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투기지역 해제…‘오락가락’ 정책
입력 2007.09.21 (08:00)
수정 2007.09.21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정부가 지방의 주택투기지역 12곳을 해제하고 미분양 아파트도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침체된 지방 건설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라지만,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놓고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승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9만 가구 남짓.
이중 94%는 지방에 있습니다.
이렇게 침체된 지방 건설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라며 정부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먼저, 오는 28일부터 12개 지방 주택투기지역이 해제됩니다.
해제지역은 대전시 중구 등 충청지역 6곳, 대구시 동구와 북구 등 영남 5곳, 그리고 광주시 광산구입니다.
투기지역에서 풀리면 소득에 따른 대출규제를 받지 않게 되고, 담보 대출 규제도 크게 완화됩니다.
<녹취> 김석동(재정경제부 제1차관) : "규제조건이 완화돼서 분양에 도움이 되고 기존 주택의 거래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또 내년까지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 5천 가구를 직접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활용합니다.
필요한 경우 민간 펀드 등을 통해 2만 가구를 추가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부작용입니다.
<인터뷰> 김헌동(아파트값 거품빼기 본부장) : "고분양가 때문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된 건데, 정부가 세금으로 건설업체를 도와주는 식으로 경기 부양하는 것은 문제..."
특히 대출규제가 완화되는 투기지역 해제는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돈줄을 죄었던 그동안의 정부 입장을 정면으로 뒤엎는 조치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미분양 사태로 악화된 여론 수습에만 급급해 부작용 가능성을 애써 무시했다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정부가 지방의 주택투기지역 12곳을 해제하고 미분양 아파트도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침체된 지방 건설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라지만,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놓고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승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9만 가구 남짓.
이중 94%는 지방에 있습니다.
이렇게 침체된 지방 건설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라며 정부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먼저, 오는 28일부터 12개 지방 주택투기지역이 해제됩니다.
해제지역은 대전시 중구 등 충청지역 6곳, 대구시 동구와 북구 등 영남 5곳, 그리고 광주시 광산구입니다.
투기지역에서 풀리면 소득에 따른 대출규제를 받지 않게 되고, 담보 대출 규제도 크게 완화됩니다.
<녹취> 김석동(재정경제부 제1차관) : "규제조건이 완화돼서 분양에 도움이 되고 기존 주택의 거래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또 내년까지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 5천 가구를 직접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활용합니다.
필요한 경우 민간 펀드 등을 통해 2만 가구를 추가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부작용입니다.
<인터뷰> 김헌동(아파트값 거품빼기 본부장) : "고분양가 때문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된 건데, 정부가 세금으로 건설업체를 도와주는 식으로 경기 부양하는 것은 문제..."
특히 대출규제가 완화되는 투기지역 해제는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돈줄을 죄었던 그동안의 정부 입장을 정면으로 뒤엎는 조치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미분양 사태로 악화된 여론 수습에만 급급해 부작용 가능성을 애써 무시했다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방 투기지역 해제…‘오락가락’ 정책
-
- 입력 2007-09-21 07:07:16
- 수정2007-09-21 08:01:58

<앵커 멘트>
정부가 지방의 주택투기지역 12곳을 해제하고 미분양 아파트도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침체된 지방 건설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라지만,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놓고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승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9만 가구 남짓.
이중 94%는 지방에 있습니다.
이렇게 침체된 지방 건설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라며 정부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먼저, 오는 28일부터 12개 지방 주택투기지역이 해제됩니다.
해제지역은 대전시 중구 등 충청지역 6곳, 대구시 동구와 북구 등 영남 5곳, 그리고 광주시 광산구입니다.
투기지역에서 풀리면 소득에 따른 대출규제를 받지 않게 되고, 담보 대출 규제도 크게 완화됩니다.
<녹취> 김석동(재정경제부 제1차관) : "규제조건이 완화돼서 분양에 도움이 되고 기존 주택의 거래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또 내년까지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 5천 가구를 직접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활용합니다.
필요한 경우 민간 펀드 등을 통해 2만 가구를 추가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부작용입니다.
<인터뷰> 김헌동(아파트값 거품빼기 본부장) : "고분양가 때문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된 건데, 정부가 세금으로 건설업체를 도와주는 식으로 경기 부양하는 것은 문제..."
특히 대출규제가 완화되는 투기지역 해제는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돈줄을 죄었던 그동안의 정부 입장을 정면으로 뒤엎는 조치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미분양 사태로 악화된 여론 수습에만 급급해 부작용 가능성을 애써 무시했다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
-
한승복 기자 seungbok@kbs.co.kr
한승복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부동산 안정 대책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