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올 봄 들어 전국적으로 산불이 잇따라 무려 458헥타르의 산림이 소실됐습니다.
이런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와 자치단체가 해마다 수십 대씩 산불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는데, 과연 제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이슬기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산 아래에서 흰 연기가 쉼 없이 솟구쳐 오릅니다.
이 산불로 3천여 제곱미터의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주위에 산불감시카메라도 있었지만 불을 처음 발견한 건 인근 주민이었습니다.
산불감시카메라가 고장 났기 때문입니다.
취재결과 영암군의 경우 산불 감시카메라 5대 가운데 3대가 작동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녹취> 영암군청 관계자 : "저번 주에 나왔었는데 뭐가 안 맞는다고 해서...나왔다 안 나왔다 해서...엊그제까지 나왔어요."
감시카메라가 작동된다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산불감시 상황실에서 카메라에 찍힌 현장 화면을 계속 지켜봐야 하는데도 일부 시군은 감시 인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지난 보름간 전남지역에서 천 제곱미터 이상의 산림을 태운 산불은 5건.
이 가운데 4건이 감시카메라의 감시 반경인 10킬로미터 안에서 발생했지만 감시카메라로 화재발생을 감지한 경우는 한 건도 없었습니다.
이같은 산불감시카메라 한대를 설치하는데 8천만 원의 예산이 듭니다.
하지만 카메라를 어떻게 운영하고 관리하는지에 대한 명문화된 규정은 전무한 실정입니다.
산림청 훈령이 있지만 카메라 설치에 대한 기술적인 기준만 정해져 있을 뿐입니다.
<녹취> 군청 산림과 관계자 : "따로 (카메라 운영에 대한) 법이 있거나 그런건 아니고, 감시카메라 관리 잘해라..."
이 때문에 시군별 감시체제 가동도 일몰시점과 오후 6시, 7시까지 등으로 제각각이고 감시장소도 군청과 통합관제센터, 진화대원 숙소 등 천차만별입니다.
7백억원의 예산으로 전국에 설치된 산불감시카메라는 모두 9백10여 대, 얼마나 많은 감시카메라가 무용지물인지 부터 조사가 시급합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