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권 강화 나선 정청래, 조직 선거 폐해 대책은?
입력 2025.08.19 (21:37)
수정 2025.08.19 (2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가동하며 본격적인 당원권 강화에 나섰습니다.
핵심은 1인 1표로 대표되는 권리당원 투표권 강화인데요.
조직선거가 반복되고 있는 호남에서는 선거제 개혁에 역행한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 주권 정부에 맞춰 당원 주권 정당을 만들겠다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통해 개편하는 방향의 큰 틀은 권리당원의 투표권 강화입니다.
[정청래/더불어민주당 대표 : "권리당원의 권리 보장, 그것의 상징적인 1인 1표 시대를 반드시 열어야 할 것입니다."]
당의 규모가 커진 만큼 당원 투표에 왜곡이 없을 거라는 자신감이 담겨있습니다.
[장경태/더불어민주당 당원주권정당특위 위원장 : "당원은 더 이상 동원의 대상이 아닌 자발적 참여의 주체이고 당 정책에 직접 개입하고 관철시키는 당의 주인입니다."]
하지만 민주당의 본거지라는 호남의 상황은 다릅니다.
지난주 마감된 광주와 전남의 지방선거 경선용 입당 원서만 대략 30만 장.
대부분 한 명이 수백에서 수천 명을 대리 접수한 동원된 당원들입니다.
[당원 조직 관리자/음성변조 : "(대충 (입당 원서가) 2백 장은 돼 보이는데요?) 더 많은 사람들 많아요. 수천 개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고. (그분들은 서로 모셔가려고 하겠네요.) 자기 사람을 만들려고 노력하겠죠. 좀 여러 부분에서 예민한 부분이라서…."]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장 광주시장 후보는 몇만 장, 특정 구청장 후보는 만 몇천 장 등 당원 모집 규모로 경선을 전망하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아직 후보조차 모르는 일반 유권자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입니다.
[오승용/메타보이스 이사 : "결국은 당원 숫자를 많이 모집한 정치 후보자들이 유리한 룰이라는 거죠. 신인들이 새롭게 도전하려고 할 때 권리 당원 모집이라는 현실적인 장벽 때문에…."]
정 대표는 당 대표 선출 당시 상대인 박찬대 후보에게 대의원 투표에서만 졌습니다.
호남의 조직 선거 같은 부작용을 막을 대책 없이 당원권 강화에만 나선다면 정 대표가 추진하는 개혁의 의도는 다르게 읽힐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신동구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가동하며 본격적인 당원권 강화에 나섰습니다.
핵심은 1인 1표로 대표되는 권리당원 투표권 강화인데요.
조직선거가 반복되고 있는 호남에서는 선거제 개혁에 역행한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 주권 정부에 맞춰 당원 주권 정당을 만들겠다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통해 개편하는 방향의 큰 틀은 권리당원의 투표권 강화입니다.
[정청래/더불어민주당 대표 : "권리당원의 권리 보장, 그것의 상징적인 1인 1표 시대를 반드시 열어야 할 것입니다."]
당의 규모가 커진 만큼 당원 투표에 왜곡이 없을 거라는 자신감이 담겨있습니다.
[장경태/더불어민주당 당원주권정당특위 위원장 : "당원은 더 이상 동원의 대상이 아닌 자발적 참여의 주체이고 당 정책에 직접 개입하고 관철시키는 당의 주인입니다."]
하지만 민주당의 본거지라는 호남의 상황은 다릅니다.
지난주 마감된 광주와 전남의 지방선거 경선용 입당 원서만 대략 30만 장.
대부분 한 명이 수백에서 수천 명을 대리 접수한 동원된 당원들입니다.
[당원 조직 관리자/음성변조 : "(대충 (입당 원서가) 2백 장은 돼 보이는데요?) 더 많은 사람들 많아요. 수천 개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고. (그분들은 서로 모셔가려고 하겠네요.) 자기 사람을 만들려고 노력하겠죠. 좀 여러 부분에서 예민한 부분이라서…."]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장 광주시장 후보는 몇만 장, 특정 구청장 후보는 만 몇천 장 등 당원 모집 규모로 경선을 전망하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아직 후보조차 모르는 일반 유권자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입니다.
[오승용/메타보이스 이사 : "결국은 당원 숫자를 많이 모집한 정치 후보자들이 유리한 룰이라는 거죠. 신인들이 새롭게 도전하려고 할 때 권리 당원 모집이라는 현실적인 장벽 때문에…."]
정 대표는 당 대표 선출 당시 상대인 박찬대 후보에게 대의원 투표에서만 졌습니다.
호남의 조직 선거 같은 부작용을 막을 대책 없이 당원권 강화에만 나선다면 정 대표가 추진하는 개혁의 의도는 다르게 읽힐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신동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당원권 강화 나선 정청래, 조직 선거 폐해 대책은?
-
- 입력 2025-08-19 21:37:05
- 수정2025-08-19 22:25:30

[앵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가동하며 본격적인 당원권 강화에 나섰습니다.
핵심은 1인 1표로 대표되는 권리당원 투표권 강화인데요.
조직선거가 반복되고 있는 호남에서는 선거제 개혁에 역행한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 주권 정부에 맞춰 당원 주권 정당을 만들겠다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통해 개편하는 방향의 큰 틀은 권리당원의 투표권 강화입니다.
[정청래/더불어민주당 대표 : "권리당원의 권리 보장, 그것의 상징적인 1인 1표 시대를 반드시 열어야 할 것입니다."]
당의 규모가 커진 만큼 당원 투표에 왜곡이 없을 거라는 자신감이 담겨있습니다.
[장경태/더불어민주당 당원주권정당특위 위원장 : "당원은 더 이상 동원의 대상이 아닌 자발적 참여의 주체이고 당 정책에 직접 개입하고 관철시키는 당의 주인입니다."]
하지만 민주당의 본거지라는 호남의 상황은 다릅니다.
지난주 마감된 광주와 전남의 지방선거 경선용 입당 원서만 대략 30만 장.
대부분 한 명이 수백에서 수천 명을 대리 접수한 동원된 당원들입니다.
[당원 조직 관리자/음성변조 : "(대충 (입당 원서가) 2백 장은 돼 보이는데요?) 더 많은 사람들 많아요. 수천 개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고. (그분들은 서로 모셔가려고 하겠네요.) 자기 사람을 만들려고 노력하겠죠. 좀 여러 부분에서 예민한 부분이라서…."]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장 광주시장 후보는 몇만 장, 특정 구청장 후보는 만 몇천 장 등 당원 모집 규모로 경선을 전망하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아직 후보조차 모르는 일반 유권자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입니다.
[오승용/메타보이스 이사 : "결국은 당원 숫자를 많이 모집한 정치 후보자들이 유리한 룰이라는 거죠. 신인들이 새롭게 도전하려고 할 때 권리 당원 모집이라는 현실적인 장벽 때문에…."]
정 대표는 당 대표 선출 당시 상대인 박찬대 후보에게 대의원 투표에서만 졌습니다.
호남의 조직 선거 같은 부작용을 막을 대책 없이 당원권 강화에만 나선다면 정 대표가 추진하는 개혁의 의도는 다르게 읽힐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신동구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가동하며 본격적인 당원권 강화에 나섰습니다.
핵심은 1인 1표로 대표되는 권리당원 투표권 강화인데요.
조직선거가 반복되고 있는 호남에서는 선거제 개혁에 역행한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박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 주권 정부에 맞춰 당원 주권 정당을 만들겠다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당원 주권 특별위원회를 통해 개편하는 방향의 큰 틀은 권리당원의 투표권 강화입니다.
[정청래/더불어민주당 대표 : "권리당원의 권리 보장, 그것의 상징적인 1인 1표 시대를 반드시 열어야 할 것입니다."]
당의 규모가 커진 만큼 당원 투표에 왜곡이 없을 거라는 자신감이 담겨있습니다.
[장경태/더불어민주당 당원주권정당특위 위원장 : "당원은 더 이상 동원의 대상이 아닌 자발적 참여의 주체이고 당 정책에 직접 개입하고 관철시키는 당의 주인입니다."]
하지만 민주당의 본거지라는 호남의 상황은 다릅니다.
지난주 마감된 광주와 전남의 지방선거 경선용 입당 원서만 대략 30만 장.
대부분 한 명이 수백에서 수천 명을 대리 접수한 동원된 당원들입니다.
[당원 조직 관리자/음성변조 : "(대충 (입당 원서가) 2백 장은 돼 보이는데요?) 더 많은 사람들 많아요. 수천 개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고. (그분들은 서로 모셔가려고 하겠네요.) 자기 사람을 만들려고 노력하겠죠. 좀 여러 부분에서 예민한 부분이라서…."]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장 광주시장 후보는 몇만 장, 특정 구청장 후보는 만 몇천 장 등 당원 모집 규모로 경선을 전망하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아직 후보조차 모르는 일반 유권자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입니다.
[오승용/메타보이스 이사 : "결국은 당원 숫자를 많이 모집한 정치 후보자들이 유리한 룰이라는 거죠. 신인들이 새롭게 도전하려고 할 때 권리 당원 모집이라는 현실적인 장벽 때문에…."]
정 대표는 당 대표 선출 당시 상대인 박찬대 후보에게 대의원 투표에서만 졌습니다.
호남의 조직 선거 같은 부작용을 막을 대책 없이 당원권 강화에만 나선다면 정 대표가 추진하는 개혁의 의도는 다르게 읽힐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신동구
-
-
박지성 기자 jsp@kbs.co.kr
박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