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계좌에 삼성그룹 비자금 수십억”
입력 2007.10.29 (22:14)
수정 2007.10.30 (13: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삼성그룹의 전직 임원이 자신의 계좌에 삼성그룹이 조성한 비자금 수십억원이 들어있다고 폭로해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측은 개인간의 돈거래일뿐이라며 비자금 조성의혹을 강력 부인했습니다.
황현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삼성그룹 전 법무실장인 김용철 변호사가 공개한 지난해 이자소득명세서입니다.
우리은행 계좌를 통해 1억8천여만 원을 이자로 받았습니다.
저축성예금 이자율 4.7%로 계산하면 줄잡아 50억원이 맡겨져 있었다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2004년 10월, 굿모닝신한증권 계좌에는 삼성전자 주식 6천여 주, 당시 시가로 26억 원어치가 들어 있었습니다.
김 변호사는 삼성이 본인 동의도 없이 이렇게 은행과 증권사 계좌 4곳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김인국(신부/정의구현사제단): "일주일 전 김용철 변호사가 사제단을 찾아와서 자신의 허물과 회사의 무서운 비리를 낱낱이 고백했습니다."
김 변호사는 KBS와의 통화에서 본인도 최근에야 계좌 몇 개를 찾아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김용철 변호사(전 삼성그룹 법무팀장): "계좌가 있는 지는 진작부터 알고 있었다. 어디에 있는 지 알게 된 것은 한달 쯤 됐고, 세무사 통해서 2~3주 전부터 찾으려고 했는데 안 되더라구요."
계좌를 개설한 창구와 담당 직원 외에 조회가 불가능한, 이른바 '보안계좌'여서 그동안 확인이 불가능했다는 겁니다.
삼성의 주거래 은행인 우리 은행측도 은행마다 이런 보안계좌 서비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우리은행 삼성센터지점 관계자: "이자가 나오는 것은 통장으로 자동적으로 들어가고 이자가 얼마 나왔다고 본인에게 DM(고지서)로 통보하는 절차는 없습니다."
삼성 측은 김 변호사의 계좌에 50억원이 들어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회사 돈이 아니라 개인간의 돈 거래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김정석 차장(삼성그룹 홍보팀): "김 변호사가 주장하는 차명계좌는 회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김 변호사와 함께 근무했던 동료 간부가 김 변호사로부터 사전 양해를 얻어 개인적 용도로 만든 것입니다."
김 변호사는 검사출신으로 지난 97년부터 2004년까지 7년간 삼성그룹의 재무팀 임원과 법무팀장을 역임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삼성그룹의 전직 임원이 자신의 계좌에 삼성그룹이 조성한 비자금 수십억원이 들어있다고 폭로해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측은 개인간의 돈거래일뿐이라며 비자금 조성의혹을 강력 부인했습니다.
황현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삼성그룹 전 법무실장인 김용철 변호사가 공개한 지난해 이자소득명세서입니다.
우리은행 계좌를 통해 1억8천여만 원을 이자로 받았습니다.
저축성예금 이자율 4.7%로 계산하면 줄잡아 50억원이 맡겨져 있었다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2004년 10월, 굿모닝신한증권 계좌에는 삼성전자 주식 6천여 주, 당시 시가로 26억 원어치가 들어 있었습니다.
김 변호사는 삼성이 본인 동의도 없이 이렇게 은행과 증권사 계좌 4곳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김인국(신부/정의구현사제단): "일주일 전 김용철 변호사가 사제단을 찾아와서 자신의 허물과 회사의 무서운 비리를 낱낱이 고백했습니다."
김 변호사는 KBS와의 통화에서 본인도 최근에야 계좌 몇 개를 찾아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김용철 변호사(전 삼성그룹 법무팀장): "계좌가 있는 지는 진작부터 알고 있었다. 어디에 있는 지 알게 된 것은 한달 쯤 됐고, 세무사 통해서 2~3주 전부터 찾으려고 했는데 안 되더라구요."
계좌를 개설한 창구와 담당 직원 외에 조회가 불가능한, 이른바 '보안계좌'여서 그동안 확인이 불가능했다는 겁니다.
삼성의 주거래 은행인 우리 은행측도 은행마다 이런 보안계좌 서비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우리은행 삼성센터지점 관계자: "이자가 나오는 것은 통장으로 자동적으로 들어가고 이자가 얼마 나왔다고 본인에게 DM(고지서)로 통보하는 절차는 없습니다."
삼성 측은 김 변호사의 계좌에 50억원이 들어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회사 돈이 아니라 개인간의 돈 거래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김정석 차장(삼성그룹 홍보팀): "김 변호사가 주장하는 차명계좌는 회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김 변호사와 함께 근무했던 동료 간부가 김 변호사로부터 사전 양해를 얻어 개인적 용도로 만든 것입니다."
김 변호사는 검사출신으로 지난 97년부터 2004년까지 7년간 삼성그룹의 재무팀 임원과 법무팀장을 역임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 계좌에 삼성그룹 비자금 수십억”
-
- 입력 2007-10-29 21:02:03
- 수정2007-10-30 13:49:47

<앵커 멘트>
삼성그룹의 전직 임원이 자신의 계좌에 삼성그룹이 조성한 비자금 수십억원이 들어있다고 폭로해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측은 개인간의 돈거래일뿐이라며 비자금 조성의혹을 강력 부인했습니다.
황현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삼성그룹 전 법무실장인 김용철 변호사가 공개한 지난해 이자소득명세서입니다.
우리은행 계좌를 통해 1억8천여만 원을 이자로 받았습니다.
저축성예금 이자율 4.7%로 계산하면 줄잡아 50억원이 맡겨져 있었다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2004년 10월, 굿모닝신한증권 계좌에는 삼성전자 주식 6천여 주, 당시 시가로 26억 원어치가 들어 있었습니다.
김 변호사는 삼성이 본인 동의도 없이 이렇게 은행과 증권사 계좌 4곳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김인국(신부/정의구현사제단): "일주일 전 김용철 변호사가 사제단을 찾아와서 자신의 허물과 회사의 무서운 비리를 낱낱이 고백했습니다."
김 변호사는 KBS와의 통화에서 본인도 최근에야 계좌 몇 개를 찾아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김용철 변호사(전 삼성그룹 법무팀장): "계좌가 있는 지는 진작부터 알고 있었다. 어디에 있는 지 알게 된 것은 한달 쯤 됐고, 세무사 통해서 2~3주 전부터 찾으려고 했는데 안 되더라구요."
계좌를 개설한 창구와 담당 직원 외에 조회가 불가능한, 이른바 '보안계좌'여서 그동안 확인이 불가능했다는 겁니다.
삼성의 주거래 은행인 우리 은행측도 은행마다 이런 보안계좌 서비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우리은행 삼성센터지점 관계자: "이자가 나오는 것은 통장으로 자동적으로 들어가고 이자가 얼마 나왔다고 본인에게 DM(고지서)로 통보하는 절차는 없습니다."
삼성 측은 김 변호사의 계좌에 50억원이 들어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회사 돈이 아니라 개인간의 돈 거래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김정석 차장(삼성그룹 홍보팀): "김 변호사가 주장하는 차명계좌는 회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김 변호사와 함께 근무했던 동료 간부가 김 변호사로부터 사전 양해를 얻어 개인적 용도로 만든 것입니다."
김 변호사는 검사출신으로 지난 97년부터 2004년까지 7년간 삼성그룹의 재무팀 임원과 법무팀장을 역임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삼성 비자금’ 조성 의혹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