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아니면 갈 수 없는 길
ⓒ Getty Images
1972년 12월 16일,
아폴로 17호가 세 명의 우주인을
태운 채 달에서 지구를 향해 이륙했다.
20호까지 계획됐던 미국 아폴로
계획의 마지막 임무였다. 아폴로 계획은
인류의 달 착륙을 성공시켰지만 막대한
예산 투입에 여론이 돌아서면서 조기 종료됐다.
1960년부터 1973년까지 아폴로 계획에는
194억 813만 4,000달러가 투입됐다.
그로부터 50년 뒤, 다누리는 달 탐사에 도전한다.
선진국의 달 탐사가 일단락된 지
반세기가 지난 시점이다.
2016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7년간 예산 2,367억 원이 투입됐다.
왜 한국은 달 탐사를 시작하는 걸까.
우리 힘으로 달에 가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가장 근본적인 질문에 과학자들이 답한다.
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발사 석 달 전 '다누리'라는 이름이
대국민 공모로 정해지기 전까지
한국형 달 탐사선의 공식 이름이었다.
Pathfinder(길잡이)라는 뜻대로
다누리는 심우주 탐사의 길을 여는 길잡이다.
탐사선의 설계, 조립, 시험, 발사에서부터
항행, 교신, 임무 운영과 달 궤도 진입,
임무 수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첫 경험이고 도전이었다.
다누리를 통해 한국 우주 탐사의
개척자 집단이 구성됐다.
우주 탐사의 개척자는
과학자와 공학자 뿐만이 아니다.
다누리는 독자 기술 개발을 목표로
국내 기업과 대학교, 정부 출연 연구소 등
59개 기관이 개발에 참여했다.
도전한 기업과 대학은 우주개발에
필요한 요소 기술을 확보했다.
우주 개발은 국력의 상징이다.
첨단 기술의 집약체이고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
우주 탐사의 경험은 과학기술 영역에 그치지 않고
국가 역량의 한 축이 된다. 현장에선 다누리의
도전을 통해 달라진 위상을 서서히 체감하고 있다.
다누리가 수행하는 과학 임무는
2023년 본격 시작되지만,
한국은 항행 과정에서 세계 수준의
교신과 임무 운영 역량을 입증했다.
세계 각국이 다시 달 탐사에 나선 데는
경제적 이유가 있다.
과학자들은 인터뷰에서 우주기술을
대항해시대 국제 무역로를 연 항해술에
자주 비유했다.
우주를 이용한 제품과 서비스가 생산, 소비되는
우주경제 시대는 이미 막이 올랐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2040년 세계 우주경제의 규모는
2020년 4,470억 달러보다 20배 늘어난
1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 탐사는 지금 아니면 갈 수 없는
길이라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KBS '다누리 MOON을 열다' 특집 사이트는 한국 최초의 우주 탐사인 다누리의 달 탐사 과정과 의미를 깊고 풍부하게 전하기 위해 기획됐습니다.
지구를 떠나 이제 만날 수 없는 다누리를 입체적으로 살펴보고, 우주에서 펼쳐지는 다누리의 항행과 심우주 통신을
인터랙티브 궤적과 3D 그래픽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달에서 1년간 진행하는 과학 임무에 대해서는 다누리를 개발한 과학자와 공학자들의 전문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담았습니다.
달 탐사선을 독자 개발하기까지 7년간 분투한 이들의 도전기와 우주 탐사에 성공한 소감을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세계 달 탐사에서 한국의 위치를 확인해보고, 다누리 발사에 이르기까지 우주 정책의 추진 과정을 되돌아봤습니다.
우리가 지금 달 탐사에 나선 이유를 함께 생각해보며 한국 우주 개발의 미래를 그려봅니다.
다누리 위치 정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제공하는 추정치로, 누적 이동 거리와 속력은 지구 관찰자 기준입니다.
다누리의 실제 이동 방향과 속도는 심우주지상안테나로 수신한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파악되고, 분석에 이틀 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항행 타임라인과 심우주 통신, 우주 인터넷의 그래픽은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입니다. 천체와 탐사선, 안테나의 크기와 거리, 비율, 속도가 실제와 다릅니다.
다누리 본체와 탑재체, 관측 자료는 주관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탑재체 개발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희대학교,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의 공식 자료 또는 연구자 제공 자료입니다.
세계 달 탐사 현황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제공한 자료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자료를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국가별 현황에서 실패 후 비공개된 자료가 있을 수 있습니다. 탐사선의 종류에서 궤도선과 착륙선, 로버 등이 복합 구성된 미션은 연구자에 따라 수치를 달리 셀 수 있습니다.
달 탐사 성공률에서 탐사선의 임무가 일부만 성공하거나, 변경된 임무가 추가로 부여되는 경우가 있어, 연구자에 따라 성공/실패 판단이 다를 수 있습니다.
달의 기존 관측자료와 사진은 NASA가 공개한 자료를 출처를 표기해 사용했습니다.
내용은 2022년 12월을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다누리의 관측 자료는 공개되는 대로 업데이트됩니다.
자료와 관련해 수정이 필요한 사안은 argo@kbs.co.kr(이승종 기자)로 알려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