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해적은 ‘프로’…맞춤 대책은?

입력 2011.02.01 (22:04)

수정 2011.02.01 (22:08)

<앵커 멘트>



아직 생포한 해적의 처리나 석해균 선장의 회복 같은 문제는 남아있지만삼호 주얼리호 피랍 사건은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제 관심은 재발방지 대책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에 모아지고 있는데요.



먼저 해적 조사과정에서 드러난 이들의 조직화 실태를 송현정 기자가 짚어봅니다.



<리포트>



붙잡힌 해적들은 모두 스무살 안팎. 앳된 나이들지만, 언제 총 쏘는 것을 배웠냐는 질문에 웃었을 정도로, 총에 익숙한 상태입니다.



이번에 생포된 이들은 대부분이 푼틀랜드 갈카요라는 지역 출신, 크게 4개 조직으로 나뉜 소말리아 해적 그룹 가운데 푼틀랜드 지역 연안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조직원 만명 규모의 푼틀랜드 그룹 소속일 개연성이 높습니다.



해적들은 보통 납치조,대기조,협상조로 업무를 세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붙잡힌 해적들 역시 보름 전부터 합숙을 했고, 배를 납치했을 때도 돌아가며 경비를 섰다고 밝혔습니다.



삼호 주얼리호가 언제 인도양을 통과할지, 운항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는 진술도 나온 만큼 정보력도 상당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몸값 일부가 정보를 내준 쪽에 건네지고, 그 돈이 주로 런던을 통해 또다른 운항 정보를 빼내는 고리가 되는 것입니다.



소말리아 해적이 조직화되고 국제 기업화 됐다는 분석이 가능한 이유입니다.



<질문> 송 기자, 해적들이 주로 노리는 곳이 수에즈 운하로 들어가는 이 일대 아닙니까? 우리 선박이 얼마나 오가는 곳인가요?



<답변> 적어도 3백여 척이 한해 천5백번 이상 오가는 곳입니다. 게다가 해적들의 활동 범위가 확대돼 한반도의 40배 수준까지 넓어졌다는 분석도 나올 정도입니다.



이 일대에는 현재 미국과 EU,러시아 등의 군함 30여 척이 나와 있습니다.



유엔이 나서서 작전 협조를 도모하고 있지만 명목상에 그치다 보니 일사분란한 작전을 기대하기도 힘든 상황입니다.



이영현 기자가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대책을 검토해야 할지를 짚어봅니다.



<리포트>



해상 작전의 성공을 위해서는 구축함 2척과 군수지원함 1척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맞았을 때 지원 공격이나 긴급 대처 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해적퇴치 활동에 참여하는 일본 중국 러시아 태국 등 대부분의 국가들은 2척 이상의 함정을 파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해 부대는 구축함 한척으로 단독작전을 하는 상황입니다. 때문에 함정 증파가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돼야할 현안으로 꼽힙니다.



<인터뷰>안기석(전 해군 작전사령관) : "안보공백의 우려가 있는데 초계함 호위함의 전력화를 앞당겨서 증파를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장비 보강도 필요합니다."



링스헬기 한 대로 단독작전은 위험부담이 큰 만큼 헬기 추가 배치가 최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합니다.



또 작전 가능한 UDT 대원들의 증원과 적외선 물체 탐지기 등 대테러 장비도 보강이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해적 퇴치를 위해 파견된 30여척의 각군 함정들과의 정보 공유와 공조 강화도 중요한 대비책 가운데 하나입니다.



<질문> 삼호 주얼리호 사태는 예외가 되겠지만 한 나라 힘만으로 해적을 퇴치하기가 힘들죠. 그래서 여러 나라가 힘을 합쳐서 해적을 처벌하는 문제를 유엔이 제의하고 있죠?



<답변> 네. 이렇게 재판정에 해적을 세우는 건 10명에 한명 꼴입니다. 대부분 그냥 풀려납니다. 그래서 탄자니아에 특별 재판소를 만들어 처벌을 맡기자는 방안이 논의중입니다.



소말리아의 2009년 기준 1인당 소득이 600달러인데, 10대 해적이 2만 달러를 거뜬히 버니 해적이 늘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소말리아 재건 지원이 중요한데, 여기에 흔쾌히 돈 내겠다는 나라는 찾기 힘듭니다.



게다가 이런 방안은 장기적 차원입니다. 무엇보다 시급하게 선박의 자구책 마련을 강조하는 이유입니다.



양지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형 선박 수십 척이 건조되고 있는 조선소입니다. 이 곳에서는 쿠웨이트로부터 주문받은 새 유조선이 다음달에 건조되는데, 겉모습이 기존 선박과 조금 다릅니다.



기존 선박에는 선원 거주 시설 외벽에 계단이 설치돼 조타실까지 이어져 있지만 새 유조선에서는 이 계단이 모두 사라집니다.



출입문까지 막아버리면 해적이 선원 거주 시설로 들어올 수 없어, 결국 인질 사태도 막을 수 있다는 겁니다.



<녹취> 박오권(대우조선해양 선실설계전문위원) : "조타실까지 높이가 30미터는 됩니다. 계단을 없애버리고 문을 막아버리면 요새 같은 이 벽을 기어오를 수가 없는 것이죠."



국내에서도 선사 자구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자구책은 크게 2가지인데, 해적들을 피할 수 있는 선박내 안전 대피소를 만들고 보안 요원도 탑승시킨다는 겁니다.



그러나 자구책 마련이 제 속도를 낼 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일부 선사는 대피소 마련 등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며 국가 차원의 지원을 바라고 있지만, 정부는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임기택(국토해양부 해사안전정책관) : "업계에서는 비용 부담 문제 얘기하지만, 현재로서는 비용 지급이나 보조 계획이 없습니다."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부와 선사들이 이번에도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못할 때 제2, 제3의 피랍과 그에 따른 국력 소모는 피하기 힘들 것입니다.



KBS 뉴스 양지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