계, 시민단체까지 아우르는 범 부산 차원의 협의체 구성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김기태/영상편집:이동훈
정부가 해양수산부 이전을 위한 예산을 심의 의결하는 등 해수부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HMM 본사 유치 등 부산 관련 해양 정책들도 추진 속도가 빨라지면서 부산 역량을 결집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성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연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위해 예비비 867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해수부도 청사 이전 준비 TF를 준비단으로 격상하는 등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수부 이전의 핵심은 단순히 청사 이전에 그칠 것이 아니라 조선·국제물류 등 각 부처에 분산된 기능을 가져와 더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해수부와 부산시도 차관과 부시장이 참여하는 고위급 정책 협의체를 꾸렸지만 아직은 논의가 정주 여건 마련 등에 국한돼 있습니다.
[도한영/부산경실련 사무처장 : "해양 수도 부산이라는 K 해양 강국 건설을 위한다면은 기본적으로 해수부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이런 논의를 같이하는 것까지…."]
해사법원의 경우, 정부가 부산과 인천 두 곳에 설립하겠다고 밝혔지만, 항소심 재판부 설치나 관할구역 등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부산을 북극항로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는 정부의 구상도 결국 법안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또 해양 공공기관 이전이나 HMM 등 100대 기업 유치 등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부산 해양 관련 주요 정책도 정부 의지가 강해 추진이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이들 정책과제에 대응할 부산의 컨트롤 타워와 시민 동력을 모을 구심점이 요구됩니다.
[박재율/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공동대표 : "모든 것이 연계된 과제들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것이며 부산시 차원에서 대정부 대국회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이며 시민적 동력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총괄하는 그런 단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부터 지역 차원에서도 치열한 고민과 설득, 요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부산시를 넘어 지역 정치권과 상공계, 시민단체까지 아우르는 범 부산 차원의 협의체 구성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김기태/영상편집: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양 정책 속도전…“부산 역량 결집해야”
-
- 입력 2025-08-18 21:44:14
- 수정2025-08-18 22:17:47

[앵커]
정부가 해양수산부 이전을 위한 예산을 심의 의결하는 등 해수부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HMM 본사 유치 등 부산 관련 해양 정책들도 추진 속도가 빨라지면서 부산 역량을 결집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성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연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위해 예비비 867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해수부도 청사 이전 준비 TF를 준비단으로 격상하는 등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수부 이전의 핵심은 단순히 청사 이전에 그칠 것이 아니라 조선·국제물류 등 각 부처에 분산된 기능을 가져와 더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해수부와 부산시도 차관과 부시장이 참여하는 고위급 정책 협의체를 꾸렸지만 아직은 논의가 정주 여건 마련 등에 국한돼 있습니다.
[도한영/부산경실련 사무처장 : "해양 수도 부산이라는 K 해양 강국 건설을 위한다면은 기본적으로 해수부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이런 논의를 같이하는 것까지…."]
해사법원의 경우, 정부가 부산과 인천 두 곳에 설립하겠다고 밝혔지만, 항소심 재판부 설치나 관할구역 등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부산을 북극항로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는 정부의 구상도 결국 법안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또 해양 공공기관 이전이나 HMM 등 100대 기업 유치 등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부산 해양 관련 주요 정책도 정부 의지가 강해 추진이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이들 정책과제에 대응할 부산의 컨트롤 타워와 시민 동력을 모을 구심점이 요구됩니다.
[박재율/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공동대표 : "모든 것이 연계된 과제들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것이며 부산시 차원에서 대정부 대국회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이며 시민적 동력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총괄하는 그런 단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부터 지역 차원에서도 치열한 고민과 설득, 요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부산시를 넘어 지역 정치권과 상공계, 시민단체까지 아우르는 범 부산 차원의 협의체 구성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김기태/영상편집:이동훈
정부가 해양수산부 이전을 위한 예산을 심의 의결하는 등 해수부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HMM 본사 유치 등 부산 관련 해양 정책들도 추진 속도가 빨라지면서 부산 역량을 결집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성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연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위해 예비비 867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해수부도 청사 이전 준비 TF를 준비단으로 격상하는 등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수부 이전의 핵심은 단순히 청사 이전에 그칠 것이 아니라 조선·국제물류 등 각 부처에 분산된 기능을 가져와 더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해수부와 부산시도 차관과 부시장이 참여하는 고위급 정책 협의체를 꾸렸지만 아직은 논의가 정주 여건 마련 등에 국한돼 있습니다.
[도한영/부산경실련 사무처장 : "해양 수도 부산이라는 K 해양 강국 건설을 위한다면은 기본적으로 해수부의 기능과 권한에 대한 이런 논의를 같이하는 것까지…."]
해사법원의 경우, 정부가 부산과 인천 두 곳에 설립하겠다고 밝혔지만, 항소심 재판부 설치나 관할구역 등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부산을 북극항로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는 정부의 구상도 결국 법안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또 해양 공공기관 이전이나 HMM 등 100대 기업 유치 등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부산 해양 관련 주요 정책도 정부 의지가 강해 추진이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이들 정책과제에 대응할 부산의 컨트롤 타워와 시민 동력을 모을 구심점이 요구됩니다.
[박재율/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공동대표 : "모든 것이 연계된 과제들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것이며 부산시 차원에서 대정부 대국회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이며 시민적 동력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총괄하는 그런 단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부터 지역 차원에서도 치열한 고민과 설득, 요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부산시를 넘어 지역 정치권과 상공계, 시민단체까지 아우르는 범 부산 차원의 협의체 구성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김기태/영상편집:이동훈
-
-
강성원 기자 kangsw@kbs.co.kr
강성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