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부동산 회복?…소비심리 4년 만에 최고
입력 2025.08.18 (21:47)
수정 2025.08.18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주택 거래량도 상승세여서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6월 울산의 주택 매매량은 1천 760여 건.
1년 전에 비해 35.7% 늘어나며 상승률이 올해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올 상반기 전체 매매량은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23%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던 전월세 거래량도 5월부터는 큰 폭의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도 끌어 올렸습니다.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 모두 전국에서 가장 높았는데, 두 지수 모두 약 4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정부의 수도권 부동산 규제로 다른 지역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도 하락했지만 울산은 달랐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 연구소장 : "수도권에서 제일 주목하고 있는 지역이 울산입니다. 울산이 일단 여건도 많이 좋아졌고 가격도 안정적으로 오르고 있고."]
실제로 이달 둘째 주 울산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전국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전세를 원하는 사람이 전세를 내놓는 사람보다 많다는 응답이 7배가량 높았습니다.
[원충호/한국공인중개사협회 울산시회장 :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울산 전체로 확산되면서 전세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 추세에 있는 것 같습니다."]
거래량도 늘어나고 소비심리도 살아나면서 지역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조심스러운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8월 아파트 분양과 입주 전망이 7월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해 당분간 시장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박서은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주택 거래량도 상승세여서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6월 울산의 주택 매매량은 1천 760여 건.
1년 전에 비해 35.7% 늘어나며 상승률이 올해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올 상반기 전체 매매량은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23%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던 전월세 거래량도 5월부터는 큰 폭의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도 끌어 올렸습니다.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 모두 전국에서 가장 높았는데, 두 지수 모두 약 4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정부의 수도권 부동산 규제로 다른 지역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도 하락했지만 울산은 달랐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 연구소장 : "수도권에서 제일 주목하고 있는 지역이 울산입니다. 울산이 일단 여건도 많이 좋아졌고 가격도 안정적으로 오르고 있고."]
실제로 이달 둘째 주 울산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전국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전세를 원하는 사람이 전세를 내놓는 사람보다 많다는 응답이 7배가량 높았습니다.
[원충호/한국공인중개사협회 울산시회장 :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울산 전체로 확산되면서 전세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 추세에 있는 것 같습니다."]
거래량도 늘어나고 소비심리도 살아나면서 지역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조심스러운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8월 아파트 분양과 입주 전망이 7월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해 당분간 시장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박서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울산 부동산 회복?…소비심리 4년 만에 최고
-
- 입력 2025-08-18 21:47:21
- 수정2025-08-18 21:58:37

[앵커]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주택 거래량도 상승세여서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6월 울산의 주택 매매량은 1천 760여 건.
1년 전에 비해 35.7% 늘어나며 상승률이 올해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올 상반기 전체 매매량은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23%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던 전월세 거래량도 5월부터는 큰 폭의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도 끌어 올렸습니다.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 모두 전국에서 가장 높았는데, 두 지수 모두 약 4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정부의 수도권 부동산 규제로 다른 지역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도 하락했지만 울산은 달랐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 연구소장 : "수도권에서 제일 주목하고 있는 지역이 울산입니다. 울산이 일단 여건도 많이 좋아졌고 가격도 안정적으로 오르고 있고."]
실제로 이달 둘째 주 울산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전국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전세를 원하는 사람이 전세를 내놓는 사람보다 많다는 응답이 7배가량 높았습니다.
[원충호/한국공인중개사협회 울산시회장 :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울산 전체로 확산되면서 전세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 추세에 있는 것 같습니다."]
거래량도 늘어나고 소비심리도 살아나면서 지역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조심스러운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8월 아파트 분양과 입주 전망이 7월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해 당분간 시장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박서은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주택 거래량도 상승세여서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6월 울산의 주택 매매량은 1천 760여 건.
1년 전에 비해 35.7% 늘어나며 상승률이 올해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올 상반기 전체 매매량은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23%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던 전월세 거래량도 5월부터는 큰 폭의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주택 매매와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도 끌어 올렸습니다.
지난달 울산의 주택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 모두 전국에서 가장 높았는데, 두 지수 모두 약 4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정부의 수도권 부동산 규제로 다른 지역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도 하락했지만 울산은 달랐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 연구소장 : "수도권에서 제일 주목하고 있는 지역이 울산입니다. 울산이 일단 여건도 많이 좋아졌고 가격도 안정적으로 오르고 있고."]
실제로 이달 둘째 주 울산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전국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전세를 원하는 사람이 전세를 내놓는 사람보다 많다는 응답이 7배가량 높았습니다.
[원충호/한국공인중개사협회 울산시회장 :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울산 전체로 확산되면서 전세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 추세에 있는 것 같습니다."]
거래량도 늘어나고 소비심리도 살아나면서 지역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조심스러운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8월 아파트 분양과 입주 전망이 7월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해 당분간 시장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박서은
-
-
박중관 기자 jkp@kbs.co.kr
박중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