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해수부 산하 해양 공공기관 역시, 동반 이전해야 한다는 지역 사회 요구가 많았습니다.
이에 대해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해양 공공기관의 부산 이전을 함께 준비 중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양수산부 이전'을 주제로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한 전재수 해수부 장관.
연내 해수부 부산 이전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전재수/해양수산부 장관 : "현재 준비 상태와 일정들을 볼 때는 연말까지는 해양수산부가 부산으로 내려가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여기에다 해양 공공기관의 부산 이전을 이미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서울과 세종에 남아 있는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은 한국해양환경공단 등 6개입니다.
[전재수/해양수산부 장관 : "(지난 7일에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장 회의도 처음으로 했는데 지금 (부산으로) 내려가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동남권투자공사 설립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습니다.
전 장관은 "자본금 3조 원으로 공사채를 발행하면, 투자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신속한 공사 설립, 해양 산업 투자 의지를 거듭 밝힌 셈입니다.
[전재수/해양수산부 장관 : "(공사채) 3조 원을 15배 레버리지(차입 투자)를 일으키게 되면 대략 50조 원이 됩니다. 여러 가지 규제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게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마스가 프로젝트' 핵심, 조선 플랜트 산업.
전 장관은 "해수부가 선박 규제 담당 국제기구를 전담해 온 만큼 해수부로 이전해야 한다는 생각이지만 부서 간 토론이 필요하다"고 여지를 남겼습니다.
한편, 내년 부산시장 선거 출마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습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영상편집:김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