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유목 가정 아이들 ‘학교가 집’

입력 2025.08.25 (09:48) 수정 2025.08.25 (13: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 티베트에서는 아직도 적지 않은 인구가 유목 생활을 하면서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기 쉽지 않았는데요.

기숙형 학교로 교육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리포트]

재학생 수 1800명이 넘는 산난시 완췐 중학교.

2019년 설립된 티베트의 기숙형 학교입니다.

전교생의 95%가 목축 지역 출신이라, 집에 가려면 꼬박 하루가 걸리는 학생도 있습니다.

과거엔 이런 경우 대부분 학업을 포기해야 했는데, 기숙형 학교가 생기면서 대부분이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

[니후이리/완췐 중학교 교사 : "아이들이 즐겁게 지내는 게 가장 중요하고 공부는 그다음이라고 생각해요."]

선생님은 부모 역할까지 맡고 있습니다.

[니후이리/완췐 중학교 교사 : "손으로 누르면 아프니? 아프다고? 손으로 비비면 안 돼, 알겠지?"]

티베트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15년 무상 교육을 시행한 지역으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 과정을 지원해 줍니다.

학교는 아이들이 수업을 통해 티베트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킬 수 있게 티베트어와 전통춤 등도 비중 있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티베트 유목 가정 아이들 ‘학교가 집’
    • 입력 2025-08-25 09:47:59
    • 수정2025-08-25 13:39:47
    930뉴스
[앵커]

중국 티베트에서는 아직도 적지 않은 인구가 유목 생활을 하면서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기 쉽지 않았는데요.

기숙형 학교로 교육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리포트]

재학생 수 1800명이 넘는 산난시 완췐 중학교.

2019년 설립된 티베트의 기숙형 학교입니다.

전교생의 95%가 목축 지역 출신이라, 집에 가려면 꼬박 하루가 걸리는 학생도 있습니다.

과거엔 이런 경우 대부분 학업을 포기해야 했는데, 기숙형 학교가 생기면서 대부분이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

[니후이리/완췐 중학교 교사 : "아이들이 즐겁게 지내는 게 가장 중요하고 공부는 그다음이라고 생각해요."]

선생님은 부모 역할까지 맡고 있습니다.

[니후이리/완췐 중학교 교사 : "손으로 누르면 아프니? 아프다고? 손으로 비비면 안 돼, 알겠지?"]

티베트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15년 무상 교육을 시행한 지역으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 과정을 지원해 줍니다.

학교는 아이들이 수업을 통해 티베트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킬 수 있게 티베트어와 전통춤 등도 비중 있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