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량 감소’ 중소 조선사에 1조 원대 일감 발주

입력 2018.11.22 (21:16) 수정 2018.11.22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진의 늪에 빠졌던 조선업계가 대형 조선사들을 중심으로 수주량이 늘고 있는데, 중소 조선사들의 어려움은 여전합니다.

그래서 민관이 1조 원대 일감을 만들어 주고 금융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는데요.

효과가 있을지, 박원기 기자 보도합니다.

[리포트]

STX조선해양은 올해 그리스로부터 선박 7척, 2천 7백억 원 규모의 주문을 받았지만, 결국, 계약은 취소됐습니다.

배를 만들어 팔때 꼭 필요한 금융사 지급 보증을 받지를 못했기 때문입니다.

[공두평/STX조선해양 팀장 : "현금 흐름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판단한 산업은행이 승인을 하지 않아서 무산된 바 있습니다. (지금) 단기 유동성 문제는 해결이 됐고 앞으로 RG(보증)발급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어렵게 수주를 해도 금융사들이 좀처럼 보증을 서주지 않으면서 일감이 다시 끊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그 결과 중형 조선사의 올해 수주량은 지난해보다 26% 넘게 감소했습니다.

국내 조선업 전체 수주량은 70% 넘게 늘었지만 대부분 대형 조선사 몫입니다.

정부가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조선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선수급 지급 보증 규모를 2천억 원으로 늘리고, 1조 원대 대출·보증의 만기를 연장해주기로 했습니다.

또 2025년까지 민관이 LNG 연료선 140척, 1조 원 어치 규모의 선박을 중소 조선사에 발주하고, LNG연료 공급 인프라를 확충하는데 2조 8천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친환경 체제로의 전환은 우리 조선산업이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하지만, 조선업체의 제대로 된 구조조정이 먼저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정부 재정지원에 의한 물량을 유지하는 형태로 조선업이 계속 유지될 수는 없다고 생각되고요. 지속가능한 조선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구조개혁과 함께 전체적인 산업 재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LNG선 발주 역시 기술력이 앞선 몇몇 업체에만 혜택이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면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주량 감소’ 중소 조선사에 1조 원대 일감 발주
    • 입력 2018-11-22 21:18:36
    • 수정2018-11-22 22:08:51
    뉴스 9
[앵커]

부진의 늪에 빠졌던 조선업계가 대형 조선사들을 중심으로 수주량이 늘고 있는데, 중소 조선사들의 어려움은 여전합니다.

그래서 민관이 1조 원대 일감을 만들어 주고 금융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는데요.

효과가 있을지, 박원기 기자 보도합니다.

[리포트]

STX조선해양은 올해 그리스로부터 선박 7척, 2천 7백억 원 규모의 주문을 받았지만, 결국, 계약은 취소됐습니다.

배를 만들어 팔때 꼭 필요한 금융사 지급 보증을 받지를 못했기 때문입니다.

[공두평/STX조선해양 팀장 : "현금 흐름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판단한 산업은행이 승인을 하지 않아서 무산된 바 있습니다. (지금) 단기 유동성 문제는 해결이 됐고 앞으로 RG(보증)발급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어렵게 수주를 해도 금융사들이 좀처럼 보증을 서주지 않으면서 일감이 다시 끊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그 결과 중형 조선사의 올해 수주량은 지난해보다 26% 넘게 감소했습니다.

국내 조선업 전체 수주량은 70% 넘게 늘었지만 대부분 대형 조선사 몫입니다.

정부가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조선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선수급 지급 보증 규모를 2천억 원으로 늘리고, 1조 원대 대출·보증의 만기를 연장해주기로 했습니다.

또 2025년까지 민관이 LNG 연료선 140척, 1조 원 어치 규모의 선박을 중소 조선사에 발주하고, LNG연료 공급 인프라를 확충하는데 2조 8천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친환경 체제로의 전환은 우리 조선산업이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하지만, 조선업체의 제대로 된 구조조정이 먼저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정부 재정지원에 의한 물량을 유지하는 형태로 조선업이 계속 유지될 수는 없다고 생각되고요. 지속가능한 조선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구조개혁과 함께 전체적인 산업 재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LNG선 발주 역시 기술력이 앞선 몇몇 업체에만 혜택이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면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