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슈K 시간입니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도민들의 피로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헌재를 향한 선고 기일 신속 지정 촉구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시민사회단체들은 어떤 대응을 하고 있고, 이번주에는 탄핵 심판이 이뤄질지 전북과 연관성은 무엇이 있을지 짚어보겠습니다.
이정현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함께합니다.
어서 오십시오.
지난 주, '사법 슈퍼위크' 가 될거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는데, 결국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시민사회 단체들은 연일 집회를 통해 탄핵 선고를 촉구하고 있는데요,
어떤 마음입니까?
[앵커]
탄핵 선고가 늦어지는 원인을 두고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만, 시민사회단체에서 보는 선고 지연 배경은 무엇입니까?
[앵커]
탄핵 정국이 길어지면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습니까?
지역 현안 추진이 사실상 멈춘 상태고 시민들, 특히 자영업자의 경제적 타격도 심각하고요.
어떻습니까?
[앵커]
선고 이후의 상황도 걱정입니다.
어떤 결과가 내려지더라도 후폭풍이 상당할 거란 우려가 큽니다.
극단으로 치달은 갈등, 어떻게 풀 수 있겠습니까?
[앵커]
이번 주에는 탄핵 심판이 이뤄질지 관심인데요.
선고가 이뤄지는 날까지 시민사회단체는 어떻게 대응을 이어갈 계획입니까?
[앵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영상편집:최승리/글·구성:진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