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136명 수몰’ 일 해저탄광서 유골…일 “발굴 지원? 좀 보고”

입력 2025.08.26 (19:26) 수정 2025.08.26 (1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 130여 명이 수몰돼 단 한 구의 시신도 돌아오지 못한 일본의 한 해저 탄광에서 희생자 유골로 추정되는 뼈가 발견됐습니다.

사고가 난 지 83년 만인데 일본 정부는 발굴 조사 지원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 야마구치현 조세이 해저 탄광 사고 현장에서 오늘 발견된 뼈입니다.

사람의 두개골로 보이는데 83년 전 수몰 사고로 숨진 희생자의 유골로 추정됩니다.

어제도 세 점을 발굴했는데, 가장 긴 건 42cm에 달합니다.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 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은 희생자 4명의 유해로 추정되는 뼈가 흩어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를 한국인 잠수사가 가지고 나온 겁니다.

조세이 탄광 수몰 사건은 1942년 2월 3일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던 조선인 강제 징용자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모두 183명이 숨진 비극적 참사입니다.

진상 규명에 나선 일본 시민단체는 지난해 9월 해안가에 묻혔던 갱도 입구를 82년 만에 찾아냈습니다.

["어이! 들려? 갱구가 열렸다!"]

일본 정부의 외면 속에 단체는 시민 모금을 통해 유해 발굴 작업을 진행했고, 드디어 근 1년 만에 그 결실을 봤습니다.

희생자 추정 유골이 발견됐지만 일본 정부가 적극적 지원에 나설지는 미지수입니다.

[하야시 요시마사/일본 관방장관 :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있고, 현시점에서 안전이 확보돼 잠수 조사가 가능하다는 견해는 아직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앞서 지난 4월 이시바 총리는 국가가 어떤 지원을 할지 검토해 보고 싶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장희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선인 136명 수몰’ 일 해저탄광서 유골…일 “발굴 지원? 좀 보고”
    • 입력 2025-08-26 19:26:59
    • 수정2025-08-26 19:44:47
    뉴스 7
[앵커]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 130여 명이 수몰돼 단 한 구의 시신도 돌아오지 못한 일본의 한 해저 탄광에서 희생자 유골로 추정되는 뼈가 발견됐습니다.

사고가 난 지 83년 만인데 일본 정부는 발굴 조사 지원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 야마구치현 조세이 해저 탄광 사고 현장에서 오늘 발견된 뼈입니다.

사람의 두개골로 보이는데 83년 전 수몰 사고로 숨진 희생자의 유골로 추정됩니다.

어제도 세 점을 발굴했는데, 가장 긴 건 42cm에 달합니다.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 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은 희생자 4명의 유해로 추정되는 뼈가 흩어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를 한국인 잠수사가 가지고 나온 겁니다.

조세이 탄광 수몰 사건은 1942년 2월 3일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던 조선인 강제 징용자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모두 183명이 숨진 비극적 참사입니다.

진상 규명에 나선 일본 시민단체는 지난해 9월 해안가에 묻혔던 갱도 입구를 82년 만에 찾아냈습니다.

["어이! 들려? 갱구가 열렸다!"]

일본 정부의 외면 속에 단체는 시민 모금을 통해 유해 발굴 작업을 진행했고, 드디어 근 1년 만에 그 결실을 봤습니다.

희생자 추정 유골이 발견됐지만 일본 정부가 적극적 지원에 나설지는 미지수입니다.

[하야시 요시마사/일본 관방장관 :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있고, 현시점에서 안전이 확보돼 잠수 조사가 가능하다는 견해는 아직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앞서 지난 4월 이시바 총리는 국가가 어떤 지원을 할지 검토해 보고 싶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장희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