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계에 유해 화학물질 공장 ‘난립’

입력 2008.03.05 (22:02)

<앵커 멘트>

낙동강 수계에는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장이 600여개나 있습니다.
그러나 유독물질의 유입을 막는 시설은 턱없이 부족해 이번과 같은 사고는 얼마든지 재발할 수 있습니다. 이재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낙동강에 인접한 구미공단입니다.

이곳에만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가 백여 개에 이릅니다.

낙동강 대구, 경북 수계 전체로 보면 이 같은 업체가 무려 6백여 개나 분포돼 있습니다.

유독 화학물질 취급업체는 대구가 400개 정도로 가장 많고, 경산과 영천이 각각 20여 개, 이번에 오염 사고가 난 김천에는 15개나 있습니다.

낙동강 주변 산업단지도 11개 곳이나 되지만 완충 저류시설이 설치된 곳은 4곳에 불과합니다.

우수관로 끝에 있는 이 같은 완충 저류시설은 오염물질이 직접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폭발사고가 난 코오롱 김천공장은 70톤 규모의 저류조를 갖추고 있었지만 소방용수가 650여 톤이나 뿌려져 오염물질 유출을 막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더욱이 이 공장은 '일반 공업단지'여서 완충 저류조를 설치할 의무조차 없습니다.

<녹취> 환경부 산업수질보전과 관계자 : "(김천은) 낙동강수계에 포함이 되는데 산업단지가 아니기 때문에 낙동강법에 의한 완충처리시설 대상이 아니라는 거죠"

전문가들은 그러나 산업단지는 물론 개별 공장까지 2중, 3중의 안전장치를 갖추지 않으면 유독 물질 방제 자체가 어렵다고 경고합니다.

<인터뷰> 민경석(경북대 환경공학과 교수) :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단 내 완충저류조는 많은 것이 보완이 돼야되고, 단순히 초기 우수 처리하는 것도 흡족하지 않고."

현재 지자체와 국토관리청, 지방환경청,수자원공사 등으로 나눠져 있는 수질 감시 시스템도 문제입니다.

폐기물 종류에 따라 취급 제한 물질은 환경청이, 유독물은 지자체가 따로 맡고 있습니다.

때문에 사고가 나면 이번처럼 혼선을 빚고, 평소에도 대처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환경운동연합 대표 : "우리나라는 관련기관이 다원화되다 보니 사고가 났을 때 대응이 미숙합니다."

눈가림식 해결책만 되풀이된다면, 비슷한 유출사고와 대처 과정에서의 혼란은 언제든지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이재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