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한K] “후진적 산업재해 공화국”…쇄신안은?
입력 2025.08.19 (19:48)
수정 2025.08.19 (20: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산업현장에서의 사망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후진적인 산업재해 공화국을 반드시 벗어나도록 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문 속에 건설업계는 물론이고 금융업계까지 산재 예방 마련에 분주해진 상황입니다.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과 이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건설업계를 비롯해 공공기관까지 산재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예전과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앵커]
산재 사망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 금융권에서도 산재 예방 대응에 나선 상황입니다.
매우 이례적이기도 하고, 그만큼 지금 상황이 심각하다고 풀이되는데?
[앵커]
부울경 지역은 산재 다발 지역으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지난해 부산노동청에서 접수된 사망 재해 건수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거든요?
[앵커]
산재 사망 대부분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너무 대기업만 공격하는 거 아니냐, 오히려 기업 경영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주장도 있습니다?
[앵커]
사망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건설사 면허를 취소하거나, 매출액의 최대 3%를 과징금 부과하는 등 여러 제재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는데?
[앵커]
최저가 입찰 관행, 하청에 재하청 구조, 인력 고령화와 외국인 의존, 산재 사고의 구조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인데, 이런 구조적인 문제 해결 없이 산재 근절이 되겠느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앵커]
다음 달 정부가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산재 사망을 줄일 획기적인 안이 나올지 주목되는데, 어떤 내용이 담길 거 같습니까?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이었습니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산업현장에서의 사망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후진적인 산업재해 공화국을 반드시 벗어나도록 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문 속에 건설업계는 물론이고 금융업계까지 산재 예방 마련에 분주해진 상황입니다.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과 이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건설업계를 비롯해 공공기관까지 산재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예전과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앵커]
산재 사망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 금융권에서도 산재 예방 대응에 나선 상황입니다.
매우 이례적이기도 하고, 그만큼 지금 상황이 심각하다고 풀이되는데?
[앵커]
부울경 지역은 산재 다발 지역으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지난해 부산노동청에서 접수된 사망 재해 건수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거든요?
[앵커]
산재 사망 대부분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너무 대기업만 공격하는 거 아니냐, 오히려 기업 경영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주장도 있습니다?
[앵커]
사망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건설사 면허를 취소하거나, 매출액의 최대 3%를 과징금 부과하는 등 여러 제재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는데?
[앵커]
최저가 입찰 관행, 하청에 재하청 구조, 인력 고령화와 외국인 의존, 산재 사고의 구조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인데, 이런 구조적인 문제 해결 없이 산재 근절이 되겠느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앵커]
다음 달 정부가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산재 사망을 줄일 획기적인 안이 나올지 주목되는데, 어떤 내용이 담길 거 같습니까?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한K] “후진적 산업재해 공화국”…쇄신안은?
-
- 입력 2025-08-19 19:48:18
- 수정2025-08-19 20:16:22

[앵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산업현장에서의 사망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후진적인 산업재해 공화국을 반드시 벗어나도록 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문 속에 건설업계는 물론이고 금융업계까지 산재 예방 마련에 분주해진 상황입니다.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과 이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건설업계를 비롯해 공공기관까지 산재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예전과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앵커]
산재 사망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 금융권에서도 산재 예방 대응에 나선 상황입니다.
매우 이례적이기도 하고, 그만큼 지금 상황이 심각하다고 풀이되는데?
[앵커]
부울경 지역은 산재 다발 지역으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지난해 부산노동청에서 접수된 사망 재해 건수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거든요?
[앵커]
산재 사망 대부분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너무 대기업만 공격하는 거 아니냐, 오히려 기업 경영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주장도 있습니다?
[앵커]
사망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건설사 면허를 취소하거나, 매출액의 최대 3%를 과징금 부과하는 등 여러 제재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는데?
[앵커]
최저가 입찰 관행, 하청에 재하청 구조, 인력 고령화와 외국인 의존, 산재 사고의 구조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인데, 이런 구조적인 문제 해결 없이 산재 근절이 되겠느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앵커]
다음 달 정부가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산재 사망을 줄일 획기적인 안이 나올지 주목되는데, 어떤 내용이 담길 거 같습니까?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이었습니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산업현장에서의 사망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후진적인 산업재해 공화국을 반드시 벗어나도록 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문 속에 건설업계는 물론이고 금융업계까지 산재 예방 마련에 분주해진 상황입니다.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과 이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건설업계를 비롯해 공공기관까지 산재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예전과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앵커]
산재 사망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 금융권에서도 산재 예방 대응에 나선 상황입니다.
매우 이례적이기도 하고, 그만큼 지금 상황이 심각하다고 풀이되는데?
[앵커]
부울경 지역은 산재 다발 지역으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지난해 부산노동청에서 접수된 사망 재해 건수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거든요?
[앵커]
산재 사망 대부분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너무 대기업만 공격하는 거 아니냐, 오히려 기업 경영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주장도 있습니다?
[앵커]
사망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건설사 면허를 취소하거나, 매출액의 최대 3%를 과징금 부과하는 등 여러 제재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는데?
[앵커]
최저가 입찰 관행, 하청에 재하청 구조, 인력 고령화와 외국인 의존, 산재 사고의 구조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인데, 이런 구조적인 문제 해결 없이 산재 근절이 되겠느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앵커]
다음 달 정부가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산재 사망을 줄일 획기적인 안이 나올지 주목되는데, 어떤 내용이 담길 거 같습니까?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노동권익센터 석병수 센터장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