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휴가철을 앞두고 콘도 회원권을 둘러싼 소비자 피해가 급증하면서 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경품에 당첨됐다며 접근해 회원권을 강매하는 수법이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김민석씨는 콘도 소리만 들으면 화부터 치밉니다.
넉 달 전 이른바 '공짜 마케팅'에 현혹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김민석(콘도 피해자): "절대 안사죠. 이제 그냥 팬션 이용해요."
일부 콘도업체들의 영업수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이벤트에 당첨돼 콘도 회원권이 공짜다, 자동차 보험료를 환불받게 됐는데 대신 회원권을 주겠다, 혹은 내비게이션을 사면 회원권을 준다고 접근합니다.
그런데 정작 계약을 하면 나중에 세금 등 이런저런 명목으로 수십만 원이 청구됩니다.
더욱이 일부 콘도는 당초 계약과 달리 주말이나 성수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방적으로 콘도 회원에 가입시키는 수법도 극성입니다.
회원이 되려면 신용조회가 필요하다며 신용카드 정보를 알아낸 뒤 대금을 결제하는 수법입니다.
특히 상당수 콘도 업체들은 특약회원이어서 가입 취소를 해줄 수 없다며 환불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녹취>윤정혜(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본부장): "기만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를 유인하거나 청약철회를 방해하는 행위는 방문판매법 위반행위에 해당됩니다."
올해 소비자원에 접수된 콘도 회원권 관련 민원은 모두 천 5백여 건.
공정거래 위원회가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내렸습니다.
공정위는 이와 함께 10여 개 콘도 업체를 대상으로 위법성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휴가철을 앞두고 콘도 회원권을 둘러싼 소비자 피해가 급증하면서 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경품에 당첨됐다며 접근해 회원권을 강매하는 수법이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김민석씨는 콘도 소리만 들으면 화부터 치밉니다.
넉 달 전 이른바 '공짜 마케팅'에 현혹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김민석(콘도 피해자): "절대 안사죠. 이제 그냥 팬션 이용해요."
일부 콘도업체들의 영업수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이벤트에 당첨돼 콘도 회원권이 공짜다, 자동차 보험료를 환불받게 됐는데 대신 회원권을 주겠다, 혹은 내비게이션을 사면 회원권을 준다고 접근합니다.
그런데 정작 계약을 하면 나중에 세금 등 이런저런 명목으로 수십만 원이 청구됩니다.
더욱이 일부 콘도는 당초 계약과 달리 주말이나 성수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방적으로 콘도 회원에 가입시키는 수법도 극성입니다.
회원이 되려면 신용조회가 필요하다며 신용카드 정보를 알아낸 뒤 대금을 결제하는 수법입니다.
특히 상당수 콘도 업체들은 특약회원이어서 가입 취소를 해줄 수 없다며 환불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녹취>윤정혜(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본부장): "기만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를 유인하거나 청약철회를 방해하는 행위는 방문판매법 위반행위에 해당됩니다."
올해 소비자원에 접수된 콘도 회원권 관련 민원은 모두 천 5백여 건.
공정거래 위원회가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내렸습니다.
공정위는 이와 함께 10여 개 콘도 업체를 대상으로 위법성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콘도 회원권 분양 조심…피해유형도 가지가지
-
- 입력 2007-06-12 21:02:16

<앵커 멘트>
휴가철을 앞두고 콘도 회원권을 둘러싼 소비자 피해가 급증하면서 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경품에 당첨됐다며 접근해 회원권을 강매하는 수법이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김민석씨는 콘도 소리만 들으면 화부터 치밉니다.
넉 달 전 이른바 '공짜 마케팅'에 현혹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김민석(콘도 피해자): "절대 안사죠. 이제 그냥 팬션 이용해요."
일부 콘도업체들의 영업수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이벤트에 당첨돼 콘도 회원권이 공짜다, 자동차 보험료를 환불받게 됐는데 대신 회원권을 주겠다, 혹은 내비게이션을 사면 회원권을 준다고 접근합니다.
그런데 정작 계약을 하면 나중에 세금 등 이런저런 명목으로 수십만 원이 청구됩니다.
더욱이 일부 콘도는 당초 계약과 달리 주말이나 성수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방적으로 콘도 회원에 가입시키는 수법도 극성입니다.
회원이 되려면 신용조회가 필요하다며 신용카드 정보를 알아낸 뒤 대금을 결제하는 수법입니다.
특히 상당수 콘도 업체들은 특약회원이어서 가입 취소를 해줄 수 없다며 환불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녹취>윤정혜(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본부장): "기만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를 유인하거나 청약철회를 방해하는 행위는 방문판매법 위반행위에 해당됩니다."
올해 소비자원에 접수된 콘도 회원권 관련 민원은 모두 천 5백여 건.
공정거래 위원회가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내렸습니다.
공정위는 이와 함께 10여 개 콘도 업체를 대상으로 위법성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
-
손은혜 기자 grace35@kbs.co.kr
손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