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② ‘스팸·중독’ 부작용 막을 대책은?

입력 2007.10.29 (22:14) 수정 2007.10.30 (00: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는 이렇게 중요한 정보 전달 수단으로 자리잡았지만 쓰레기 정보와 중독 위험과 같은 부작용도 적지 않습니다.

한승복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하루에도 수십 통씩 들어오는 문자메시지.

아는 사람들이 보낸 것보다 음란정보나 대출, 대리운전 광고 같은 스팸정보가 더 많습니다.

<인터뷰> 임형도(회사원): "중요한 메시지인 줄 알고 시간을 쪼개서 확인을 했는데, 전혀 저한테 무익한 정보라고 할 때는 화가 많이 나죠."

최근에는 문자메시지가 신종 스토킹 수단으로까지 악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해 보낼 경우 발신자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녹취> 문자메시지 스토킹 피해자: "하루에 많이 받으면 백통 이상 받은 적도 있거든요. 일단 일에 집중할 수 없고 깜짝깜짝 놀래고, 그런 일이 반복되면서 내가 노이로제에 걸린 게 아닌가."

청소년 사회에선 도를 넘어선 문자메시지 사용이 문제입니다.

청소년의 38%가 한 달에 2천 건 이상 문자를 주고받습니다.

비용 부담도 만만찮지만 휴대전화 중독까지 부른다는데 심각성이 있습니다.

<인터뷰> 조재일(정신과 전문의): "아이가 이런 메시지중독에 빠지게 되면 다른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는지 같이 고민하고 들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를 통해서 자기 조절감을 획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통신당국도 문자메시지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팸 메시지에 대한 통제와 처벌을 강화하는 수준이어서 그 효과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 ‘스팸·중독’ 부작용 막을 대책은?
    • 입력 2007-10-29 21:27:27
    • 수정2007-10-30 00:44:44
    뉴스 9
<앵커 멘트>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는 이렇게 중요한 정보 전달 수단으로 자리잡았지만 쓰레기 정보와 중독 위험과 같은 부작용도 적지 않습니다. 한승복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하루에도 수십 통씩 들어오는 문자메시지. 아는 사람들이 보낸 것보다 음란정보나 대출, 대리운전 광고 같은 스팸정보가 더 많습니다. <인터뷰> 임형도(회사원): "중요한 메시지인 줄 알고 시간을 쪼개서 확인을 했는데, 전혀 저한테 무익한 정보라고 할 때는 화가 많이 나죠." 최근에는 문자메시지가 신종 스토킹 수단으로까지 악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해 보낼 경우 발신자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녹취> 문자메시지 스토킹 피해자: "하루에 많이 받으면 백통 이상 받은 적도 있거든요. 일단 일에 집중할 수 없고 깜짝깜짝 놀래고, 그런 일이 반복되면서 내가 노이로제에 걸린 게 아닌가." 청소년 사회에선 도를 넘어선 문자메시지 사용이 문제입니다. 청소년의 38%가 한 달에 2천 건 이상 문자를 주고받습니다. 비용 부담도 만만찮지만 휴대전화 중독까지 부른다는데 심각성이 있습니다. <인터뷰> 조재일(정신과 전문의): "아이가 이런 메시지중독에 빠지게 되면 다른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는지 같이 고민하고 들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를 통해서 자기 조절감을 획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통신당국도 문자메시지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팸 메시지에 대한 통제와 처벌을 강화하는 수준이어서 그 효과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