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반짝 반등…저출생 대책은 ‘제자리걸음’

입력 2025.05.12 (19:15)

수정 2025.05.12 (20:13)

[앵커]

지난 1년간 대구의 출생아 수가 코로나19 기저 효과 등으로 깜짝 반등했는데요,

이 추세를 장기적으로 이어가기 위해 효율적인 저출산·보육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혜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의 한 산부인과 전문 병원, 진료를 기다리는 산모들로 북적입니다.

[권명/대구효성병원 고위험·고령 산모센터 과장 : "실제로 산모들도 많이 늘어서 진료 보는 것 자체도 굉장히 늘었고, 분만 건수도 지난해 대비해서 10% 정도 늘었다고..."]

지난 넉 달간 대구에서 태어난 아기는 3천719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2% 많습니다.

지난해 5월 이후 열두 달 연속 증가세로 30대 인구 유입과 코로나19 이후 결혼 증가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하지만 최근 5년을 거슬러 보면, 대구 출생아 수는 지난해를 제외하면 매년 감소했고, 현재 합계 출산율도 0.82명에 그칩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저출산 대책은 소극적이라는 지적입니다.

대구시의 출산 보육 정책 34개 가운데 25개는 난임 시술비나 출산, 양육 수당 등 전국 공통 사업으로, 일회성 현금 지원이 대부분입니다.

대구형 산모건강관리사 파견과 다자녀 가정 입학 축하금 지원 등 자체 사업이 있지만 대상이 한정적이고, 부서별로 이름만 다를 뿐 비슷한 사업들이 많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황순자/대구시의원 : "일회성으로 끝나버려서 저출생 정책에 대한 연속성이 없습니다. 전담 부서가 없다 보니 정책 자체가 흩어져있어서..."]

전문가들은 단편적인 현금성 지원에서 벗어나 생애 주기에 따른 종합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합니다.

[박은희/대구정책연구원 인구·복지 전략랩 단장 : "정책들이 유기적으로 연계가 돼야지 사업의 실효성이 나타나지 않을까 싶고요. 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합니다.)"]

출생아 수 반등이 일시적인 회복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출산과 보육, 청년기까지 이어지는 연속성과 실효성 있는 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 - 주요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