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방 소멸과 출생아 감소.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당장의 현실인데요.
충북도 심각한 상황입니다.
어떻게 하면 이 위기를 벗어날 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습니다.
송근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북의 인구는 2020년 160만 800여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 지난달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1.7%까지 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 합계 출산율도 4년 연속 1명 미만에 머물러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충북 11개 시·군 가운데 충주와 제천, 음성 등 무려 8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습니다.
나머지 3곳, 청주와 증평, 진천도 소멸 주의 지역입니다.
이런 지역 소멸과 저출생 위기 속, 그동안의 정책을 점검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토론회가 청주에서 열렸습니다.
"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내놓는 비슷한 정책은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습니다.
[최용환/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너무 양적으로 인구를 늘릴 게 아니라, 그야말로 질적인 인구를 더 유입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출생 해법을 여성의 문제로만 접근하는 시각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혜정/청주YWCA 사무총장 : "여성들에게 지원금을 줘서 여성들의 출생을 유도한다는 차원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지속 가능하게 살 수 있는 삶의 구조를 만들어야 하고요."]
인구를 늘릴 대책으로는 공공보험제도 신설이 언급됐습니다.
모든 근로자의 급여에서 일정 금액을 원천 징수해, 양육 가정에 최소 300만 원의 소득을 보장하자는 겁니다.
생활 인구 유입과 남성 육아 휴직 확대, 그리고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행정구역 개편 등도 언급됐습니다.
[우동기/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 : "지방 스스로 특성에 맞는 고유한 정책을 개발해서, 거기에 기초해서 중앙 정부 정책을 활용하는 자세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진천군의 일자리 중심 인구 유치와 증평군의 아이 돌봄 정책 등이 우수 사례로 소개됐습니다.
KBS 뉴스 송근섭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박소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