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질 사고 마다 구미공단 ‘눈총’

입력 2009.01.20 (14:32)

'페놀과 퍼클로레이트에 이어 다이옥산까지..'
지난 12일부터 영남권의 주요 식수원인 낙동강에서 가이드라인(50㎍/L)을 초과한 발암의심물질인 1,4-다이옥산이 검출되면서 경북 구미와 김천지역 기업들이 또다시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 등이 이번 다이옥산 검출 파문의 제공지를 낙동강으로 폐수를 흘려 보내는 구미와 김천의 화학섬유제조업체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 2000년부터 2002년 사이 대구와 부산, 마산, 진해 등의 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에서 1,4-다이옥산이 검출되자 조사에 나서 낙동강 중류의 구미.김천지역 합성섬유 제조업체에서 주로 발생된다는 점을 확인했었다.
대구환경청은 이에따라 2004년 9월 구미.김천지역 화섬업체와 수질관리협약을 체결하고 가이드라인 이하의 농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폐수에 섞인 다이옥산을 하루 203㎏까지만 배출할 수 있도록 합의했었다.
그러나 협약이 체결된 이후에도 2004년 11월과 2005년 2월에 낙동강 유역에서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양이 검출되는 등 다이옥산 과다 검출 사고가 잇따랐다.
뿐만아니라 이 같은 낙동강 오염사고는 그동안 여러차례 있었고 그때마다 구미와 김천지역 공장이 원인 제공자로 지목받았었다.
1991년 페놀 오염사고는 당시 구미공단의 두산전자에서 유출된 페놀원액 때문 이었고, 지난해 3월 발생한 페놀 오염사고는 김천의 코오롱 유화부문공장에서 화재.폭발 사고로 소방용수에 섞인 페놀이 유출된 것이 원인이었다.
2006년 퍼클로레이트 오염 사고 역시 구미공단의 전자부품 제조업체가 유독물로 지정돼 있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았던 이 물질을 세정제로 사용한 뒤 배출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이처럼 낙동강 수질 오염사고 대부분이 구미와 김천의 공장 폐수에 섞인 오염 물질이 낙동강으로 흘러들어가 발생했고, 이때마다 구미 남쪽에 사는 대구와 부산 등지의 주민들은 낙동강 물을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탓에 수돗물 공포에 떨어야 했다.
이 때문에 낙동강 중.하류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은 원인을 제공한 구미와 김천의 기업체에 따가운 눈총을 보내고 있다.
한 대구시민은 "구미공단 기업에서 방류하는 폐수로 인해 왜 하류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피해를 봐야 하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나 낙동강 중.하류 주민들의 눈총에 대해 구미.김천의 기업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다이옥산이 아직까지 강제적인 배출허용기준도 마련되지 않은 비법정 제재물질이고, 폐수에 섞인 다이옥산을 하루 203㎏까지 배출토록 합의한 수질관리협약을 준수해 왔기 때문에 죄인처럼 취급될 이유가 없다는 것이 기업들의 반응이다.
또 기업들은 이번에 문제가 된 다이옥산이 화섬 제조공정에서 생성될 수밖에 없는 물질로 현실적으로 생성 자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대부분의 다른 유해물질 오염사고 역시 유독물이나 관리대상 물질로 지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뒤늦게 유해물질로 밝혀져 문제로 떠올랐을 뿐 기업체가 유해물질임을 알고서도 고의로 배출한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다이옥산을 배출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협약을 지키지 않았다면 모르지만 모두 지키고 있는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매도당하는 것 같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