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학습 통해 진화”…알파고, 직관까지 모방

입력 2016.03.08 (21:19) 수정 2016.03.08 (22: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금 들으시는 음악, 어떠신가요?

예일대가 만든 인공지능, '쿨리타'의 작품으로 원곡을 편곡해 또 다른 느낌의 음악을 만들었습니다.

이 추상화들은 구글의 '딥 드림'이 그렸습니다.

사진을 바탕으로 기계가 사람이 상상하기 힘든 무한반복적 형태의 그림을 만들어냈습니다.

이제 인공지능은 경우의 수가 사실상 무한하다는 바둑에도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먼저 범기영 기자가 학습하는 인공지능, 구글 알파고의 원리를 설명합니다.

[연관 기사]
☞ “5:0은 아닌 것 같다”…“알파고 더 강해졌다”
☞ ‘세기의 대결’ 준비 끝…이세돌 “5대 0 힘들 수도”

▼배우는 인공지능…원리는?▼

<리포트>

알파고가 유럽 챔피언인 판후이 2단을 꺾은 직후, 구글은 이세돌 9단을 다음 상대로 지목했습니다.

알파고가 다섯 달 만에 세계 최고수에게 도전장을 낼 수 있던 데는 이른바 '기계 학습'에 대한 구글의 자신감이 깔려 있습니다.

'기계 학습'은 방대한 분량의 데이터를 기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해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입니다.

알파고는 입력된 기보 16만 개를 토대로 지난 5개월간 스스로 매일 3만 번씩 대국을 하면서 실력을 키워왔습니다.

<인터뷰> 데미스 허사비스(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 : "우리도 바로 그것을 테스트해보고 싶다. 학습의 개선에 한계가 있는지를. 지금까지는 일단 알파고는 학습 능력 향상에 있어서 한계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학습 기간이 길수록, 분석한 데이터 양이 많아질수록 결과 예측은 정밀해집니다.

인간처럼 지치지도 않고 하루 24시간, 365일 연속으로 학습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차두원(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 "알파고는 기존 기보들을 학습해서 어느 수가 가장 좋은지 학습하고 대국을 치르게 되는 거죠."

알파고는 이제 인간 특유의 직관까지 상당 수준 모방하는 단계에 올랐습니다.

알파고는 그래픽 처리 장치로 전체 판세를 인식해 공격형과 수비형 가운데 어느 쪽으로 대응할지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눈과 귀가 있는 것처럼 인공지능이 주변 상황을 스스로 파악해 대처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로봇과 융합…일상생활에서도 혁명 예고▼

<기자 멘트>

지난해 7월, 미국의 한 독립 리그 야구 경기에서 흥미로운 주인공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구심 대신 등장한 컴퓨터 심판, 피치에프엑스(Pitch F/X) 시스템입니다.

여러 대의 카메라와 컴퓨터로 볼의 이동경로와 속도를 측정해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고요.

그 결과를 인간 심판을 통해 선수와 관중에 전달했는데 오심 판정 시비가 없었습니다.

경기장에 위치한 기자석으로 이동해 볼까요?

바쁘게 자판을 치는 기자 대신 로봇이 기사를 작성하고 있는데요.

먼저, 프로야구 문자중계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이어 정보를 분석해 기사를 작성하는데, 이렇게까지 걸리는 시간은 단 5초에 불과합니다.

인공지능은 일상생활에도 깊숙이 파고들고 있는데요.

환자 데이터의 유전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하는가 하면, 인간의 감정에 반응하는 대화형 로봇도 등장했습니다.

<녹취> "동행아. (왜.) 나 다녀왔어. (고생했어.)"

우리 일상에 혁신을 가져온 스마트폰처럼 폭발력을 지닌 인공지능 산업의 급성장, 과연 우리나라의 현주소는 어떨까요?

이정훈 기자가 분석해드립니다.

▼국내 수준 아직 초보단계…“미래 먹거리로”▼

<리포트>

뇌파 감지기를 쓴 연구원이 발걸음을 내딛습니다.

로봇 다리가 사람의 생각을 파악해 저절로 움직인 겁니다.

국내 한 대학이 다국적 기업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개발했습니다.

컴퓨터 여러 대를 엮은 시스템에 일상 언어로 된 문제를 입력하자, 곧바로 가장 확률 높은 답안을 찾아냅니다.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에서 주 장원을 차지할 정도의 실력입니다.

<인터뷰> 김현기(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마이닝연구실장) : "자연어를 이해하고 축적된 지식을 기반으로 해서 문제를 풀어서 답을 제공할 수 있는 거죠."

이처럼 국내 업체들도 인공 지능에 대한 연구에 나섰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갈 길이 멉니다.

한국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은 미국의 75% 수준으로 기술 격차는 2년 정도.

최근 선진국에서는 자율 주행차나 로봇 등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인공 지능을 집중 육성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인공 지능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미래 먹거리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진형(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 : "준비가 안 된 나라는 경쟁에서 처지면 상당히 어려울 겁니다. 그런 측면에서 국가 차원에서는 빨리빨리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쫓아가야 되겠죠."

인공 지능은 앞으로 급성장해 오는 2025년에는 전 세계 2천조 원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학습 통해 진화”…알파고, 직관까지 모방
    • 입력 2016-03-08 21:20:28
    • 수정2016-03-08 22:50:50
    뉴스 9
<앵커 멘트>

지금 들으시는 음악, 어떠신가요?

예일대가 만든 인공지능, '쿨리타'의 작품으로 원곡을 편곡해 또 다른 느낌의 음악을 만들었습니다.

이 추상화들은 구글의 '딥 드림'이 그렸습니다.

사진을 바탕으로 기계가 사람이 상상하기 힘든 무한반복적 형태의 그림을 만들어냈습니다.

이제 인공지능은 경우의 수가 사실상 무한하다는 바둑에도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먼저 범기영 기자가 학습하는 인공지능, 구글 알파고의 원리를 설명합니다.

[연관 기사]
☞ “5:0은 아닌 것 같다”…“알파고 더 강해졌다”
☞ ‘세기의 대결’ 준비 끝…이세돌 “5대 0 힘들 수도”

▼배우는 인공지능…원리는?▼

<리포트>

알파고가 유럽 챔피언인 판후이 2단을 꺾은 직후, 구글은 이세돌 9단을 다음 상대로 지목했습니다.

알파고가 다섯 달 만에 세계 최고수에게 도전장을 낼 수 있던 데는 이른바 '기계 학습'에 대한 구글의 자신감이 깔려 있습니다.

'기계 학습'은 방대한 분량의 데이터를 기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해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입니다.

알파고는 입력된 기보 16만 개를 토대로 지난 5개월간 스스로 매일 3만 번씩 대국을 하면서 실력을 키워왔습니다.

<인터뷰> 데미스 허사비스(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 : "우리도 바로 그것을 테스트해보고 싶다. 학습의 개선에 한계가 있는지를. 지금까지는 일단 알파고는 학습 능력 향상에 있어서 한계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학습 기간이 길수록, 분석한 데이터 양이 많아질수록 결과 예측은 정밀해집니다.

인간처럼 지치지도 않고 하루 24시간, 365일 연속으로 학습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차두원(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 "알파고는 기존 기보들을 학습해서 어느 수가 가장 좋은지 학습하고 대국을 치르게 되는 거죠."

알파고는 이제 인간 특유의 직관까지 상당 수준 모방하는 단계에 올랐습니다.

알파고는 그래픽 처리 장치로 전체 판세를 인식해 공격형과 수비형 가운데 어느 쪽으로 대응할지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눈과 귀가 있는 것처럼 인공지능이 주변 상황을 스스로 파악해 대처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로봇과 융합…일상생활에서도 혁명 예고▼

<기자 멘트>

지난해 7월, 미국의 한 독립 리그 야구 경기에서 흥미로운 주인공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구심 대신 등장한 컴퓨터 심판, 피치에프엑스(Pitch F/X) 시스템입니다.

여러 대의 카메라와 컴퓨터로 볼의 이동경로와 속도를 측정해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고요.

그 결과를 인간 심판을 통해 선수와 관중에 전달했는데 오심 판정 시비가 없었습니다.

경기장에 위치한 기자석으로 이동해 볼까요?

바쁘게 자판을 치는 기자 대신 로봇이 기사를 작성하고 있는데요.

먼저, 프로야구 문자중계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이어 정보를 분석해 기사를 작성하는데, 이렇게까지 걸리는 시간은 단 5초에 불과합니다.

인공지능은 일상생활에도 깊숙이 파고들고 있는데요.

환자 데이터의 유전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하는가 하면, 인간의 감정에 반응하는 대화형 로봇도 등장했습니다.

<녹취> "동행아. (왜.) 나 다녀왔어. (고생했어.)"

우리 일상에 혁신을 가져온 스마트폰처럼 폭발력을 지닌 인공지능 산업의 급성장, 과연 우리나라의 현주소는 어떨까요?

이정훈 기자가 분석해드립니다.

▼국내 수준 아직 초보단계…“미래 먹거리로”▼

<리포트>

뇌파 감지기를 쓴 연구원이 발걸음을 내딛습니다.

로봇 다리가 사람의 생각을 파악해 저절로 움직인 겁니다.

국내 한 대학이 다국적 기업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개발했습니다.

컴퓨터 여러 대를 엮은 시스템에 일상 언어로 된 문제를 입력하자, 곧바로 가장 확률 높은 답안을 찾아냅니다.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에서 주 장원을 차지할 정도의 실력입니다.

<인터뷰> 김현기(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마이닝연구실장) : "자연어를 이해하고 축적된 지식을 기반으로 해서 문제를 풀어서 답을 제공할 수 있는 거죠."

이처럼 국내 업체들도 인공 지능에 대한 연구에 나섰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갈 길이 멉니다.

한국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은 미국의 75% 수준으로 기술 격차는 2년 정도.

최근 선진국에서는 자율 주행차나 로봇 등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인공 지능을 집중 육성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인공 지능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미래 먹거리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진형(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 : "준비가 안 된 나라는 경쟁에서 처지면 상당히 어려울 겁니다. 그런 측면에서 국가 차원에서는 빨리빨리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쫓아가야 되겠죠."

인공 지능은 앞으로 급성장해 오는 2025년에는 전 세계 2천조 원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