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 중 4곳 파업 가결…설 명절 의료공백 없을까?

입력 2024.02.08 (21:41)

수정 2024.02.08 (22:16)

[앵커]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이후, 대형병원 소속 전공의들이 파업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습니다.

정부는 설 연휴 의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병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하고 비대면 진료도 확대합니다.

이세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공의단체가 집단행동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 이어 세브란스 병원과 삼성서울병원 소속 전공의들도 '파업 참여' 뜻을 모았습니다.

이른바 '빅5' 중 4곳이 의사를 밝힌 건데, 곧 서울성모병원도 동참할 거로 보입니다.

파업 돌입은 아직 아니지만, 만에 하나 설 연휴 의료공백 가능성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지난해 설 연휴 응급의료센터 방문이 9만 건에 이를 만큼, 연휴엔 대형 병원 응급실 수요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외숙/서울시 노원구 : "노인들은 밤에 더 많이 아프거든요. 병원 문 닫으면 우리는 난감하지."]

[권혁주/경기도 부천시 : "거동이 불편할 수도 있잖아요. 대면이든 비대면이든 의사 선생님을 만날 수 없게 된다면…."]

의사단체 집단행동은 설 연휴 이후 본격화할 조짐입니다.

의사협회는 연휴 중에 비상대책위원장을 선출할 예정이고, 전공의 단체도 오는 12일, 파업 돌입 여부를 논의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꾸리고, 대응에 나섰습니다.

의사단체에 대화 참여를 요청하면서도 파업 시 강경 대응 의사를 확실히 했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2차관 : "의료법에 근거하여 집단 행동 및 집단 행동 교사 금지 명령과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정부는 설 연휴에도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의료 공백 가능성에 대비할 계획입니다.

문 여는 의료기관과 약국 정보를 제공하고 대면 진료 경험이 없는 환자도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시행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촬영기자:이호 박찬걸/영상편집:최정연/보도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