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에 집중한 ‘관세서한’…“중국 견제용”

입력 2025.07.08 (21:34)

수정 2025.07.08 (21:42)

KBS 뉴스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7일 ‘상호관세’ 서한을 보낸 14개국 대다수는 아시아 국가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합의를 최대치로 압박하는 상황에서 아시아가 전면에 서게 된 것에 대해 ‘중국 견제용’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아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하는 ‘불공정 무역 적자’, 즉 대미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많다는 이유로 가장 징벌적인 관세를 부과받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진짜 이유를 다르게 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으로부터 상당한 투자를 받은 국가들을 표적으로 삼아 중국을 ‘처벌’하려 한다는 겁니다.

중국 제조업체 중에서는 관세 회피나 운영비 절감 등의 목적으로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 주변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곳들이 꽤 있습니다.

미국이 이들 국가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 업체들도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견제 의중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가 앞서 체결된 미국-베트남과 무역 합의에 있었다고 짚었습니다.

미국은 베트남산에 대한 상호관세를 46%에서 20%로 낮추기로 했지만, 제3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환적 상품에는 4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중국이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베트남에서 환적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원산지 세탁’ 관행을 차단할 수 있는 조치입니다.

이날 발송된 모든 상호관세 서한에도 “높아진 관세를 피하기 위해 환적된 상품에는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다”는 조항이 포함됐는데, 이 역시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해석됐습니다.

NYT는 “사실상 트럼프 행정부는 아시아 국가들에 최대 이웃 국가인 중국과 세계 최대 소비 경제인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하게 강요하고 있다”면서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고 따르기도 쉽지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전문가들도 미국이 교역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고립시키는 전략을 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화경제연구원(CIER) 롄셴밍 원장은 “미국은 실제로 이들 국가와 무관세나 자유무역 합의를 원하지 않는다”며 “트럼프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중국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는 제조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