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 엉터리 조림사업, 이유 있었다

입력 2007.06.07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국 자치단체들이 해마다 수십억원을 들여 조림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만, 그동안 심은 나무들은 상당수 말라죽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현장 추적 임재성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충북의 한 산림조합이 자치단체로부터 1억 천만 원에 사업을 따내 산벚나무 4백여 그루를 심은 도롭니다.

계약대로 나무의 높이가 2미터 50cm가 넘는지 직접 측정해봤습니다.

심은 지 일 년이 넘었지만, 측정한 수십 그루 가운데 40% 가까이 기준 미달입니다.

<녹취>조경 전문가: "한 40cm가 적으니까, 작년에 심었을 때는 한 2m짜리 심은 것밖에 안되지..."

더욱이 30%는 아예 말라 죽거나 지주목만 남았습니다.

지난해 심은 경관림의 대부분이 이처럼 말라죽고 있지만, 올 봄 하자 보식은 어디에도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녹취>관할군청 산림담당 공무원: "다 죽기는 왜 죽어요? 다 살아있는데..."

또 다른 산림조합이 지난해 자치단체로부터 1억 5천만 원을 받고 경관림을 조성한 한 야산.

역시 일 년이 지났지만 잣나무의 경우 폭이 기준치인 50cm에 크게 미달됐고, 다른 나무들도 기준에 턱없이 모자랍니다.

숲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기준 미달인 나무는 더욱 많아집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지난달 발주된 한 산림 사업에 대한 충북지역 10개 산림조합의 공개입찰 내역.

차액이 각각 십만 원 안팎으로 차액율을 따져도 한 곳을 빼고는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똑같습니다.

전형적인 담합 방식인 이른바 '그물망 작전'이 의심되는 부분입니다.

<녹취>입찰 참여 산림조합: "입찰 관계라는 게 어느 정도 얘기를 하다 보면 비슷비슷 하잖아요. 맞출 수도 있어요."

그러나 이들 산림조합은 지난 2004년 비슷한 수법을 썼다 무더기 징계를 받았습니다.

게다가 일부 산림조합은 사업을 따내도 '위탁'이라는 명목으로 입찰에서 떨어진 엉뚱한 조합에 불법 하도급을 주고 있습니다.

<녹취>해당군청 산림담당 공무원: "제천조합 자체에서는 여기 와서 할 수가 없잖아요.(수익금은 누가 가져가요?) 수수료 7%에 대해서는 위탁받은 분들. (괴산조합 분들이?) 네."

전국 자치단체별로 한 해 수십억 원씩이 투자되는 산림 사업.

허술한 감독과 각종 편법으로 부실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임재성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 엉터리 조림사업, 이유 있었다
    • 입력 2007-06-07 21:25:42
    뉴스 9
<앵커 멘트> 전국 자치단체들이 해마다 수십억원을 들여 조림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만, 그동안 심은 나무들은 상당수 말라죽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현장 추적 임재성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충북의 한 산림조합이 자치단체로부터 1억 천만 원에 사업을 따내 산벚나무 4백여 그루를 심은 도롭니다. 계약대로 나무의 높이가 2미터 50cm가 넘는지 직접 측정해봤습니다. 심은 지 일 년이 넘었지만, 측정한 수십 그루 가운데 40% 가까이 기준 미달입니다. <녹취>조경 전문가: "한 40cm가 적으니까, 작년에 심었을 때는 한 2m짜리 심은 것밖에 안되지..." 더욱이 30%는 아예 말라 죽거나 지주목만 남았습니다. 지난해 심은 경관림의 대부분이 이처럼 말라죽고 있지만, 올 봄 하자 보식은 어디에도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녹취>관할군청 산림담당 공무원: "다 죽기는 왜 죽어요? 다 살아있는데..." 또 다른 산림조합이 지난해 자치단체로부터 1억 5천만 원을 받고 경관림을 조성한 한 야산. 역시 일 년이 지났지만 잣나무의 경우 폭이 기준치인 50cm에 크게 미달됐고, 다른 나무들도 기준에 턱없이 모자랍니다. 숲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기준 미달인 나무는 더욱 많아집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지난달 발주된 한 산림 사업에 대한 충북지역 10개 산림조합의 공개입찰 내역. 차액이 각각 십만 원 안팎으로 차액율을 따져도 한 곳을 빼고는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똑같습니다. 전형적인 담합 방식인 이른바 '그물망 작전'이 의심되는 부분입니다. <녹취>입찰 참여 산림조합: "입찰 관계라는 게 어느 정도 얘기를 하다 보면 비슷비슷 하잖아요. 맞출 수도 있어요." 그러나 이들 산림조합은 지난 2004년 비슷한 수법을 썼다 무더기 징계를 받았습니다. 게다가 일부 산림조합은 사업을 따내도 '위탁'이라는 명목으로 입찰에서 떨어진 엉뚱한 조합에 불법 하도급을 주고 있습니다. <녹취>해당군청 산림담당 공무원: "제천조합 자체에서는 여기 와서 할 수가 없잖아요.(수익금은 누가 가져가요?) 수수료 7%에 대해서는 위탁받은 분들. (괴산조합 분들이?) 네." 전국 자치단체별로 한 해 수십억 원씩이 투자되는 산림 사업. 허술한 감독과 각종 편법으로 부실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임재성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