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100년 가는 아파트’ 설계…재건축 줄인다

입력 2013.03.15 (21:26)

수정 2013.03.15 (22:10)

<앵커 멘트>

1기 신도시인 경기도 일산의 아파트들처럼 20년이상된 아파트가 전체아파트의 40%에 가깝습니다.

낡은 아파트는 으레 재건축하는 우리나라의 아파트 평균수명은 27년 미국과 영국의 절반에도 못미칩니다.

이제 우리도 100년까지 갈 수 있는 아파트를 짓는 것이 의무화되는데 아파트 건설 기준이 어떻게 바뀌는건지 김영인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금 아파트들도 콘크리트 건물 뼈대만은 100년까지 갈 수 있습니다.

문제는 내부 배선과 배관입니다.

30-40년이 수명인데 이를 제때 수리 못해 건물 전체가 노후화된다는 겁니다.

가장 큰 원인은 벽이 집을 받치는 구조입니다.

벽은 단단한 콘크리트일 수 밖에 없는데 그 속에 배선과 배관등이 묻혀 수리 자체가 힘든 겁니다.

<인터뷰> 김수암(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 : "쉽게 유지관리하거나 점검, 보수할 수 없는 구조로 돼 있어서 빨리 노후화가 되는 그런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벽 대신 기둥과 보가 집을 받치게 하고 콘크리크 벽 대신 석고 보드 벽등의 비중은 70%까지 늘려 배관과 배선 수리가 쉽게 하겠다는 겁니다.

특히 방바닥도 열고 닫는 구조로 만들어 집중된 배관과 배선을 쉽게 수리하게 하도록 유도하겠다는 겁니다.

정부는 내후년부터 5백 세대 이상의 아파트를 지을 경우 이런 이른바 '장 수명 설계 기준'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30년 단위인 재건축 횟수가 100년 단위로 줄게 돼 매년 22조원의 사회적 비용을 절약한다는 게 정부의 계산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초기 건축비가 10에서 20% 정도 상승할 수 있고, 집안에 기둥이 많아져 용적률이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이경구(건설회사 상무) : "층 수가 기존에 법에서 허용했던 것보다 떨어지게 됩니다. 아무래도 사업성 면에서는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정부는 건설업체에는 용적률 등 건축 기준을 완화해주고, 아파트를 사는 사람들에겐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