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사정이 조금 나아진 곳도 있습니다.
고립된 주민들에게 충분하지는 않지만 우선 헬기로 구호물자가 긴급 공수되기 시작했습니다.
류호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마가 할퀸 상처가 드러난 평창 진부입니다.
아직도 고립된 마을에 긴급 구호 헬기가 착륙합니다.
배고픔과 공포에 시달리던 주민들은 식수와 식량을 보자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휴대 전화도 안 되다보니 고립된 상황을 알릴 수도 없었습니다.
<인터뷰> 최명신 (고립 마을 주민) : "지금 필요한 것은 물하고 식량인데 식량들이 마을 주민 단위로 먼저 나가기 때문에 외지에서 와서 갇힌 분들은 지금 먹을 게 없어요."
유일한 도로가 유실되면서 고립된 이 지역도 전기와 수도가 완전히 끊겨버렸습니다.
복구작업을 하는 군 장병은 6 km나 되는 산길을 돌아 걸어왔습니다.
<인터뷰> 고정미 (고립 마을 주민) : "물도 안 나오고 전기도 공급이 안 되고 전화도 안 되고 지금 먹을 쌀까지도 다 떨어지는 상황이예요."
지금까지 고립된 마을은 강원도에서만 23 개 지역에 주민은 2,300 명에 이릅니다.
비 피해를 입은 마을 대부분은 도로망이 끊기면서 고립됐기 때문에 구호물자 수송에는 헬기가 전격 투입됐습니다.
100여 차례 뜨고 내리면서 생수 58 톤과 라면 700박스를 공급했지만 필요한 양에는 턱 없이 모자랄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이창범 (산림항공 강릉지소 기장) : "현재 기상도 매우 안 좋고 여건도 불리하고 항공 안전에 치명적으로 불안하지만 이재민들의 아픔을 가슴에 생각하고..."
헬기 공수가 집중되고 있지만 워낙 고립지역이 많은 상황이어서 구호 물품은 겨우 생명을 유지하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사정이 조금 나아진 곳도 있습니다.
고립된 주민들에게 충분하지는 않지만 우선 헬기로 구호물자가 긴급 공수되기 시작했습니다.
류호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마가 할퀸 상처가 드러난 평창 진부입니다.
아직도 고립된 마을에 긴급 구호 헬기가 착륙합니다.
배고픔과 공포에 시달리던 주민들은 식수와 식량을 보자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휴대 전화도 안 되다보니 고립된 상황을 알릴 수도 없었습니다.
<인터뷰> 최명신 (고립 마을 주민) : "지금 필요한 것은 물하고 식량인데 식량들이 마을 주민 단위로 먼저 나가기 때문에 외지에서 와서 갇힌 분들은 지금 먹을 게 없어요."
유일한 도로가 유실되면서 고립된 이 지역도 전기와 수도가 완전히 끊겨버렸습니다.
복구작업을 하는 군 장병은 6 km나 되는 산길을 돌아 걸어왔습니다.
<인터뷰> 고정미 (고립 마을 주민) : "물도 안 나오고 전기도 공급이 안 되고 전화도 안 되고 지금 먹을 쌀까지도 다 떨어지는 상황이예요."
지금까지 고립된 마을은 강원도에서만 23 개 지역에 주민은 2,300 명에 이릅니다.
비 피해를 입은 마을 대부분은 도로망이 끊기면서 고립됐기 때문에 구호물자 수송에는 헬기가 전격 투입됐습니다.
100여 차례 뜨고 내리면서 생수 58 톤과 라면 700박스를 공급했지만 필요한 양에는 턱 없이 모자랄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이창범 (산림항공 강릉지소 기장) : "현재 기상도 매우 안 좋고 여건도 불리하고 항공 안전에 치명적으로 불안하지만 이재민들의 아픔을 가슴에 생각하고..."
헬기 공수가 집중되고 있지만 워낙 고립지역이 많은 상황이어서 구호 물품은 겨우 생명을 유지하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호품 헬기로 긴급 공수
-
- 입력 2006-07-17 21:22:06
<앵커 멘트>
사정이 조금 나아진 곳도 있습니다.
고립된 주민들에게 충분하지는 않지만 우선 헬기로 구호물자가 긴급 공수되기 시작했습니다.
류호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마가 할퀸 상처가 드러난 평창 진부입니다.
아직도 고립된 마을에 긴급 구호 헬기가 착륙합니다.
배고픔과 공포에 시달리던 주민들은 식수와 식량을 보자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휴대 전화도 안 되다보니 고립된 상황을 알릴 수도 없었습니다.
<인터뷰> 최명신 (고립 마을 주민) : "지금 필요한 것은 물하고 식량인데 식량들이 마을 주민 단위로 먼저 나가기 때문에 외지에서 와서 갇힌 분들은 지금 먹을 게 없어요."
유일한 도로가 유실되면서 고립된 이 지역도 전기와 수도가 완전히 끊겨버렸습니다.
복구작업을 하는 군 장병은 6 km나 되는 산길을 돌아 걸어왔습니다.
<인터뷰> 고정미 (고립 마을 주민) : "물도 안 나오고 전기도 공급이 안 되고 전화도 안 되고 지금 먹을 쌀까지도 다 떨어지는 상황이예요."
지금까지 고립된 마을은 강원도에서만 23 개 지역에 주민은 2,300 명에 이릅니다.
비 피해를 입은 마을 대부분은 도로망이 끊기면서 고립됐기 때문에 구호물자 수송에는 헬기가 전격 투입됐습니다.
100여 차례 뜨고 내리면서 생수 58 톤과 라면 700박스를 공급했지만 필요한 양에는 턱 없이 모자랄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이창범 (산림항공 강릉지소 기장) : "현재 기상도 매우 안 좋고 여건도 불리하고 항공 안전에 치명적으로 불안하지만 이재민들의 아픔을 가슴에 생각하고..."
헬기 공수가 집중되고 있지만 워낙 고립지역이 많은 상황이어서 구호 물품은 겨우 생명을 유지하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
류호성 기자 ryuhs@kbs.co.kr
류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장마 · 호우_2006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