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후 한미정상회담…쟁점·전망은?
입력 2025.08.25 (23:12)
수정 2025.08.25 (23: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잠시 뒤 있을 한미정상회담 전문가와 전망해봅니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 나와있습니다.
주요 의제 가운데 가장 우리에겐 도전적인 부분이 바로 미국이 이야기하는 동맹현대화, 전략적 유연성입니다.
좀 풀어주시겠어요?
[앵커]
이 대통령도 이에 대해서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결론을 낼 수 있을까요?
[앵커]
이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 등의 논의는 우리도 필요하다고 했는데요.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와 미국이 이야기하는 주한미군의 유연화는 어떻게 다른가요?
[앵커]
이견이 너무 많은 부분에선 합의를 미루는 건 어떻다고 보시나요?
[앵커]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할 수 있는 부분으로 거론되는 게 원자력협정의 개정이죠?
이건 미국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나요?
[앵커]
경제 쪽도 짚어보겠습니다.
한미 관세협상의 세부 내용과 이후 투자에 대한 부분도 큰 쟁점입니다.
우리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여기에 대한 미국과 우리의 생각이 달라 보입니다.
[앵커]
농산물 추가 개방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입장과 다른 말을 해서 말들이 있었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논의가 될까요?
[앵커]
또 하나 걱정되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거침없는 입담입니다.
무슨 이야기를 할 지 예측불가여서 걱정이 많이 되는데요.
[앵커]
대통령실 3실장이 모두 미국에 방문한 걸 두고 막판 의제 조율에 변수가 생긴 것 아니냔 얘기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 대통령을 미국무부의 의전장이 아닌 부의전장이 맞은 걸 놓고 말들이 좀 있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지금 공동기자회견과 공동성명이 있을 지는 미정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경우도 좀 드문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잠시 뒤 있을 한미정상회담 전문가와 전망해봅니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 나와있습니다.
주요 의제 가운데 가장 우리에겐 도전적인 부분이 바로 미국이 이야기하는 동맹현대화, 전략적 유연성입니다.
좀 풀어주시겠어요?
[앵커]
이 대통령도 이에 대해서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결론을 낼 수 있을까요?
[앵커]
이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 등의 논의는 우리도 필요하다고 했는데요.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와 미국이 이야기하는 주한미군의 유연화는 어떻게 다른가요?
[앵커]
이견이 너무 많은 부분에선 합의를 미루는 건 어떻다고 보시나요?
[앵커]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할 수 있는 부분으로 거론되는 게 원자력협정의 개정이죠?
이건 미국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나요?
[앵커]
경제 쪽도 짚어보겠습니다.
한미 관세협상의 세부 내용과 이후 투자에 대한 부분도 큰 쟁점입니다.
우리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여기에 대한 미국과 우리의 생각이 달라 보입니다.
[앵커]
농산물 추가 개방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입장과 다른 말을 해서 말들이 있었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논의가 될까요?
[앵커]
또 하나 걱정되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거침없는 입담입니다.
무슨 이야기를 할 지 예측불가여서 걱정이 많이 되는데요.
[앵커]
대통령실 3실장이 모두 미국에 방문한 걸 두고 막판 의제 조율에 변수가 생긴 것 아니냔 얘기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 대통령을 미국무부의 의전장이 아닌 부의전장이 맞은 걸 놓고 말들이 좀 있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지금 공동기자회견과 공동성명이 있을 지는 미정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경우도 좀 드문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잠시 후 한미정상회담…쟁점·전망은?
-
- 입력 2025-08-25 23:12:16
- 수정2025-08-25 23:44:32

[앵커]
잠시 뒤 있을 한미정상회담 전문가와 전망해봅니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 나와있습니다.
주요 의제 가운데 가장 우리에겐 도전적인 부분이 바로 미국이 이야기하는 동맹현대화, 전략적 유연성입니다.
좀 풀어주시겠어요?
[앵커]
이 대통령도 이에 대해서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결론을 낼 수 있을까요?
[앵커]
이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 등의 논의는 우리도 필요하다고 했는데요.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와 미국이 이야기하는 주한미군의 유연화는 어떻게 다른가요?
[앵커]
이견이 너무 많은 부분에선 합의를 미루는 건 어떻다고 보시나요?
[앵커]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할 수 있는 부분으로 거론되는 게 원자력협정의 개정이죠?
이건 미국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나요?
[앵커]
경제 쪽도 짚어보겠습니다.
한미 관세협상의 세부 내용과 이후 투자에 대한 부분도 큰 쟁점입니다.
우리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여기에 대한 미국과 우리의 생각이 달라 보입니다.
[앵커]
농산물 추가 개방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입장과 다른 말을 해서 말들이 있었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논의가 될까요?
[앵커]
또 하나 걱정되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거침없는 입담입니다.
무슨 이야기를 할 지 예측불가여서 걱정이 많이 되는데요.
[앵커]
대통령실 3실장이 모두 미국에 방문한 걸 두고 막판 의제 조율에 변수가 생긴 것 아니냔 얘기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 대통령을 미국무부의 의전장이 아닌 부의전장이 맞은 걸 놓고 말들이 좀 있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지금 공동기자회견과 공동성명이 있을 지는 미정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경우도 좀 드문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잠시 뒤 있을 한미정상회담 전문가와 전망해봅니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 나와있습니다.
주요 의제 가운데 가장 우리에겐 도전적인 부분이 바로 미국이 이야기하는 동맹현대화, 전략적 유연성입니다.
좀 풀어주시겠어요?
[앵커]
이 대통령도 이에 대해서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결론을 낼 수 있을까요?
[앵커]
이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 등의 논의는 우리도 필요하다고 했는데요.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와 미국이 이야기하는 주한미군의 유연화는 어떻게 다른가요?
[앵커]
이견이 너무 많은 부분에선 합의를 미루는 건 어떻다고 보시나요?
[앵커]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할 수 있는 부분으로 거론되는 게 원자력협정의 개정이죠?
이건 미국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나요?
[앵커]
경제 쪽도 짚어보겠습니다.
한미 관세협상의 세부 내용과 이후 투자에 대한 부분도 큰 쟁점입니다.
우리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여기에 대한 미국과 우리의 생각이 달라 보입니다.
[앵커]
농산물 추가 개방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입장과 다른 말을 해서 말들이 있었는데요.
이번 회담에서 논의가 될까요?
[앵커]
또 하나 걱정되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거침없는 입담입니다.
무슨 이야기를 할 지 예측불가여서 걱정이 많이 되는데요.
[앵커]
대통령실 3실장이 모두 미국에 방문한 걸 두고 막판 의제 조율에 변수가 생긴 것 아니냔 얘기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 대통령을 미국무부의 의전장이 아닌 부의전장이 맞은 걸 놓고 말들이 좀 있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지금 공동기자회견과 공동성명이 있을 지는 미정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경우도 좀 드문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왕선택 서강대 대우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