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국산 구제역 백신 상용화 가능할 듯

입력 2017.02.17 (15: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5일 충북 보은 젖소농가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이 사흘 연속 의심사례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진정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제역 백신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연관 기사] 구제역 백신 우리는 왜 못 만드나?

특히 이번에 사상 처음으로 'O형'과 'A형' 등 두 가지 유형의 구제역 바이러스가 동시에 발생해 일제 접종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백신 재고량이 충분하지 않고 긴급 수입에도 차질이 빚어지면서 백신 국산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연관 기사] 구제역 백신 긴급수입 사실상 무산

백신 전문 벤처기업, 단백질 이용 백신 개발 성공

이런 가운데 국내 한 벤처기업이 이르면 내년부터 국산 구제역 백신을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혀 주목받고 있다.

백신전문 벤처기업인 ㈜파로스백신(대표이사 제정욱)은 이른바 '재조합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구제역 백신을 개발했으며 이르면 내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파로스백신이 개발한 재조합단백질 기술은 실제 구제역 바이러스를 백신주(株)로 사용해 백신을 만드는 기존 기술과 달리 구제역 항원을 모방한 단백질로 백신을 만들기 때문에 동물 체내에 면역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면역력과 면역반응 속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 전염성이 매우 강한 실제 바이러스를 백신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하고 자칫 바이러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큰 비용이 드는 안전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어 생산비도 저렴하다.

과거 영국에서는 실제로 백신 회사에서 실험용 구제역 바이러스가 외부로 유출돼 그 일대 가축들이 한꺼번에 구제역에 걸리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국내 백신 전문 벤처기업인 ㈜파로스백신(대표이사 제정욱)이 개발한 구제역 백신. 이 백신은 실제 구제역 바이러스 대신에 ‘재조합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이르면 내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백신 전문 벤처기업인 ㈜파로스백신(대표이사 제정욱)이 개발한 구제역 백신. 이 백신은 실제 구제역 바이러스 대신에 ‘재조합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이르면 내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르면 내년부터 국산 구제역 백신 상용화 가능할 듯

파로스백신은 재조합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생산 기술을 한국, 중국, 미국 등 7개국에 특허 등록했으며 이를 이용해 만든 백신은 국제수역사무국(OIE)이 인정한 중국 구제역표준연구소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공격접종시험(challenge test)으로 효능이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공격접종시험은 목적동물(돼지)에 구제역 백신을 접종한 후 발병에 충분한 양의 병원체(구제역 바이러스)를 목적동물(돼지)에 직접 투입해 질병(구제역)의 방어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파로스백신은 국내에서도 목적동물에 대한 반복시험을 거쳐 세계 최초로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제정욱 대표는 "재조합단백질 기술은 고병원성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고 백신을 만들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안전하며 바이러스의 변형에도 2개월 이내에 신속히 대응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제 대표는 자체 개발한 백신이 'O형'과 'A형' 구제역 바이러스에 동시에 방어력이 있는 2가 백신(O+A형)이며,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임상시험을 승인하면 약 4개월간의 시험을 거쳐 하반기에 품목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 백신 제조 신기술 인증

제 대표는 "국가 차원에서 긴급성과 필요성을 인식해 재조합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국산 백신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면 연간 약 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량수입하는 수입 백신을 대체할 수 있는 국산 구제역 백신을 내년중 선보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파로스백신의 백신 제조 기술은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 인증을 받기도 했다.

(주)파로스백신이 지난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구제역 백신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파로스백신은 올해 야외 임상시험을 거쳐 내년부터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다.(주)파로스백신이 지난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구제역 백신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파로스백신은 올해 야외 임상시험을 거쳐 내년부터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다.

"효능만 입증되면 수입 백신 대체 가능"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재조합단백질 기술이 안전성 등에서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효능이 기존 백신과 비교에 얼마나 있느냐 하는 것"이라며 "효능만 입증된다면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제역은 바이러스의 유전자에 따라, ‘O형, ‘A형’ 등 7가지의 혈청형(serotype)으로 나뉘고, 각 혈청형은 그 하위개념인 지역형(topotype)으로 분류되며, 지역형은 다시 세부 유전자형(linage strain)으로 나누어져 하나의 혈청형에서도 80여종 이상의 각각 다른 유전자형을 갖고 계속 새로운 유전자형태로 변형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O'형과 'A'형 구제역이 동시에 발병해 방역당국을 더욱 긴장시키고 있는데, 기존 구제역백신은 불활화 또는 약독화시킨 구제역바이러스를 백신의 항원으로 사용해 만드는데, 각 나라는 대표적인 몇 종류의 바이러스를 백신주로 개발하고 그 백신주와 유사한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용 백신을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백신은 방어가 가능한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그 효능이 있지만 유전자형이 다른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능을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관 기사] 항체형성률 80% 넘었는데도 구제역…이유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르면 내년 국산 구제역 백신 상용화 가능할 듯
    • 입력 2017-02-17 15:24:45
    취재K
지난 5일 충북 보은 젖소농가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이 사흘 연속 의심사례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진정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제역 백신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연관 기사] 구제역 백신 우리는 왜 못 만드나?

특히 이번에 사상 처음으로 'O형'과 'A형' 등 두 가지 유형의 구제역 바이러스가 동시에 발생해 일제 접종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백신 재고량이 충분하지 않고 긴급 수입에도 차질이 빚어지면서 백신 국산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연관 기사] 구제역 백신 긴급수입 사실상 무산

백신 전문 벤처기업, 단백질 이용 백신 개발 성공

이런 가운데 국내 한 벤처기업이 이르면 내년부터 국산 구제역 백신을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혀 주목받고 있다.

백신전문 벤처기업인 ㈜파로스백신(대표이사 제정욱)은 이른바 '재조합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구제역 백신을 개발했으며 이르면 내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파로스백신이 개발한 재조합단백질 기술은 실제 구제역 바이러스를 백신주(株)로 사용해 백신을 만드는 기존 기술과 달리 구제역 항원을 모방한 단백질로 백신을 만들기 때문에 동물 체내에 면역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면역력과 면역반응 속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 전염성이 매우 강한 실제 바이러스를 백신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하고 자칫 바이러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큰 비용이 드는 안전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어 생산비도 저렴하다.

과거 영국에서는 실제로 백신 회사에서 실험용 구제역 바이러스가 외부로 유출돼 그 일대 가축들이 한꺼번에 구제역에 걸리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국내 백신 전문 벤처기업인 ㈜파로스백신(대표이사 제정욱)이 개발한 구제역 백신. 이 백신은 실제 구제역 바이러스 대신에 ‘재조합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이르면 내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르면 내년부터 국산 구제역 백신 상용화 가능할 듯

파로스백신은 재조합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생산 기술을 한국, 중국, 미국 등 7개국에 특허 등록했으며 이를 이용해 만든 백신은 국제수역사무국(OIE)이 인정한 중국 구제역표준연구소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공격접종시험(challenge test)으로 효능이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공격접종시험은 목적동물(돼지)에 구제역 백신을 접종한 후 발병에 충분한 양의 병원체(구제역 바이러스)를 목적동물(돼지)에 직접 투입해 질병(구제역)의 방어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파로스백신은 국내에서도 목적동물에 대한 반복시험을 거쳐 세계 최초로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제정욱 대표는 "재조합단백질 기술은 고병원성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고 백신을 만들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안전하며 바이러스의 변형에도 2개월 이내에 신속히 대응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제 대표는 자체 개발한 백신이 'O형'과 'A형' 구제역 바이러스에 동시에 방어력이 있는 2가 백신(O+A형)이며,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임상시험을 승인하면 약 4개월간의 시험을 거쳐 하반기에 품목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 백신 제조 신기술 인증

제 대표는 "국가 차원에서 긴급성과 필요성을 인식해 재조합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국산 백신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면 연간 약 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량수입하는 수입 백신을 대체할 수 있는 국산 구제역 백신을 내년중 선보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파로스백신의 백신 제조 기술은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 인증을 받기도 했다.

(주)파로스백신이 지난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구제역 백신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파로스백신은 올해 야외 임상시험을 거쳐 내년부터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다.
"효능만 입증되면 수입 백신 대체 가능"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재조합단백질 기술이 안전성 등에서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효능이 기존 백신과 비교에 얼마나 있느냐 하는 것"이라며 "효능만 입증된다면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제역은 바이러스의 유전자에 따라, ‘O형, ‘A형’ 등 7가지의 혈청형(serotype)으로 나뉘고, 각 혈청형은 그 하위개념인 지역형(topotype)으로 분류되며, 지역형은 다시 세부 유전자형(linage strain)으로 나누어져 하나의 혈청형에서도 80여종 이상의 각각 다른 유전자형을 갖고 계속 새로운 유전자형태로 변형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O'형과 'A'형 구제역이 동시에 발병해 방역당국을 더욱 긴장시키고 있는데, 기존 구제역백신은 불활화 또는 약독화시킨 구제역바이러스를 백신의 항원으로 사용해 만드는데, 각 나라는 대표적인 몇 종류의 바이러스를 백신주로 개발하고 그 백신주와 유사한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용 백신을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백신은 방어가 가능한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그 효능이 있지만 유전자형이 다른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능을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관 기사] 항체형성률 80% 넘었는데도 구제역…이유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