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대 침구사의 무료 봉사 60년
입력 2006.04.29 (21:55)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60여년간을 소외된 이웃을 위해 침과 뜸으로 인술을 베풀어온 분이 계십니다.
아흔을 넘은 연세에도 봉사활동의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김주한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92살 침구사 김남수 옹은 주말이면 어김없이 '뜸 사랑 봉사실'로 향합니다.
진료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노인이나 외국인 노동자들... 특히 중풍이나 관절염 환자가 많습니다.
의사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해방과 함께 무료봉사를 시작한 지 60여 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이웃들에게 침과 뜸을 놓아주었습니다.
<인터뷰>김태순(서울 풍납동) : "몸이 너무 안 좋아서 소문 듣고 왔는데, 너무 잘 하셔서 지금은 좋아요."
<인터뷰>조삼용(서울 이문동) : "많이 다녀봤는데 효과 없더니 여기 오니 팔을 들 수도 있고 효과 있다."
김 옹이 백수를 눈앞에 둔 지금까지 무료 봉사를 계속하는 데는 특별한 사연이 있습니다.
지난 1962년 침구사 제도가 폐지된 이후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인 전통 침술과 뜸술을 널리 알리기 위해섭니다.
<인터뷰>김남수 옹(침구사 92살) : "지금 바라는 건 하나도 없어요. 이 침구사 제도가 다시 부활하는 게 제일 큰 바람입니다."
몸을 움직일 수 있는 한 봉사를 계속하겠다는 김남수 옹. 낮은 곳으로 임해 사랑과 희망을 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지난 60여년간을 소외된 이웃을 위해 침과 뜸으로 인술을 베풀어온 분이 계십니다.
아흔을 넘은 연세에도 봉사활동의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김주한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92살 침구사 김남수 옹은 주말이면 어김없이 '뜸 사랑 봉사실'로 향합니다.
진료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노인이나 외국인 노동자들... 특히 중풍이나 관절염 환자가 많습니다.
의사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해방과 함께 무료봉사를 시작한 지 60여 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이웃들에게 침과 뜸을 놓아주었습니다.
<인터뷰>김태순(서울 풍납동) : "몸이 너무 안 좋아서 소문 듣고 왔는데, 너무 잘 하셔서 지금은 좋아요."
<인터뷰>조삼용(서울 이문동) : "많이 다녀봤는데 효과 없더니 여기 오니 팔을 들 수도 있고 효과 있다."
김 옹이 백수를 눈앞에 둔 지금까지 무료 봉사를 계속하는 데는 특별한 사연이 있습니다.
지난 1962년 침구사 제도가 폐지된 이후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인 전통 침술과 뜸술을 널리 알리기 위해섭니다.
<인터뷰>김남수 옹(침구사 92살) : "지금 바라는 건 하나도 없어요. 이 침구사 제도가 다시 부활하는 게 제일 큰 바람입니다."
몸을 움직일 수 있는 한 봉사를 계속하겠다는 김남수 옹. 낮은 곳으로 임해 사랑과 희망을 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90대 침구사의 무료 봉사 60년
-
- 입력 2006-04-29 21:19:3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멘트>
지난 60여년간을 소외된 이웃을 위해 침과 뜸으로 인술을 베풀어온 분이 계십니다.
아흔을 넘은 연세에도 봉사활동의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김주한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92살 침구사 김남수 옹은 주말이면 어김없이 '뜸 사랑 봉사실'로 향합니다.
진료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노인이나 외국인 노동자들... 특히 중풍이나 관절염 환자가 많습니다.
의사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해방과 함께 무료봉사를 시작한 지 60여 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이웃들에게 침과 뜸을 놓아주었습니다.
<인터뷰>김태순(서울 풍납동) : "몸이 너무 안 좋아서 소문 듣고 왔는데, 너무 잘 하셔서 지금은 좋아요."
<인터뷰>조삼용(서울 이문동) : "많이 다녀봤는데 효과 없더니 여기 오니 팔을 들 수도 있고 효과 있다."
김 옹이 백수를 눈앞에 둔 지금까지 무료 봉사를 계속하는 데는 특별한 사연이 있습니다.
지난 1962년 침구사 제도가 폐지된 이후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인 전통 침술과 뜸술을 널리 알리기 위해섭니다.
<인터뷰>김남수 옹(침구사 92살) : "지금 바라는 건 하나도 없어요. 이 침구사 제도가 다시 부활하는 게 제일 큰 바람입니다."
몸을 움직일 수 있는 한 봉사를 계속하겠다는 김남수 옹. 낮은 곳으로 임해 사랑과 희망을 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